메뉴 건너뛰기

close

▲ 창원시 관내 설치된 새 도로명
ⓒ 이오용
창원시가 지난 2002년부터 시행하고 있는 선진국형 주소 체계의 새 도로명과 건물 번호 부여가 2년이 지난 현재, 실효성을 잃고 무용지물로 전락해 아까운 시민 혈세만 낭비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시는 기존의 토지 지번 주소 체계를 선진국형 주소 방식에 의한 체계로 개선하기 위해 지난 2002년 6월 말부터 ‘느티나무 길’ '진달래길’‘앵두길’‘청학동길’‘남명길’ 등 새 도로명을 지정하고‘진달래 20’‘느티 21’등 홀·짝수로 나눈 건물 번호판을 제작해 읍면동을 제외한 2100곳에 부착했다.

그러나 시는 총 사업비 13억원이라는 엄청난 예산을 투입하면서 도로명과 건물 번호 부여에만 급급하고 새 주소 필요성에 대한 홍보가 부족해 실효성이 없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창원 시민들은 그 동안 창원군에서 마산시·창원시로 행정 명칭이 바뀌면서 새 번지를 부여 받는 혼란을 겪었고 의창지구 구획 정리로 인한 지구 단위 번지를 부여받는 혼란을 겪기도 했다. 또 지난 2001년에는 대동제 시행으로 각 동이 통합되면서 한 가옥이 행정동과 법정동으로 나뉘어 각기 다른 번지를 병행 사용하는 혼선을 겪어왔기 왔다. 때문에 대다수 시민들은 시의 새 도로명판과 건물번호를 선진국형 주소 체계로 형성하겠다는 당초 취지와는 달리, 새 주소에 대한 필요·중요성의 의미에 커다란 관심이 없는 상태다.

▲ 새도로명과 함께 부여된 건물번호
ⓒ 이오용
이같은 시민들의 무관심으로 창원우체국 경우, 배달 우편물 중 새 주소가 적혀 있는 우편물은 한달 평균 4∼10건(시, 교육기관 등 관공서만 극소수 이용) 정도 이용하는 등 저조한 사용율을 보이고 있다.

창원우체국 관계자는 “시가 시행하고 있는 새 도로명판과 건물 번호는 실용화된 상태가 아니어서 오히려 우편번호 위주의 우편 업무에 지장을 주고 있다”며 “시의 애당초 취지인 선진국 주소 체계는 2년이 지난 현재, 시의 홍보 부족으로 시민들이 주소 변경 제도에 적응을 못하고 있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이로 인해 집배 우편물을 취급하고 있는 우체국 직원들의 업무적 혼선도 말이 아니다. 직원들은 아직도 정착되지 못한 새 도로명 주소가 기입된 우편물이 도착하면 집배에 나서기 전 인터넷과 지도를 참고해 변경 주소를 일일이 확인한 후 집배에 나서고 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우체국 담당 직원들은 새 번지 우편물의 업무 처리는 일반 우편물에 비해 4배 이상 시간을 허비하고 있다는 것이다.

또 정착되지 못한 새 번지 혼란은 각 지역 파출소도 마찬가지다. 지난 25일 오후 11시경 정한주(가명·56·창원시 도계동)씨는 이웃집에서 심하게 다투는 소리에 잠을 이루지 못하자 도계 순찰대에 신고를 했다. 그러나 정씨는 경찰관의 위치 물음에 주소가 갑자기 생각이 안나 진달래 5길 건물번호 20번이라고 알려줬으나 담당 경찰관은 “새주소는 시의 필요에 의해 만들어진 번지일 뿐 행정 번지는 아니다”며 “그렇게 해서는 위치를 찾을 수 없다”고 말했다는 것이다.

▲ 짝수 건물번호를 표시한 하단 초록 색 띠
ⓒ 이오용
반면 창원소방서 경우는 119상황실에 새 번지로 화재 신고가 접수되면 지도를 참조해 화재 장소로 출동한다고 밝혔다.

이에 시 관계자는 “이 사업은 지난 97년 청와대 국가경쟁력강화기획단 도로명 및 건물번호 부여 방안 추진 계획을 발표한 뒤 행자부에서 업무를 추진 한 것”이라고 밝혔다.

따라서 창원시는 지난 97년 행자부로부터 시범사업 자치단체로 지정되어 2001년 2월, 시설물 선정 계획을 마치고 2002년 6월부터 시행에 착수했다고 한다.

그리고 시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새 주소에 대해 각종 매체를 통해 수 없이 홍보를 해왔으나 정보통신부와 원활한 협조체계가 이뤄지지 않아 실효를 거두지 못했다고 밝혔다. 시는 이를 해소시키기 위해 새주소 생활안내지도 발간과 새주소 안내시스템을 가동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나 시민들은“기존의 주소가 익숙해져 있는 시민들은 생활에 불편이 없는데 굳이 시민의 혈세인 13억원이라는 막대한 사업비를 들여 새 주소를 신설한 이유가 무엇이냐”며 “이왕 막대한 사업비가 투자된 만큼 시는 체계적인 홍보를 통해 새 주소가 실용화 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태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본인은 경남연합일보 사회부기자로 사회 모순을 바로 잡기 위한 열망을 ...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