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 매일신문
친일진상규명법 개정안과 정수장학회 문제를 묶어 보도한 이 기사는 대뜸 "올 것이 왔다"며 "사회문화 분야 대정부 질문에서 열린우리당 노웅래(盧雄來) 의원이 박(근혜) 전 대표가 이사장으로 있는 정수장학회 문제를 끄집어낸 것도 검증 차원과 다름 아니다"라고 말했다.

또 7월 28일치를 보자. 5면에 <정수장학회 '탄생 비밀' 집중 공격>이란 기사가 실렸다.

"열린우리당, 박근혜 대표 때리기"란 부제가 달린 이 기사에는 "한나라당 박근혜(朴槿惠) 대표를 겨냥한 여당의 칼끝이 이제 박 대표가 이사장으로 있는 정수장학회의‘탄생 비밀’로 향하고 있다"는 내용이 실렸다.

그리고 7월 29일치를 보면 4면에 <'박정희 파헤치기' 과거 돌아가는 與>란 기사가 실렸다.

"열린우리당의 기본 전략은 박 대표를‘독재자의 딸’로 묶어두는 것이다. 박 대표에 대한 유신책임론 및 정수장학회 설립 의혹 제기는 이를 위한 하위 전술이다. 박 대표를 볼 때마다 박정희 전 대통령의 부정적 유산을 떠오르게 함으로써 박 대표를 무력화한다는 포석이다. … 28일 오후 70년대 후반 대학 생활을 한 이른바‘긴급조치 세대’의원들의 모임인‘아침이슬’소속 초선의원 11명이 박 대표를 비판하고 나선 것은 이런 전략의 연장선상이다"라고 보도했다.

ⓒ 매일신문
이렇듯 <매일신문>은 박근혜 한나라당 대표와 관련된 문제를 여당의 정치 공세로 해석하는 경향이 있다. 문제의 초점을 흐리고 박근혜 대표를 정치 탄압의 피해자로 묘사한다. 반면 문제의 본질을 다루는 기사는 찾아 보기 힘들다. 정수 장학회 문제도 마찬가지다.

7월 28일치 5면에 실린 박스 기사 <정수장학회는…>에서 이렇게 보도했다.

"정수장학회는 지난 1962년 7월 박정희 전 대통령이 설립한 재단법인 ‘5·16 장학회’가 모태다. 1963년 기업인 김지태씨가 소유했던 부산일보와 문화방송 주식을 국고에 양도, 이를 5·16장학회가 편입한 것이 발단이 됐다."

논란의 핵심인 '재산 강탈' 문제를 "양도"라는 밋밋한 표현으로 보도했다. 이래서야 독자들이 이번 문제를 제대로 인식할 수 있겠는가? 어느 편을 들자는 것이 아니다. 진실에 대한 독자의 궁금증을 채워 주는 것이 언론이 할 일 아닌가? 특정인을 감싸고 탄압 받는 정치인으로 둔갑시키는 것은 언론이 할 일이 아니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소비자 차원에서만 머물지 않고 직접 언론에 참여하고자 소비자 차원에서만 머물지 않고 직접 언론에 참여하고자 소비자 차원에서만 머물지 않고 직접 언론에 참여하고자 소비자 차원에서만 머물지 않고 직접 언론에 참여하고자 소비자 차원에서만 머물지 않고 직접 언론에 참여하고자 소비자 차원에서만 머물지 않고 직접 언론에 참여하고자소비자 차원에서만 머물지 않고 직접 언론에 참여하고자

이 기자의 최신기사삼성 노동자들의 무임승차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