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업을 한 지 한 달째다. 지역 신문의 관련 기사도 엄청나게 많다. 하지만 안전을 집중적으로 다룬 기사는 찾기 어렵다. 대부분이 ‘시민 불편’과 ‘노사교섭 중계’로 채워졌다.
<매일신문> 7월 29일치 30면에 실린 <대구지하철 홀로파업 왜 ②조직개편안 ‘안전’ 논란>이 안전을 집중적으로 다룬 유일한 기사일 것이다. 그런데 이마저도 “민간 운영 전문성에 의문 비상사태 제때 대응 못”한다는 노조의 주장과 “종합사령실 등 기능 보강 안전관리체계 문제 없”다고 하는 공사의 주장을 병렬하는 데 그쳤다. 하지만 <영남일보>는 이마저도 없었고 여기저기 곁들인 기사가 조금 있을 뿐이었다.
그리고 위에서 살핀 70여명의 조합원 징계 문제는 <매일신문> 7월 30일치 26면 <대구지하철 홀로파업 왜 ③노조원 징계 문제>란 기사와 <영남일보> 7월 29일치 3면 <실마리 못찾는 대구지하철 파업>이란 기사에서 징계 사실만 짧게 언급했을 뿐, ‘교육원’ 설치를 둘러싼 징계 사유에 대해서는 말이 없었다.
또 지난 8월 10일 일어난 사고에 대해서도 <매일신문> 8월 11일치 31면 <지하철 또 운행 실수>란 기사와 <영남일보> 8월 11일치 27면 <지하철 겁난다>란 기사에서 사고 사실만 언급했을 뿐이었고, 사고 역의 역무원들이 알지 못한 사실과 이런 일이 공사의 조직개편안에 따르면 구조적인 문제라는 지적도 없었다.
뿐만 아니라 두 신문은 파업 기간 중에 일어난 사고를 보도하면서 안전에 대한 근시안적 사고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다. 노동자들이 파업에 참가한 특수한 상황에서 일어난 사고로 한정했다.
<영남일보>는 7월 27일치 27면 <지하철정비 거의 ‘스톱’>이란 기사에서 “관련 인력 228명 중 198명이 파업 참가 기관사도 피로누적…안전운행 빨간불”이라고 보도했고 또 8월 2일치 27면 <운행중 전동차서 연기…탄 내>란 기사에서 “파업 13일째…‘피로누적’ 지하철 또 사고”라고 보도했다. 그리고 <매일신문>도 8월 3일치 1면 <대처능력 떨어져 ‘안전위협’>이란 기사에서 “지하철 파업 장기화…주정비공장도 폐쇄 검수 인력 평소 4분의1 불과”라고 보도했다.
하지만 공사의 조직 개편안이 실시되면 1호선에서만 차량 인력의 35%가 줄고, 기관사도 23명 줄어 실제 승차 시간이 증가하는 등 “안정운행(에) 빨간불”이 일상화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보도가 없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지역 신문들은 안전 문제를 보도하는 데 소홀했다. 이번 파업의 주요 사항인 안전 문제가 부각되지 못한 것도 언론의 이런 보도 태도와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끝으로
대구지하철공사는 조직개편안을 통해 약 48억5천만원을 절감할 수 있다고 한다. 연간 운영 적자의 10% 수준이니 적지 않은 돈이다. 또 정부에서 지하철 부채 상환 지원은 지자체의 중장기 부채상환 및 경영개선계획의 연차별 이행여부에 상응하여 시행한다고 하니 시와 공사로서는 불가피한 측면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시민들의 안전을 소홀히 하기에는 턱없이 적은 돈이 아닐까. 1년 전을 생각해 보자. 2ㆍ18참사로 현장 복구비만 516억원이 쓰였다. 또 직ㆍ간접적 피해를 고려하면 그 규모가 7천억원이 넘는다는 주장도 있다. 그렇지만 희생자와 가족들 그리고 대구 시민이 받은 고통은 돈으로는 환산할 수 없는 실로 엄청난 것이었다.
아직도 우리는 지하철 타기가 겁이 난다. 작은 사고에도 새가슴이 돼 조바심을 친다. 대구시민의 이런 불안감은 쉽게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하는 이유다. 적자도 안전이 뒷받침되어야 가능하다. 대구시와 공사는 이런 점을 감안해 새로운 대안을 찾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