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 지난해 8월 잠실 올림픽공원 역도경기장에서 열린 민주노동당 임시 당대회에서 김혜경 대표, 김창현 사무총장 등 당 지도부가 당가를 부르고 있다. 이날 당대회에서 민주노동당은 10만당원확대운동을 결의했다.
ⓒ 권박효원
열린우리당이 기간당원 10만명을 확보한 가운데, 진성당원제를 자랑하는 민주노동당의 '10만당원확대운동' 활동이 아직 목표 당원수에서 3만여명을 채우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공무원노조 투쟁, 국가보안법 폐지투쟁, 당 총진군대회 각종 사업으로 인해 당원확대운동이 정체됐기 때문이다.

현재 민주노동당의 당원은 약 6만7000여명. 지난해 9월 운동을 시작할 무렵 당원숫자가 5만여 명이었으니 1만7000여명이 늘어난 셈이다. 오재영 조직실장은 "총선을 거쳐 당원들이 자연증가됐고, 운동을 통해 의식적으로 늘어난 것은 1만여명 안팎"이라고 평가했다.

민주노동당은 지난해 7월 임시당대회에서 "창당 5주년인 2005년 2월 정기 당대회까지 당원을 10만명으로 확대한다"고 결정하고, 지난해 9월초 '10만당원확대운동본부'를 공식 발족한 바 있다.

각종 투쟁사업에 밀려 당원확대운동 정체

민주노동당의 진성당원 1번은 누구?

민주노동당이 당원번호를 부여한 것은 98년. 당시 민주노동당의 가장 대중적인 정치인은 역시 권영길 전 대표였다.

그러나 권 대표는 1번 당원이 아니다. 당원번호 1번은 최철호 국민승리21(민주노동당 전신) 총무국장에게 돌아갔다.

최 국장은 당시 CMS 당비납부 시스템 도입을 주도했는데, 당시 국민승리21에는 CMS 당비납부 시스템을 놓고 "은행에 당비를 내러가는 것도 투쟁의 일환"이라는 반대 목소리가 있었다. 논란 끝에 시스템을 도입하게 된 최 국장이 먼저 시스템을 시험하기 위해 당원으로 가입한 것이다. 그 뒷번호들도 시스템 도입 실무자에게 돌아갔고, 결국 권영길 전 대표는 21번 당원으로 가입했다.
당시 민주노동당은 "총선에서 당을 지지했던 대중들을 대상으로 조직적이고 공세적 사업을 통해 당원을 배가시키고 10만당원을 반드시 돌파한다"는 포부를 밝히며 "최고위원회를 사업의 책임단위로 배치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이같은 계획은 총선 때 민주노동당을 지지한 국민들을 끌어들여 제3당에 걸맞게 당세를 확장하고, 2006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지역별로 고른 지지도를 확보하겠다는 취지이다.

이를 위해 민주노동당은 그동안 부부 입당시 커플티 증정, 입당릴레이운동 등을 펼쳤다. 몇몇 지역에서는 실제로 당원을 2배로 증가시키는 성과를 이루기도 했다. 지난해 12월 24일에는 뇌종양으로 투병중인 박찬정 전 열린우리당 상임위원이 77세 고령의 나이에 입당하고 자진해서 입당식을 요청하기도 했다.

그러나 목표기간을 2달 남긴 현재, 민주노동당이 당원확대운동이 '10만'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는 어려워보인다. 2005년 사업계획 마련과 당대회 준비가 바쁜데다가 지난 연말과 마찬가지로 2월 임시국회에서도 비정규직 투쟁, 국보법 투쟁 등이 줄줄이 예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말 민주노동당은 당원확대에 모범적인 지구당에 500만원 상당의 차량 1대를 지급하는 등 '10만 당원확대사업에 따른 인센티브제'를 도입하기로 했다가 당내 논란에 부딪혀 하루만에 이를 백지화하는 소동을 겪기도 했다.

현재 10만당원확대운동본부가 내놓은 전략은 당에 우호적인 집단을 지역별로 '찍어서 들어가는' 집단 가입운동이다. 오재영 실장은 "정기 당대회 전에 전 지역순회를 하며 민주노총의 대기업 및 중소기업 노조 등을 만날 것"이라며 "총선이라는 동기가 없는 상황에서 열성 당원들이 움직여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늘어난 덩치에 맞는 당원교육·조직개편 과제로 남아

▲ 지난해 12월 24일 의정부 지역위원회에서 열린 박찬정 당원 입당식. 김혜경 대표가 직접 당원배지를 달아주고 있다.
ⓒ 민주노동당 인터넷실
10만당원확대운동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된다고 해도 과제는 남는다. 총선 이후 늘어난 당원을 말 그대로 '진성당원'으로 정착시키고 간부당원으로 양성해야 한다.

지난 총선 민주노동당의 가장 큰 자산은 휴가를 내거나 직장을 그만두기까지 하면서 선거를 지원한 당원들이었다. 자신은 물론 주변 친구까지 동원해 특별당비를 모으고 선거운동자금을 마련한 것도 당원들이었다.

오 실장은 "정체성을 지키면서도 외연을 넓히는 게 중요하다"며 "올해는 당원대상 교육사업을 활발히 펼칠 것"이라고 밝혔다. 문명학 기획조정실장 역시 "당원들을 교육시켜 지역구별로 공직 후보자들이 나오는 체계를 만들고 비당원 지지자들도 당 주변조직으로 끌어들여야 한다"며 "이같은 체계가 정착되지 않으면 일본 공산당처럼 노후화될 수도 있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또한 늘어난 덩치에 맞는 민주적 의사결정구조 설계도 요구된다. 당원규모가 5만명 정도였던 지난 당대회에서는 성원미달로 주요안건을 처리하지 못하는 웃지못할 사태가 벌어지기도 했다.

대의원은 당원 30명당 1인씩 선출되고 당대회를 비롯한 모든 회의는 재적 과반수의 참석으로 성립한다. 10만당원이면 1600여명이 대회에 참석해야 성원이 되는 셈이다. 몇몇 당직자들은 "현재의 의사결정 구조는 1∼2만 당원시대에 만들어진 것이라서 대규모 당원시대에는 맞지 않다"고 문제의식을 나타냈다.

열린우리당 '기간당원' vs 민주노동당 '진성당원'

열린우리당은 지난해 12월 10만당원을 돌파했다. 당헌 당규를 개정해 '기간당원제'를 도입한지 3개월만의 성과다.

이같은 초고속 성장은 열린우리당이 상대적으로 대중정당이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4월 전당대회를 겨냥한 각 계파간 세불리기 경쟁의 결과이기도 하다. 지역 당원협의회가 당내 후보경선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당내 각 계파가 우호적인 기간당원 확보에 나선 것이다. 이 때문에 충남 연기군과 전남 순천 등 재보궐 선거 예상지역에서 기간당원이 많이 모집됐고, 일부 지역에서는 당비 대납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다.

열린우리당의 기간당원은 월 2000원씩 6개월간 당비를 낸 뒤 당권을 행사할 수 있다. 당원협의회 회장은 대의원으로 당의장과 상임중앙위원 선출이나 중요 안건 의결에 참여할 수 있다. 열린우리당 당규는 "기간당원 50명 내지 100명당 1인씩을 추가해 대의원을 선출할 수 있다"고 명시하고 있다.

민주노동당의 진성당원은 월 1만원 당비를 납부해야 하고 3개월부터 당권을 행사한다. 진성당원은 당대표를 포함한 최고위원과 해당 선거구의 지방자치의회 의원·국회의원 후보와 같은 주요 당직과 공직, 분회장·대의원·중앙위원 선거에서 선거권 및 피선거권을 가진다. 또한 민주노동당 진성당원은 각 지역 및 직장별 분회조직에 참여해 정치활동을 전개할 수 있다.

오재영 민주노동당 조직실장은 "열린우리당 당원들은 국가보안법 폐지하라고 시위까지 하는데 당론은 소수 엘리트에 의해 결정되지 않냐"며 "열린우리당 구조가 나아지고는 있지만 당원들이 핵심 당론 결정에는 참여하지 못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