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아내는 농사일에 서툽니다. 밭에 나가면 그래도 즐거워합니다. 해강이 솔강이와 함께 고구마밭에서 고추를 따서 나오는 모습.
아내는 농사일에 서툽니다. 밭에 나가면 그래도 즐거워합니다. 해강이 솔강이와 함께 고구마밭에서 고추를 따서 나오는 모습. ⓒ 김규환
여러 해 전부터 귀향을 결심하고 아내 동의를 구하는 데는 어렵지 않았다. 결혼한 지 5년 됐지만 아파트 옆을 지날 때마다 “우리도 청약통장을 꺼내 써야 되는 것 아니냐?”며 욕심을 버리지 않던 아내에게 드디어 내려갈 날을 못 박자 아파트 장만에 대한 미련은 포기했다.

어찌 보면 짧은 기간인 1년 밖에 남지 않아서인지 최근 아내는 무척 궁금한 것이 더 많아졌다. “우리는 어디 사느냐? 자신도 거기서 일을 해야 하는가? 음식은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 다니던 직장은 어디로 하는 게 좋은가? 너무 멀지 않은가” 등 부지런을 떤다.

거리 문제는 산채원이 정식 개장할 2~3년 후에 호남고속철도가 뚫리면 광주까지 2시간대로 주파가 가능하고 호남고속도로 장성-담양 간 우회로가 개통되니까 최소 20~30분 절약되어 2시간 30분 내에 서울에서 도착할 수 있고, 주 5일제 근무로 크게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더군다나 포장 문제만 개선이 된다면 날로 혁신되고 있는 물류와 유통으로도 물건이 상하지 않게 할 수 있다.

다니던 직장은 공무원이라는 특혜를 활용하여 다닐 수 있을 때, 다니고 싶을 때까지는 계속 다니는 게 좋겠다는 의견을 말했다. 얼마 전 희망근무지역을 신청하라고 했을 때 나는 광주와 순천쯤으로 하는 게 좋다고 했다.

내 고향인 화순 북면 백아산에서 공히 25분이면 광주나 순천까지 어김없이 도착을 하니 걱정할 게 없다고 했다. 호남고속도로 옥과 톨게이트에서 불과 10km 밖에 떨어져 있지 않으니 이 또한 혜택이다.

결국 산채원을 만들면 외지 사람들이 와서 먹고 자고 할 것인데 먹는 문제는 현지 아주머니들을 직원으로 써서 해결하면 된다. 직장에 더 적성이 맞는 아내는 주말에나 집안일을 거들면 되고 정식 개원을 하더라도 집과 산채원을 엄밀히 구분하여 사업적 마인드로 접근을 하는 것이니 두 가지 문제가 해결된 셈이다.

그렇다면 올 연말이나 내년 초에 서울에서 이삿짐을 싸게 되면 당장 어디서 살 것인가가 걸리게 된다. 나도 오랫동안 그 숙제를 풀지를 못했다. 정말이지 20년 가까이 아내는 장수와 전주, 나는 화순과 담양을 떠나 서울에서 살다시피 했으니 지방물정 잘 모르고 몸마저 도시 생활에 익숙해져 있다.

근육도 쓰지 않은 부분이 많고 부족한 것 투성이인 시골에서 밥 한 끼나 제대로 해먹을 수 있을까 불안감을 떨치지 못하는 게 인지상정이다.

이번 설에 고향에 내려가서 본 눈밭 봄동
이번 설에 고향에 내려가서 본 눈밭 봄동 ⓒ 김규환
실마리를 풀기 위해 고심하던 차 광주 외곽지역 집값을 알아봤다. 서울에선 4000만원이면 반지하나 옥탑방을 면치 못하지만 광주로 내려가면 아파트 전세도 가능하고 여기에 1~2천만원만 보태면 아예 아파트를 구입할 수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그래, 굳이 처음부터 시골에 살 필요가 있을까?” 이게 답이었다. 아내 발령지가 어디가 될지 모르겠지만 광주나 순천에서 고향 집에까지 30분이 걸리지 않는 가까운 곳이라면 2~3년 동안 내가 출퇴근을 하면 되는 것 아닌가?

지방 생활에 익숙해질 때까지는 주말마다 도시에서 나들이 나가듯 편하게 접근하도록 배려하는 것이 내 할 일이다. 아이들도 친구들이 많이 있는 데서 어울리도록 하고 자연에 대한 감수성을 길러주고 아버지가 열심히 일하는 모습을 지켜보도록 훈련하는 것이 급격한 생활 환경의 변화에서 오는 혼란을 막을 수 있다.

나에게도 느긋한 접근이 유리한 데가 있다. 자칫 사람들과 유리되는 단점을 극복할 수 있고 도시사람들이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지 감을 잃지 않는 기회이기도 하다. 귀향 또는 귀농, 낙향을 한답시고 가진 돈 절반을 넘게 땅 사는데 투자하고 집부터 짓다보면 3년을 버티지 못하고 쫄딱 말아먹고 도망쳐오듯 빠져나온다는 사례를 수도 없이 보아왔지 않은가.

더디 가도 고향으로 가는 것이고 1~2년 늦춘들 고향이 어디 사라지기나 하는 건가. 오가며 사람들을 만나서 조언을 듣고 행여 산채원에 불이라도 나면 내 일이라 생각하고 뛰어올 사람 가까운데 사귀어두면 얼마나 든든하겠는가.

도시에서 살면서 날마다 작업복을 입고 나갈 때 동네 사람들이 “김규환씨 날마다 어디 가십니까?” 하면 “예, 산채원 만들러 내 고향 백아산에 갑니다. 언제 한번 같이 가실래요?” 하면 그냥 약초나 캐러 다니는 사람으로 여기지도 않을 것 아닌가.

정리하자면 나는 고향에 뼈를 묻기 위해서 가는 것이지 잠시 쉬러 가지 않는다. 노닥거리며 풍류를 읊기는 열심히 일한 다음에 자연스레 얻을 것이니 젊은 날 아까운 시간을 허비할 못난이가 아니다.

이제 내 생의 절반도 살지 못한 나는 우리 고향에 다시 그립던 친구들이 돌아오도록 유도하고 도시생활에 지친 방랑자들과 도시에서 사귄 사람들이 맘 놓고 와서 즐길 터전을 마련하는 막중한 책임이 있다. 그러니 한 치의 오차가 없도록 꼼꼼히 챙기려면 황소걸음으로 걷는 자세가 필요하다.

영원한 동반자 아내는 그냥 옆에만 있어도 든든하다. 그와 함께 산채원을 오래 거닐고 싶다. 불안감 해소는 필수사항 아닌가.

이번 설에 본 눈밭 야생 냉이. 향이 대단했습니다.
이번 설에 본 눈밭 야생 냉이. 향이 대단했습니다. ⓒ 김규환

덧붙이는 글 | 김규환 기자는 <잃어버린 고향풍경1>을 냈다. 홍어를 좋아하는 사람들의 모임(cafe.daum.net/hongaclub) 대표이며 전남 화순 백아산 고향으로 귀향하여 산채원(山菜園)을 만들 꿈을 꾸고 있다. 산채원에 관심있는 분들은 cafe.daum.net/sanchaewon에 들러 동참하길 바란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김규환은 서울생활을 접고 빨치산의 고장-화순에서 '백아산의 메아리'를 들으며 살고 있습니다. 6, 70년대 고향 이야기와 삶의 뿌리를 캐는 글을 쓰다가 2006년 귀향하고 말았지요. 200가지 산나물을 깊은 산속에 자연 그대로 심어 산나물 천지 <산채원>을 만들고 있답니다.도시 이웃과 나누려 합니다. cafe.daum.net/sanchaewon 클릭!

이 기자의 최신기사역시, 가을엔 추어탕이지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