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의 포털 <야후>가 중국 당국이 추적중이던 반체제 기자의 체포와 기소를 도운 정황이 폭로돼 파문이 일고 있다.
'국경없는 기자회'는 7일 성명에서 <야후>가 국가기밀누설 혐의로 중국당국의 추적을 받아 오던 반체제 성향의 기자 '스타오'의 인터넷 접속 정보를 수사당국에 제공해 체포를 도운 혐의가 있다고 주장했다.
성명에 따르면 스타오 기자가 이메일을 접속할 때 사용한 인터넷 주소 등을 <야후> 측이 수사당국에 제공해 검거를 도운 사실이 재판기록에 남아있다는 것. 스타오 기자는 국가기밀누설죄로 지난 4월 징역 10년형을 선고받았다.
국가기밀누설죄는 보통 중국 당국이 반체제 성향의 인사를 탄압할 때 단골로 활용하는 죄목. 해외에 소재한 중국의 반체제 사이트들은 스타오 기자가 유출한 문건이 천안문 사태 기념일을 즈음해 통제를 강화하라는 지시를 담은 중국 공산당 선전국의 문건에 불과했다며, 중국 당국이 내세우는 국가기밀누설죄는 터무니 없는 소리라고 반박했다.
<야후> 측은 어제 공개한 발표문에서 "다른 글로벌 기업과 마찬가지로 야후 역시 사이트를 운영중인 국가의 법과 규정, 관습 등을 준수해야 한다"고 해명해 국경없는 기자회의 성명내용을 사실상 시인했다.
<야후>는 한달 전 중국 최대의 전자상거래 사이트인 알리바바에 10억달러 이상을 투자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중국에 진출했거나 진출을 모색 중인 거대 닷컴기업이 인권보다 중국 당국의 눈치를 보며 몸을 낮춘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포털 서비스인 MSN은 중국 당국의 요구에 따라 중국어판 사이트에서 "자유" "민주주의" 등의 단어가 검색되지 않도록 조치했던 것으로 <파이낸셜 타임스>의 보도로 드러난 바 있다.
세계 최대의 검색엔진 구글 역시 중국 당국이 폐쇄를 요청한 요주의 사이트들이 검색 결과에 나타나지 않도록 협조했고 천안문사태를 전후해서는 파룬공 등 정치색을 띈 민감한 단어들이 아예 검색되지 않도록 협조하기도 했다. 구글은 중국의 네티즌들이 어차피 해당 사이트에 접속하지 못하기 때문에 검색결과에서 삭제한 것이라고 해명 한 바 있다.
'국경없는 기자회'는 "야후가 제공한 정보로 인해 훌륭한 기자가 큰 희생을 치렀다"고 지적하고 "중국 당국의 인권탄압에 단순히 눈을 감는 것과 적극적으로 협조하고 나서는 것은 완전히 다른 차원의 문제"라며 야후 측을 격렬하게 비난했다
13억 중국시장에 군침을 흘리는 글로벌 닷컴 기업들이 도덕성과 눈 앞의 이익 사이에서 큰 딜레마에 빠져드는 형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