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작은 천사 '대현'이를 그리는 마음이 절절한 시집.
작은 천사 '대현'이를 그리는 마음이 절절한 시집. ⓒ 도서출판 산
시인에 대한 감동이 너무 컸던 탓이다. 손에 펼쳐 든 한 권의 시집은 차라리 가슴을, 심장을 내려치는 몽둥이질이었다. 분명히 읽어내려 간 것은 눈인데, 정작 아픈 건 가슴이었다.

장은경 시인의 <둥기둥기 둥기야>를 처음 접한 건, 지난 11월 26일 경기도 이천에서 열렸던 시집 출판기념회에서였다. 당시 기념회 현장은 눈물로 어우러진 바다였다. 시인이 <둥기둥기 둥기야>를 쓴 사연 때문.

보고 싶다 아가야, 나의 첫사랑아

<둥기둥기 둥기야>는 작은 천사 '대현'이를 향한 시인의 간절한 그리움과 못 다 부른 사랑의 노래다. 대현이는 시인이 함께 보듬고 생활한 뇌성마비 장애아로 3살 때 만나 12살이던 지난해 하늘 나라로 갔다. 9년간 함께 있으면서 오직 도리도리밖에 할 수 없었던 아이를 향한 시인의 사랑은 보는 이를 눈물짓게 만든다.

누구 뭐래도 / 첫사랑은 너야. / 알고 있지. / 얼마나 / 얼마나 그리워하는지 / 내가슴이 까맣게 해바라기 씨로 여물어 / 날마다 우수수 쏟아지는 걸.
보고 싶다. / 아가야. / 나의 첫사랑아.

- '첫사랑' 전문(72쪽)


시인이 출판기념회에서 '둥기둥기 둥기야'를 낭송하자 누구보다 눈물을 쏟아냈던 건, 대현이와 함께 생활하던 형과 누나들이었다. 시인 못지 않게, 대현이는 대부분 지능지수 50미만인 이들의 기억 속에도 그리움으로 살아 있었던 것.

가끔 나의 외출을 확인하면서
아이의 흔적이 고스란히 남아있는 옷장을 열고
단 한 번도 입어 보지 못한 새 옷을
만지작거리는 아이들,
작은 국솥의 이름을 아직도 애기 국솥이라고
해야 알아듣는
우리 집 아이들,
나의 절망을 알기에 단 한 번도 먼저 아이의
이름을 부르지 못하고
잊은 듯이 살던 아이들.
그러나 그 아이들의 기억 속에서도 고스란히
남아있는 우리 대현이 둥기야~
- '둥기둥기 둥기야' 중 일부(65쪽)


시인은 자신도 항상 휠체어를 타야 하는 1급 신체장애를 지녔다. 그럼에도 그녀는 장애우들의 공동체인 '작은 평화의 집' 원장으로서 13명의 장애우들을 보살피고 있다. 그런 그녀를 사람들은 '휠체어를 탄 천사'라고 부른다. 하지만 시인은 삶 속에서 아이들을 사랑하는 두려움을 고백하며 스스로 죄를 묻기도 하는 평범한 사람에 지나지 않는다.

대현이와의 이별 후, 나는 더 이상 따뜻한
가슴으로
아이를 안아준다거나
손을 잡아 입을 맞춘다거나
사랑을 표현하는 일에 인색합니다.
아닙니다. 전혀 하지 못했습니다.

(중략)

그렇습니다.
떠나갈 아이에 대한 염려와 서글픔이
아니었군요.
남아서 다시 수저질을 하면서 생명연장의 길을
서걱거리며 가야하는
내 자신에 대한 연민이었군요.
죄스럽습니다.
- '아직 멀었어요' 중 일부(83쪽)


지난 11월 26일, 개그맨 김은우, 장 시인 어머니, 김명훈 시인, 장은경 시인, 장애우가 함께 시집출판기념회 축하케잌을 끄고 있다.
지난 11월 26일, 개그맨 김은우, 장 시인 어머니, 김명훈 시인, 장은경 시인, 장애우가 함께 시집출판기념회 축하케잌을 끄고 있다. ⓒ 최육상
천사라 불리지만 사랑의 두려움을 고백하는 시인

시인은 또한 자신이 입은 장애에 마음 아파함을 고백하기도 한다. 발도장 대신 몸도장을 찍고, 신발 때문에 꿈에서 울기도 하고, 때론 진통제를 깨물며 아픔을 이겨내고 있음을 솔직하게 표현한다.

눈 위에 발도장 한 번 찍어본 일이 없던 나, / 언젠가 엄청나게 쏟아진 눈, / 삼촌의 도움으로 아무도 밟아본 적이 없는 / 하얀 눈밭에 / 몸도장을 찍었었다.
- '눈밭, 마음밭' 중 일부(124쪽)

내게 신발은 / 걷기 위한 도구가 아니다. / 조막발을 감춰주는 / 가리게 일뿐 / 흙 한 번 묻혀본 일, / 눈 한 번 밟아본 일 없다.
그러나 / 그 신발 때문에 / 꿈에서 운다.
- '신발' 중 일부(131쪽)

담배를 피워 물 듯 / 진통제를 이로 물었다. / 입안 쏴하고 / 번지는 / 떨감 보다 / 떫은 맛, / 산다는 것이 / 가끔은 너저분한 환각상태로 다가온다.
- '가게를 보며' 중 일부(142쪽)


하지만 시인은 대현이를 잃은 슬픔과 장애를 입은 자신의 모습을 결국은 희망으로 이야기한다. <둥기둥기 둥기야>가 지닌 사랑의 힘은 여기에 있다. 눈물콧물 쏙 빼게 만들면서도 가슴을 따뜻하게 하는 힘이 있다. 시인의 희망과 사랑은, 또 다른 대현이와 13명의 평화의 집 아이들을 통해서 무럭무럭 자라난다.

너를 거부하던 이들에게 가르쳐주자.
그렇게 최선을 다하는 아름다운 곳에서
또 다른 대현이들이 오래오래 살아 갈 수 있게
해야지.

둥기둥기 둥기야~
어절씨구 둥기야~
둥기둥기 둥기야~
나는 아직도 너를 이렇게 어르고 잇다.
우리 아가 다시 만나는 그 날까지,
둥기둥기 둥기야~
- '둥기둥기 둥기야' 중 일부(67~68쪽)

참 의젓하지요. / 있는 듯 없는 듯 제 몫의 책임을 다하는 아이.
그 마음에 가득한 정이 얼마나 깊은지 / 대현이를 보내놓고 알았습니다.
자주 오는 아저씨의 손을 붙잡고 / 뚝 뚝 떨구던 눈물, /
'대현이가 안와요.'
- '종수' 중 일부(86쪽)


"착한 사람 되고 싶어 시 쓴다"

시인은 첫시집 <날마다 고백을 해도 가슴에 남을 그리움>에서 "착한 사람 되고 싶어 시 쓴다"고 고백했었다. 하지만 출판기념회 날 시평을 했던 김명훈 시인은 "장 시인은 착한 사람이라서 시를 쓰는 것 같다"며 "시집을 처음 펼쳤을 때 단숨에 끝까지 읽을 수밖에 없었는데, 수십 번을 읽고 또 읽어봐도 눈물 짓게 하는 슬픔이 느껴지면서도 절망을 희망으로 바꾸는 묘한 힘이 있었다"고 덧붙였다.

대현이를 몇 날 며칠이고 팔에 안고 간호하느라 어깨의 인대가 여섯 군데나 찢어지고 근육이 파열되던 것도 모르던 시인. 그녀가 피로 쓴 혈서와 같은 시 하나하나는 이 겨울 차가운 슬픔과, 참회의 눈물과, 따뜻한 감동을 함께 선사할 것이다.

덧붙이는 글 | <둥기둥기 둥기야> 장은경 시 / 도서출판 산 / 7000원

장은경 시인이 원장으로 있는 ‘작은 평화의 집’ 카페  바로가기


둥기둥기둥기야

장은경 지음, 산(최병규)(2005)


댓글
이 기사의 좋은기사 원고료 5,000
응원글보기 원고료로 응원하기

전북 순창군 사람들이 복작복작 살아가는 이야기를 들려드립니다.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