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이미지와 연기력, 안티팬들의 맹공까지, 가수출신 연기자들이 극복해야할 도전과제는 많다.
이미지와 연기력, 안티팬들의 맹공까지, 가수출신 연기자들이 극복해야할 도전과제는 많다. ⓒ MBC
연예인으로서 인기 수명이 짧은 가요계에 비하여, 나이 들어서도 활동이 가능하고 이미지 변신이 수월한 연기자 진출은 아이돌 스타들에게는 매력적인 요소다. 드라마와 영화가 사실상 한류의 중심 컨텐츠로 부각되고 있다는 점도 가수 출신 스타들의 연기자 변신을 부추기는 요소다.

몸값 비싼 주연급 스타배우를 확보하기 어려운 드라마에서는, 어느 정도 인지도와 화제가 보장되는 가능성 있는 가수 출신 배우들을 대안으로 적극 활용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문정혁, 정지훈, 유진, 정려원, 김동완 등은 이제 어느 정도 연기자로서도 어색하지 않은 지명도를 갖춘 케이스다. 이미 각 방송사의 화제작들마다 그 중심에는 벌써 적지 않은 가수 출신 배우들이 자리 잡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부상, 안티팬, 고정된 이미지 등 극복해야할 변수 많아

하지만 가수 출신 배우들의 캐스팅이 성공을 보장하느냐에 대해선 변수도 많다. 지명도만 믿고 섣불리 덤벼들었다가 낭패를 본 경우가 적지 않기 때문이다. 가수 출신 배우들은 완전한 신인과는 달리, 어느 정도 인지도가 보장되고 캐릭터에 따라 화제를 일으킬 수도 있지만, 자칫하다가는 부실한 연기력과 잘못된 이미지 캐스팅으로 역풍을 맞을 가능성도 많다.

최근 가장 화제를 모았던 것은 역시 문정혁과 윤은혜다. 드라마 <불새> <신입사원>으로 이미 연기자로서 성공적인 입지를 구축한 바 있는 문정혁은 <늑대>를 통해 또 한번 연기 변신을 시도하려 했으나 예상치 못한 부상으로 제동이 걸렸다.

현재 3회까지 방영된 <늑대>는 배우들의 부상으로 모든 촬영이 중단된 상태며, 조속한 복귀를 장담할 수 없는 탓에 자칫 드라마 제작 전면중단의 위험까지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윤은혜는 박소희의 동명만화를 원작으로 한 <궁>의 히로인 '신채경' 역을 맡아 데뷔부터 굵직한 대형 드라마의 주인공을 차지하는데 성공했지만, 오히려 제작 단계에서부터 미스캐스팅 논란에 시달리며 안티 팬들의 십자포화에 시달려야 했다.

대체적으로 안티 팬들은 남성보다 여성 가수 출신 연기자들에 대하여 좀더 평가가 냉혹한 편이다. <남자가 사랑할 때>의 박정아, <세잎클로버>의 이효리 등은 모두 저조한 시청률과 혹독한 비판에 시달린 바 있다. 거기에는 연기력 문제도 있었지만 대체로 배역에 어울리지 않는다는 '이미지'와 관련된 시비가 적지 않다.

특히 윤은혜의 경우처럼 '원작'이라는 직접적인 비교 대상이 있는 경우에는 자연히 평가가 까다로울 수밖에 없다. 현재 6회분을 넘어선 <궁>은, 윤은혜의 연기에 대하여 여전히 긍정과 부정적인 평가가 극명하게 엇갈리고 있는 상황.

샤크라 출신의 정려원은 지난 한 해 천국과 지옥을 모두 맛본 독특한 케이스다. <내 이름은 김삼순>에서 조연급으로 등장했을 때만하더라도 차분하고 여성적인 매력을 드러내며 호평 받았지만, 곧이어 출연한 <가을소나기>에서는 아직 주연을 감당하기에는 부족한 연기력과 단순한 표정 연기의 한계를 드러내며 혹독한 비판에 시달리기도 했다. 현재 차기작으로 김래원과 공연하는 표민수 PD의 신작 <공주님>(가제)의 주연으로 재도약을 꿈꾸는 상황.

지명도에 기대어 단숨에 대형 작품의 타이틀 롤을 따내는 아이돌 스타들과 달리, 느리지만 실용적인 행보를 걸어가고 있는 경우도 있다. 신화 출신의 김동완은 영화 <돌려차기>, 드라마 <천국의 아이들>에서 주연을 맡기도 했지만, 이후 <떨리는 가슴> <슬픔이여 안녕>과 같은 가족 드라마들을 통하여 시청률과 작품적 완성도, 연기력 면에서 고루 호평을 얻은 바 있다.

일일극 <사랑은 아무도 못 말려>를 통해 본격적인 연기 활동을 시작한 홍경민이나 연극 <병사와 수녀>를 선택한 여성 그룹 쥬얼리 출신 조민아의 경우도 비슷한 사례. 이들은 흔히 젊은 팬들의 관심을 끌 수 있는 트렌디드라마나 청춘물의 주연을 맡기보다 홀로 극을 이끌어가야 할 부담이 적고 선배들과 함께하는 앙상블 드라마에서 '주연급 조연'으로 활약하며 착실하게 기본기를 쌓아하고 있는 케이스.

작년 화제작으로 기대를 모았던 <러브홀릭>의 강타나 <이 죽일놈의 사랑>의 정지훈이 나름대로 열연을 펼쳤음에도 불구하고 배우들의 이미지와 '스타띄우기'에만 의존한 부실한 구성으로 '원톱형 드라마'의 한계를 보여준 것과 좋은 대조를 이룬다.

이미지와 연기력에 따라 좋은 모습을 보여준 경우도, 그렇지 못한 경우도 있지만 어쨌든 앞으로도 당분간 가수 출신 연기자들의 드라마 진출은 계속될 전망이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역시 지명도만 믿고 어설프게 달려들기보다 그에 걸맞은 기본기를 갖추어야 한다는 점이다. 크게 성공한 몇몇 사례보다 알고 보면 섣부른 도전으로 실패의 쓴맛을 본 경우가 많다는 점. 만능 엔터테이너로 변신을 꿈꾸는 스타들이 상기해야할 부분이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