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경기도 평택시 미군 K-55(일명 오산공군기지) 공군기지와 인근 마을.
경기도 평택시 미군 K-55(일명 오산공군기지) 공군기지와 인근 마을. ⓒ 권우성

경기도 오산 공군기지 헌병대대 병사들이 지난 수년간 군용품을 빼돌려 미군에 판매한 뒤 1인당 30~200달러 이상씩 챙겨 전역했다는 의혹이 불거졌다.

최근 국방부에는 이 부대를 전역한 병사들이 군용품을 빼돌려 일정한 돈을 받고 미군들에게 넘기고 있다는 제보가 접수됐다. 공군본부 감찰관실은 지난 2월 말부터 해당 부대를 대상으로 감찰 조사를 벌이고 있다. 미군이 사용하는 오산 기지에는 한국 공군헌병들도 방공통제 및 경계 임무를 맡아 함께 복무하고 있다.

이 부대 출신 병사들은 2003년 이후 일부 병사가 함께 근무하는 미군들에게 헬멧이나 헌병 장구류, 행사복 등 군용품을 종류별로 30~200달러씩 받고 팔아넘겼다고 주장하고 있다. 특히 이들은 병사들이 전역 직전 미군과 접촉해 흥정한 뒤 물건을 넘겨 범죄사실이 잘 드러나지 않았다고 전했다.

현행 '군복 및 군용장구의 단속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해당 군용품은 병사들이 전역 직전 모두 부대에 반납하도록 돼 있다.

전역병들 증언 "군용품 종류마다 일정한 가격 매겨져 있다"

병사들이 팔았다는 군용품은 공군 헌병들이 쓰는 헬멧과 완장, 장구류(가죽벨트, 흰색 장식끈 등)처럼 소품부터 전투복과 스키파카, 행사복 등 의류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이 부대 전역병들에 따르면, 거래되는 군용품에는 각각 일정한 시세가 매겨져 있을 정도로 매매가 일상화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최근 이 부대에서 전역한 황아무개(25)씨는 "매매되는 군용품은 대부분 일정한 가격이 매겨져 있다"고 말했다. 그는 "파이버(헌병 헬멧)는 미화 50달러, 완장은 미화 30달러, 헌병 행사복은 미화 200달러 가량 됐던 것으로 기억한다"고 전했다.

황씨는 복무 당시 한국군 헌병대대 병사와 미군이 군용품을 매매하는 현장을 직접 목격했다고 밝혔다. 그는 "직접 목격하거나 매매 내용을 들은 것은 1~2건에 불과하지만, 당시 부대 내에는 누가 얼마를 받고 물건을 팔았다는 소문이 공공연히 떠돌았다"고 전했다.

그와 비슷한 시기에 같은 부대에서 복무한 다른 전역병들의 증언도 황씨와 일치하고 있다. 지난 2002년 이 부대로 전입해 2004년 전역한 A(26)씨는 "(군용품 절도판매는) 꽤 있었던 일"이라고 말했다. A씨도 매매현장을 두 차례 목격했지만, 실제로는 더 많았을 것이라는 설명도 곁들였다.

그는 "군용품을 판매한 사람이 꼭 집어 몇 명이라고 밝히기는 어렵다"면서도 "병사들이 제대하는 마당에 '이 정도는 괜찮지 않겠느냐'는 생각으로 대책 없이 저지른 일이었다"고 덧붙였다.

지난해 말 이 부대에서 전역한 B(24)씨도 "당시 파이버(헌병 헬멧) 가격이 개당 20달러가량 됐던 것으로 들었다"며 황씨 등의 증언을 뒷받침했다. 다만 그는 "한 번 군용품 매매를 목격한 적은 있으나 돈으로 바꾼 것은 못 봤다"고 밝혔다.

B씨는 "내가 본 것은 돈으로 바꾼게 아니고 미군 병사들에게 지급되는 고어텍스 의류와 군용품을 바꿨던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르면 헌병대대 병사들은 달러를 받고 군용품을 파는 것 외에도 미군 물품과 한국군 물품을 맞바꾸는 물물교환도 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B씨는 "우리 기수가 선임병이 됐을 때는 후임병들에게 물품판매를 금지했다"고 덧붙였다. B씨의 증언을 감안하면, 군용품 판매 관행은 최근까지 이어져온 것으로 보인다.

일부 병사 '매매금지' 요구하자 되레 전출... 은폐의혹도 제기

헬멧, 의류 등 군용품이 미군에게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사진은 남대문 시장 한 가게에서 팔고있는 각종 군용 물품들.(사진은 이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헬멧, 의류 등 군용품이 미군에게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사진은 남대문 시장 한 가게에서 팔고있는 각종 군용 물품들.(사진은 이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 오마이뉴스 이승훈
미군이 헬멧이나 장구류 등 한국군 물품을 사들이는 이유는 전역 후 기념품으로 갖고 가기 위한 것으로 알려졌다. A씨는 "미군의 경우 1~2년 후 귀국하기 때문에 현지에서 기념품으로 한국군 물품을 사들인다"고 밝혔다.

한편 전역병들의 '군용품 절취 매매'는 이미 오래전부터 내부에서 문제가 제기됐지만, 해당 부대 간부들은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간부들은 군용품 절취 매매를 오히려 은폐하려 했다는 의혹도 받고 있다.

황씨는 "헌병대대 복무 당시 중대장을 비롯한 간부들에게 군용품 매매를 금지시켜 달라고 여러 차례 요청했지만 모두 묵살당했다"고 주장했다. 군용품 매매금지 조치를 취하기는커녕 '관심사병'으로 몰아 다른 부대로 전출시켜 버렸다는 게 황씨의 주장이다.

또다른 전역병인 C(24)씨도 간부들에 의한 은폐가 있었다고 주장했다. C씨는 "공군 작전사령부 근무지원단 헌병대대 복무 당시 병사들의 군용품이 헌병헬멧, 행사복 등을 미군 병사들에게 판매했던 것을 목격했다"고 밝혔다. 그는 "헌병대 간부들이 이런 문제를 은폐했다"고 주장했다.

공군본부 감찰실 "전역자 추가 조사 검토 중"

하지만 해당 부대의 설명은 정반대다. '군용품 절취 매매'로 인해 공군본부 감찰실로부터 조사를 받은 사실은 맞지만 근거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는 것. 헌병대대 관계자는 "감찰조사 결과 혐의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면서 "자세한 내용은 공군본부 감찰실에 직접 확인하라"고 답했다.

이 부대 출신으로 미군에게 군용품을 판매한 것으로 지목된 한 전역병은 "물품을 판매한 사실도 없고, 그런 말은 듣지도 못했다"며 관련 사실을 부인했다.

그는 "병사들이 불량품 헬멧이나 오래돼 폐기되는 옷을 기념품으로 미군에게 주는 일은 간혹 있지만, 돈받고 파는 일은 전혀 없다"고 반박했다. 또 "미군도 한국을 떠날 때 같이 복무한 한국군에게 배지를 기념품으로 주고 간다"며 물품을 건네는 일이 단순한 기념차원에서 이뤄진 일이라고 해명했다. 돈거래나 물물교환은 없었다는 주장이다.

현재 공군본부 감찰실은 해당 부대에 대한 현지조사를 마치고 추가 조사 여부를 고민하고 있다. 감찰실 관계자는 "해당 부대를 감찰조사했지만 2년 이상 지난 사건이고 관련자들도 모두 전역해 조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전역자들을 대상으로 추가 조사하는 것도 고려 중"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이번 조사에서 정황증거를 포착하지 못했지만 공군 물품의 보급과 관리에서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는 점이 파악됐다"며 앞으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2001년 오마이뉴스 입사 후 사회부, 정치부, 경제부, 편집부를 거쳐 정치팀장, 사회 2팀장으로 일했다. 지난 2006년 군 의료체계 문제점을 고발한 고 노충국 병장 사망 사건 연속 보도로 언론인권재단이 주는 언론인권상 본상, 인터넷기자협회 올해의 보도 대상 등을 받았다.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