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 위창남
이른 아침, 인터넷 뉴스 화면을 훑어보던 시선이 문득 한곳에 고정되었다. '매도 먼저 맞는 게 낫다'는 우리 속담을 과학적으로 증명하는 재미있는 실험결과가 나왔다는 것이다.

뉴스 내용을 좀 더 들여다보니, 미국 에머리대 그레고리 교수팀이 32명의 자원자를 모아 이 실험을 하였다는 것이다. 실험은 자원자의 다리에 1~27초 동안 전기충격을 가하고 충격의 정도는 바늘로 찌르는 수준으로까지 설정한 다음, 뇌 반응을 자기공명영상으로 촬영했다는 것이다.

이들 중 9명은 20초를 기다리는 약한 충격보다는 3초만 기다리면 되는 강한 충격을 선택했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 9명에게서는 충격을 기다리는 도중에도 자극에 의한 통증을 감지하는 뇌 부분에서 실제 충격이 가해졌을 때만큼이나 강한 반응이 관찰됐다는 것이다.

연구진에 따르면, 충격을 기다리는 시간이 그 충격만큼이나 고통스럽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는 곧 '어차피 당해야 할 일이라면 먼저 치르는 게 낫다'는 속담 그대로의 의미를 여실히 증명해준 실험결과라는 점에서 공감이 가고도 남았다.

그러나 참 일리 있는 실험결과라고 공감이 가는 순간, 꼭 그렇지만도 않다는 생각에 그만 피식 웃어버렸다.

먼저 '맞는 매'에 대하여 나만큼 철저하게 경험한 사람이 또 있을까 싶어서였다. 여고 3학년 때였다. 키 순서대로 번호를 정하다보니 내가 1번이 되었다.

그래도 1학년이나 2학년 때는 1번을 면하여 3번도 하고 5번도 했는데, 3학년 때는 당당한(?) 1번이 되고 말았다. 그 당당함이라 건 어중간한 중간보다는 그래도 맨 앞이 낫지 않을까하는 스스로의 위로 같은 것이었다.

나는 학력고사 세대이다. 따라서 고등학교 3학년 때는 학력고사를 대비한 오만가지 시험의 홍수 속에서 살았다는 게 맞는 말일 것이다. 학교에서 보는 시험은 기본이고 교육청에서 실시하는 시험, 또 전국적으로 실시하는 모의고사 등 하여간 한달에 두세번은 기본으로 시험을 본 것 같다. 그런데 그 시험이 당당한 내 1번이라는 번호를 증오하게 만들었다.

시험을 보고난 후 시험성적이 나올 때쯤이면 난 없는 병이라도 만들어 결석이라도 하고 싶었다. 시험성적은 문제가 아니었다. 성적이야 잘 나올 때도 있고 못 나올 때도 있는 법. 성적보다 중요한 건 바로 틀린 개수였다. 틀린 개수만큼의 벌! 그 벌이란 것이 여고생으로선 참 감당하기 버거운 것이었다.

"1번부터 나와. 몇 개야? 책상 짚고 엎드려!"

대걸레의 긴 막대가 18살 소녀의 여리고 여린 엉덩이에 짝짝 달라붙었다. 틀린 개수만큼 엉덩이에서 불이 났다.

5~6대를 지나면서부터는 아픈지 어떤지 도대체 그 어떤 감각도 느낄 수가 없었다. 차라리 닭똥 같은 눈물이라도 뚝뚝 흘려주면 좋으련만…. 평소엔 그리 잘나오던 눈물도 그 순간만 되면 왜 한방울도 나오지 않는지. 우는 아이에게 가끔 매타작을 감해 주는 선생님의 눈물겨운 그 아량마저도 나는 혜택을 보지 못했다.

그런데 벌도 벌이지만 벌로 인한 여파가 만만치 않았다. 우선 자리에 앉을 수가 없었다. 어찌나 화끈거리는지…. 부싯돌들이 서로 불을 일으키는 것처럼 내 엉덩이와 막대가 무지막지하게 부딪혀 불을 낸 것은 아닌가 하는 참으로 황당무계하고 어리석은 상상을 한 적도 있었다.

다음으로 괴로운 것이 목욕탕엘 갈 수 없다는 것이다. 막대자국이 선명할뿐더러 빨갛고 시퍼렇고 온통 총천연색인 몸의 어느 한 부분(?) 때문이다. 여리디 여린 심성의 여고생이었다. 어지간히 당당하지 않고는 정말이지 남에게 드러내 보일 수 없는 치부였다. 일주일에 한번 친구들과 대중탕 가는 것이 그나마 수험생으로서 유일한 낙이었건만….

그러던 어느 날, 키 큰 뒤 번호 친구들과 수다를 떨던 중 귀가 솔깃해지는 이야기를 듣게 되었다. 그 친구들은 10대 정도까지는 그렇게 통증을 느끼지 못한다는 것이었다. 이유는 단 한 가지였다. 뒤로 갈수록 선생님의 팔에 힘이 빠지기 때문이었다.

얼마나 억울하던지! 키 작은 게 무슨 죄도 아니건만, 왜 1번이라는 이유로 선생님께서 벌을 주시고자 하는 의욕이 철철 넘쳐나는 초반에 맞아야 한단 말인가!

여름방학을 한 달 여 앞두고 전국 모의고사 성적이 나온 날이었다. 나는 기어이 일을 저지르고 말았다. 전국모의고사는 시험수준이 꽤 높은 편이었다. 그러다보니 다들 틀린 개수를 헤아리느라 두 손을 접었다 폈다 정신이 없었다. 긴 막대를 든 선생님께서 의미심장한 눈빛으로 나를 바라보셨다. 그때!

"선생님! 건의 드릴게 있습니다. 사실은 제가 제일 먼저 맞다보니 좀 억울한 생각이 듭니다. 아무래도 초반이다 보니 선생님 팔에 힘이 많이 실리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드리는 말씀인데요. 오늘은 뒷번호부터 맞도록 하면 안될까요?"

순간 박수소리가 들렸다. 놀라서 둘러보니 도토리 키 재기를 하면 딱 좋을 듯한 고만고만한 키를 가진 10번 이쪽저쪽의 친구들이었다. 아마도 그게 바로 동병상련의 정이 아니겠는가. 그러나 뒤에 앉은 키 큰 친구들의 째려보는 눈길에 난 소름이 끼쳤다. 그래도 할 수 없는 일. 우선은 내가 살고 볼 일이었다.

역시나 내 예상은 적중했다. 엉덩이로 느껴지는 강도는 놀라울 만큼 약했다. 59번을 거쳐 60번째이니 그건 당연한 것이었다. 금방이라도 하늘로 날아오를 것처럼 기뻤다. 도저히 풀 수 없을 것 같던 수학문제가 이렇게 저렇게 우연히 풀려버린 것 같은 경이로움이랄까? 뭐 그런 얼토당토않은 기쁨에 혼자 비실비실 웃었던 기억이 난다.

그러나 그 얼토당토않은 기쁨을 나는 겨우 한 달밖에 누리지 못했다. 여름방학을 마치고 2학기가 되자 선생님은 그 벌을 거두어 버렸다. 1학기에 그만큼 혼이 났으니 이젠 스스로 알아서 열심히 하라는 것이었다. 아니 그 고통스런 벌에 그렇게 오묘한 선생님의 깊은 뜻이 숨어 있을 줄이야…. 나는 다시 당당한 1번이 되었다.

여고를 졸업한지 벌써 23년. 참 오랜 세월이 흘렀다. 그 오랜 세월만큼 묵은 맛을 내는 것이 있다. 바로 추억이다. 그 묵은 맛나는 추억 속 그때 그 담임선생님은 유독 구수한 된장 맛으로 내 기억 속을 맴돈다.

왜일까? 그때는 정말 미웠는데 말이다. 미움도 사랑이라더니 선생님에 대한 미움이 결국 사랑이었을까? 그럴지도 모르겠다. 미운 놈 떡 한 개 더 주고 고운 놈 매 한대 더 때린다는데…. 세월이 흐른 지금에야 알 것 같다. 그때 선생님의 매가 사랑의 매였음을.

오늘따라 선생님이 많이 보고 싶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왜 기자회원이 되고 싶은가? ..내 나이 마흔하고도 둘. 이젠 세상밖으로 나가고 싶어진다. 하루종일 뱅뱅거리는 나의 집밖의 세상엔 어떤 일들이 벌어지고 있는지. 곱게 접어 감추어 두었던 나의 날개를 꺼집어 내어 나의 겨드랑이에 다시금 달아야겠다. 그리고 세상을 향해 훨훨 날아보아야겠다.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