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자 발간 <동방조보> 신문은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안 통과 이후 왕광야 유엔주재 중국대사의 발언을 자세히 보도하며 중국의 시각을 상세히 보도했다.
왕광야 중국대사는 "북한 핵실험과 미사일 등 대량살상무기에 대해 적당한 반응을 보이는 데는 찬성한다, 그러나 이같은 제재 결의는 북한의 정황에 근거해서 정지·취소될 수 있다"고 말했다. 제재는 그 자체로 목적이 아니고, 무력의 실시를 바라지 않는다는 것이다.
인터넷 포털 < sohu >에 오른 '일본 핵무기 무장 논의 필요성' 기사에서 올린 댓글에서 중국 네티즌은 "일본은 야심이 강한 나라이다, 일본이 가지면 아시아 다른 나라도 핵무기를 가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사이트에는 "일본이 이상한 낌새를 보이면 반드시 조치를 취해야 한다" "전쟁패배국은 핵무기 가지는 것을 금지시켜야 한다"면서 일본의 재무장을 경계하는 글이 올라와있다.
북한핵을 다룬 또 다른 기사의 댓글에서는 "무엇보다 중국의 이익이 우선이다"란 내용의 글이 많이 올라왔다. 국제관계에서 자국의 이익에는 "영원한 혈맹도 영원한 적도 없다"란 말을 실감하게 하는 내용이다.
지난 13일 세계문제연구센터의 장커시 연구원은 <국제선구도보>에 올린 글에서 "양국 정상이 만나는 등 5년 만에 중-일의 정치장애를 극복하는 건강한 시점에 있다"고 말하면서도 "일본군국주의는 우려해야 할 문제"라고 지적했다.
북한의 핵도 문제지만 아직도 중국인에게는 군국주의 부활 움직임이 보이는 일본이 가장 경계해야 할 최대 가상의 적인 것이다.
하루 수만 참배객 찾는 난징대학살기념관
'상하이 숭후항전기념관'은 1931년 1차와 1936년 2차로 상하이를 침공한 일본군에 대항하여 군인과 민간인들이 항일전을 치른 유적지다.
지난 일요일, 이 유적지에는 많은 가족단위 관람객들이 전시자료를 관람하며 하루를 보내고 있었다. 전시관 입구 한 곳에서는 젊은 여성이 뜰에 만들어져 있는 항전유적지 터를 표시하는 동판비석을 어루만지고 있었고, 남자친구가 그 모습을 사진촬영하고 있었다.
'난징대학살기념관'은 하루 수만명의 참배객 인파가 줄을 서서 관람할 정도 많은 참배객이 찾아오는 곳이다. 단체로 온 관람객들은 유골이 묻힌 장소에서 헌화를 하며 관리사무소에서 마련한 참배의식에 따라 질서정연하게 진행하고 있었다.
안중근 의사가 갇혔던 여순 감옥에 '나라의 치욕을 절대 잊지 말자'는 뜻의 '물망국치(物望國恥)'라는 글이 있듯, 상하이 숭후기념관과 난징대학살기념관 벽에는 '아픈 역사를 잊지 말고, 미래를 항상 대비하자'는 뜻의 '물망역사 면향미래(物望歷史 面向未來)'란 글이 새겨져 있다.
약탈과 방화·강간에 백기 든 군인들까지 산 채로 묻는, 인간으로서 차마 하지 못할 온갖 만행을 자행한 일본군들을 결코 잊지 말고 중국의 미래를 위해 항상적으로 대비하자고 이 기념관은 교육하고 있는 것이다.
중국에서 TV 채널을 이리저리 돌리다 보면 항일운동을 소재로 한 드라마를 방영 중인 채널 2~3개를 항상 접한다. 일본군과 싸우는 공산당 홍군의 활약상이 리얼하게 묘사되는가 하면 민간인을 별다른 이유도 없이 잔혹하게 살해하는 일본군 만행 장면을 자주 보게 된다.
항상 적대적이었던 수백년 중-일 관계
중국과 일본 수백년 관계를 살펴보면 1972년 중일수교부터 지금까지의 짧은 기간을 빼고 일본의 중국 해안선 출몰, 크고 작은 전쟁, 외교적 충돌로 인해 적대적 관계 혹은 '좋지 않은 관계'를 유지해왔다.
명나라 때부터 해안지역에 출몰하여 민가를 약탈하였고, 대만을 일찌감치 점령하였다. 1894년 청일전쟁을 일으키고, 만주사변을 일으켜 만주 괴뢰정권을 세웠다. 또한 1936년 7월 7일 노구교 사건을 조작하여 중국 동북을 강점하면서 중국에 혹독한 전쟁 피해를 준 중일전쟁을 일으켰다.
얼마 전 후진타오 주석과 아베 총리가 만나 "지난 과거에 매몰되지 않고 동북아 새 질서를 위해 생산적 관계를 유지하자"고 했지만 누구도 중-일의 묵은 관계가 속시원하게 풀릴 것이라고 기대하지 않는다.
신사참배, 교과서왜곡, 위안부 문제, 다오위다오(일본 명 센카쿠 열도) 영유권, 동중국해 가스전 문제 등 일본 정계와 각계의 동향에 따라 불거질 수 있는 첨예한 사안들이 많이 깔려있다.
비록 양국 정부 수뇌가 경제적 관계와 동북아 질서라는 정치적 현실로 타협이 때로는 이루어지고 있지만, 중국인의 일본에 대한 적대적 감정을 쉽게 누그러뜨릴 수 있는 해소책은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