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동학농민혁명 112주년 기념행사가 열리고 있는 공주문예회관. 이이화 선생이 축사를 하고 있다.
동학농민혁명 112주년 기념행사가 열리고 있는 공주문예회관. 이이화 선생이 축사를 하고 있다. ⓒ 최장문
동학농민전쟁우금티기념사업회와 동학농민혁명기념사업단체협의회가 주관하는 '동학농민혁명 112주년 기념행사'가 지난 10일 공주문예회관에서 유족, 동학계 인사, 시민 5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BRI@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이사장인 이이화 선생은 "동학농민혁명 기념행사가 112년 만에 처음으로 국가 공식행사로 열리게 된 것은 늦었지만 다행인 일"이라며 "동학농민혁명의 인간 평등 정신과 맑은 사회를 이룩하려는 의지를 이어받아 더불어 잘사는 사회를 만들자"고 말했다.

김명곤 문화관광부장관은 축사에서 "소중한 동학농민혁명을 우리 민족의 역사·문화적 자산으로 만들고, 세계적 행사가 되도록 적극적인 노력을 하겠다"고 말해 큰 박수를 받기도 하였다. 공주시장, 공주 국회의원, 충남도지사(대독)도 축사를 하였다.

1990년대, 내가 대학교에 다닐 때만 해도 '동학'을 언급하면 운동권 학생이거나 왠지 좀 이상하게 쳐다보는 경향이 있었다. 이것은 2000년대 교직에 나가서도 마찬가지였다. 그런데 국가·지역의 인사들이 앞을 다투어 축사를 하는 것을 보자니 좀 어리둥절했다.

동학농민전쟁은 1894년을 전후해 안으로는 탐관오리의 부정부패, 밖으로는 외세의 이권 약탈을 이유로 전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났다. 그중 전봉준이 중심이 된 전라도의 동학농민전쟁이 대표적인 것이라 할 수 있다.

1894년 12월, 동학농민군은 공주 우금티 전쟁에서 정부군과 연합한 일본군에게 결정적으로 패하면서 전국의 산천은 동학농민군의 피와 한으로 얼룩져갔다.

그럼 농민들이 목숨을 내걸고 주장했던 것은 무엇일까? 신분제 폐지, 토지 평균 분작, 탐관오리 숙청, 왜와 내통하는 자는 엄징할 것 등이었다. 지극히 기본 생존권과 관련된 것들이었다.

1894년에 있었던 이 사건은 대한민국 정부 초기까지 폭동으로 취급되었으나 최근 들어 재평가가 이루어졌다.

2004년에는 마침내 국회에서 '동학농민혁명 참여자 등의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이 통과하여 국가적 차원에서도 역사의 정당한 평가를 받게 되었다.

이런 맥락 속에서 정부와 동학농민혁명 관련 단체와 유족들이 합동으로 지난 10일 1회 전국추모기념대회를 거행하게 된 것이다.

김명곤 문화관광부 장관이 동학유족 각 지역대표분들께 유족등록 통지서를 전달하고 있다. 김 장관은 임권택 감독의 <개벽>이란 영화에서 전봉준 장군역을 맡기도 했었다.
김명곤 문화관광부 장관이 동학유족 각 지역대표분들께 유족등록 통지서를 전달하고 있다. 김 장관은 임권택 감독의 <개벽>이란 영화에서 전봉준 장군역을 맡기도 했었다. ⓒ 최장문
점심 때 받은 식권이다. '밥은 하늘입니다'라는 글귀를 통해 밥도 먹고 동학정신도 먹는 듯했다.
점심 때 받은 식권이다. '밥은 하늘입니다'라는 글귀를 통해 밥도 먹고 동학정신도 먹는 듯했다. ⓒ 최장문
오후에는 동학농민혁명을 계승하는 우금티 전적지까지의 거리 행진이 있었다. 거리 행진의 구호 속에서 동학농민혁명의 현재를 보는 것 같아서 깜짝 놀랐다. 현재 정부가 주장하고 있는 비정규직 문제, 한미FTA, 쌀 개방, 미국산 소고기 수입 등에 대한 강렬한 반대의 외침이 있었다.

국가와 동학혁명기념사업회가 동학농민혁명을 높이 평가하고 그 정신을 계승하자고 함께 추모기념 행사를 했건만, 이들은 왜 서로 다른 소리를 내는 것일까? 무엇이 잘못된 것일까? 저들의 구호일까, 정부의 정책일까. 현재의 모순 속에서 심한 갈증을 느낀다.

우금티 예술제 거리 행진 모습.
우금티 예술제 거리 행진 모습. ⓒ 최장문
거리 행진에 참여한 공주중학교 학생들.
거리 행진에 참여한 공주중학교 학생들. ⓒ 최장문
밥알을 형상화한 물체 외면에는 참가한 시민들의 소망이 적혀있다. '열공 장학금타자, FTA 철폐, 가족의 건강, 참교육, 로또 당첨 ㅋㅋ'.
밥알을 형상화한 물체 외면에는 참가한 시민들의 소망이 적혀있다. '열공 장학금타자, FTA 철폐, 가족의 건강, 참교육, 로또 당첨 ㅋㅋ'. ⓒ 최장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역사가 세월속에서 문화의 무늬가 되고, 내 주변 어딘가에 저만치 있습니다. 자세히 보고, 오래보면 예쁘고 아름답다고 했는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