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겨울철 별미 미역국 드세요
겨울철 별미 미역국 드세요 ⓒ 이종찬
생일날 아침마다 먹는 너
두 딸을 낳고 삼칠일 동안 하루 세 끼 먹었던 너
혀끝에 착착 감기는 너의 부드러운 속살
애인의 짜릿한 입술보다 더 매끄럽고 향기로운 너

그래, 너가 있어 한 살 더 먹는 나이가 무섭지 않구나
그래, 서양의 케잌이 어찌 너를 흉내낼 수 있겠느냐

- 이소리, '미역국' 모두


지금 남녘바다에서는 미역채취가 한창이다
지금 남녘바다에서는 미역채취가 한창이다 ⓒ 이종찬
어촌 곳곳에 말리고 있는 미역
어촌 곳곳에 말리고 있는 미역 ⓒ 이종찬
겨울철과 이른 봄에 가장 맛이 좋은 미역

지금, 겨울 햇살이 은빛 윤슬로 톡톡 터지고 있는 잔잔한 남녘바다 곳곳에서는 짙푸른 바다 속에서 물결처럼 넘실대는 검초록빛 물미역을 건지는 어부들의 손길이 바쁘다. 향긋한 바닷내음이 폴폴 풍기는 물미역을 바닷바람이 불어오는 어촌 마을 곳곳에 말리는 아낙네들의 뒷모습 또한 그 어느 때보다 활기가 넘친다.

@BRI@봄부터 여름에 걸쳐 우리나라 모든 바다에서 자라는 미역. 미역은 겨울과 이른 봄에 건져 올리며, 이때가 맛이 가장 좋다.

미역은 뿌리와 줄기, 잎의 구분이 또렷한 엽상체(葉狀體) 식물로 남녘에서는 깊은 바다에서, 북녘에서는 얕은 바다에서 자라지만 한, 난류가 강하게 오가는 바다에서는 잘 자라지 않는다.

우리나라와 일본, 중국사람들이 즐겨 먹는 미역은 바다 속에서는 전복과 소라의 훌륭한 먹이감이지만 바다에서 살아가는 물고기들의 훌륭한 은신처와 산란장소가 되어주기도 한다. 게다가 미역에는 식이섬유와 칼륨, 칼슘, 요오드 등이 많이 들어 있어 예로부터 산모의 산후조리에 빠지지 않고 사용되었다.

미역은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하고 변비와 비만 예방, 혈액순환, 신장, 간, 비위의 기운을 북돋워줄 뿐만 아니라 임산부와 어린이들에게 부족하기 쉬운 철분, 칼슘 보충에도 뛰어난 역할을 한다. 미역을 산모, 수유부에게 특히 많이 먹이는 까닭 또한 피를 맑게 하고 부기를 빼주며, 오로의 배출을 돕고, 어혈(죽은 피)을 풀어주기 때문이다.

미역은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하고 변비와 비만 예방, 혈액순환, 신장, 간, 비위의 기운을 북돋워줄 뿐만 아니라 임산부와 어린이들에게 부족하기 쉬운 철분, 칼슘 보충에도 뛰어난 역할을 한다
미역은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하고 변비와 비만 예방, 혈액순환, 신장, 간, 비위의 기운을 북돋워줄 뿐만 아니라 임산부와 어린이들에게 부족하기 쉬운 철분, 칼슘 보충에도 뛰어난 역할을 한다 ⓒ 이종찬
물미역을 바닷바람이 불어오는 어촌 마을 곳곳에 말리는 아낙네들의 뒷모습 또한 그 어느 때보다 활기가 넘친다
물미역을 바닷바람이 불어오는 어촌 마을 곳곳에 말리는 아낙네들의 뒷모습 또한 그 어느 때보다 활기가 넘친다 ⓒ 이종찬
산모가 먹을 미역은 값을 깎지 않는다?

고려시대 때부터 중국에 수출을 했다는, 주로 국을 끓여서 먹는 미역. <고려도경>(송나라 휘종이 고려에 국신사(國信使)를 보낼 때 수행한 서긍(徐兢)이 송도에서 보고 들은 것을 그림을 곁들여서 기록한 책)에 따르면 "미역은 귀천이 없이 널리 즐겨 먹고 있다, 그 맛이 짜고 비린내가 나지만 오랫동안 먹어도 그저 먹을만 하다"고 쓰여 있다.

<고려사>(조선 초기 김종서<金宗瑞, 1390∼1453), 정인지(鄭麟趾, 1396∼1478> 등이 세종의 교지를 받아 만든 고려시대의 역사책)에는 "고려 11대 문종 12년, 서기 1058년에 곽전(바닷가의 미역 따는 곳)을 하사했다, 고려 26대 충선왕 재위 중(1301)에 미역을 원나라 황태후에게 바쳤다"는 기록도 나온다.

조선 중기의 명의 허준(1546∼1615)이 지은 <동의보감>에는 "미역은 해채는 성질이 차고 맛이 짜며 독이 없다"고 적혀 있다. 이어 "미역의 효능은 열이 나면서 답답한 것을 없애고 기(氣)가 뭉친 것을 치료하며 오줌을 잘 나가게 한다"고 되어 있다.

민간에서는 미역을 산후선약(産後仙藥)이라 하여 산모가 출산한 뒤에 곧바로 미역국을 먹이는데, 이를 '첫국밥'이라 했다. 그리고 이때 사용하는 미역은 '해산미역'이라 하여 넓고 긴 것을 골랐고, 미역값을 깎지 않는 것은 물론 미역의 허리를 접지 않았다. 미역값을 깎거나 미역의 허리를 접으면 액운이 따른다는 말이 있었기 때문이다.

미역을 말리고 있는 할머니
미역을 말리고 있는 할머니 ⓒ 이종찬
겨울햇살과 바닷바람에 잘 마른 미역
겨울햇살과 바닷바람에 잘 마른 미역 ⓒ 이종찬
겨울철 별미, 시원하고 뒷맛이 개운한 미역국

국이나 냉국, 무침, 볶음, 쌈 등으로 많은 사람들이 즐겨 먹는 미역. 우리나라 사람들이 생일날이나 산모에게 반드시 끓여주는 미역국. 시원하면서도 깔끔한 뒷맛과 미끄럽고 쫄깃하게 씹히는 미역의 맛이 아주 부드러운 미역국. 요즈음 들어 여성들에게 다이어트 음식으로도 인기가 꽤 높은 미역으로 국을 끓이는 방법은 여러 가지다.

삼칠일 이내의 산모에게는 출산을 한 뒤 살생(殺生)을 피한다는 뜻에서 쇠고기 대신 말린 홍합을 넣어 시원하게 끓여내는 홍합 미역국에서부터 쇠고기를 넣고 끓이는 쇠고기 미역국, 닭고기를 넣고 끓이는 닭고기 미역국, 모시조개를 넣고 끓이는 모시조개 미역국, 사골국물을 넣고 끓이는 사골 미역국 등 집마다 끓이는 방법이 조금씩 다르다.

그중 사람들이 대부분 가장 즐겨 끓여 먹는 모시조개 미역국 끓이는 법을 알아보자. 먼저 큰 그릇에 물을 가득 붓고 마른 미역을 넣어 20∼30분 정도 그대로 둔다. 이어 미역이 물에 매끄럽고 부드럽게 풀리면 맑은 물이 나올 때까지 손으로 바락바락 주물러 깨끗이 씻은 뒤 손으로 물기를 꼬옥 짜낸다.

그 다음, 미역은 도마에 올려 적당한 크기로 썰고, 해감이 된 모시조개 속살을 부엌칼로 곱게 다진다. 더불어 냄비에 미역을 담고 다진 마늘, 깨소금, 참기름, 간장을 함께 섞어 중간 불에서 물을 붓지 않고 달달달 볶다가 곧바로 깨끗한 물을 적당히 붓는다. 그리고 센불에서 푹 끓인 뒤 집 간장으로 간만 맞추면 끝.

봄부터 여름에 걸쳐 우리나라 모든 바다에서 자라는 미역. 미역은 겨울과 이른 봄에 건져올리며, 이때가 맛이 가장 좋다
봄부터 여름에 걸쳐 우리나라 모든 바다에서 자라는 미역. 미역은 겨울과 이른 봄에 건져올리며, 이때가 맛이 가장 좋다 ⓒ 이종찬
미역에는 식이섬유와 칼륨, 칼슘, 요오드 등이 많이 들어 있어 예로부터 산모의 산후조리에 빠지지 않고 사용되었다
미역에는 식이섬유와 칼륨, 칼슘, 요오드 등이 많이 들어 있어 예로부터 산모의 산후조리에 빠지지 않고 사용되었다 ⓒ 이종찬
마누라표 미역국 한 그릇에 숙취가 싸악!

"푸름아, 빛나야! 어서 일어나. 너희들이 좋아하는 미역국에 찰밥 해 놨어."
"나중에 먹으면 안 돼?"
"아항! 좀 더 자고 싶은데…."
"오늘은 아빠 생일인데, 어서 일어나 생일 밥 먹어야지."


22일(월)은 음력으로 12월 4일, 내가 이 세상에 태어난 날이다. 이날 아침 8시, 참으로 오랜만에 온 가족이 한자리에 모여 팥이 콕콕콕 박힌 찰밥과 시원하면서도 뒷맛이 아주 깔끔한 모시조개 미역국을 맛나게 먹었다. 겨울방학을 한 뒤부터 아침을 잘 먹지 않는 큰딸 푸름이와 작은딸 빛나도 찰밥 한 그릇과 미역국 한 그릇을 순식간에 뚝딱 비워냈다.

그날, 이른 아침에 일어나 정성을 다해 끓인 마누라표 모시조개 미역국은 정말 시원하고 뒷맛이 아주 개운했다. 연초록빛 미역국 국물을 떠먹으며, 가끔 적당한 크기로 들어있는 부드러운 미역을 건져 먹는 맛도 아주 좋았다. 어제 마신 술이 확 깨는 듯했다. 더부룩하고 불편했던 속이 마누라표 미역국 한 그릇에 술술 풀렸다. 온몸이 바다 내음에 포옥 젖어드는 듯했다.

"아빠! 미역국 이거 많이 끓여놨지."
"맛있어?"
"내가 제일 좋아하는 국이 미역국이잖아."
"며칠 전에는 콩나물국이 제일 맛있다고 해놓고선?"
"아빠! 시인 맞아?"
"그게 무슨 소리냐?"
"좋아하는 것과 맛있는 건 다르잖아?"


생일상에 빠지지 않고 오르는 미역국
생일상에 빠지지 않고 오르는 미역국 ⓒ 이종찬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유포터> <미디어 다음>에도 보냅니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