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한 달여 전의 일이다. 케이비에스(KBS)의 유명 프로그램인 '여섯시 내 고향'에 내가 나왔다. 미리 알고 있었던 나는 집에 텔레비전이 없기에 아랫집 할머니 댁에 가서 티브이를 보는데 방송이 채 다 끝나지 않아서 서울 사는 할머니의 큰 며느리에게서 전화가 왔다.
티브이에 할머니가 나온다며 얼른 티브이 보라는 전화였다. 할머니는 나도 보고 있다고 전화에다 큰 소리로 얘기했다.
@BRI@여든 다섯의 아랫집 할머니는 처음으로 티브이에 나온 당신 모습이 꾀나 신경이 쓰이는 모양이다. 머리 빗질도 안했다느니, 쪼그랑 밤송이 얼굴이라느니 타박을 해 가며 티브이를 봤다.
내가 할머니 집을 나서기 전까지 서너 군데서 더 전화가 걸려왔다. 바로 아랫동네에서 시집 온 할머니는 친정인 아랫동네에서 걸려온 전화를 받고 있는 사이에 나는 자리를 일어섰다.
할머니에게 작별인사를 드리는데 바로 이때 내 손전화가 울렸다. 이때부터 내게 쏟아져 들어 온 외부의 연락들은 한 주 내내 계속되었다. 남녀가 따로 없었고 지역을 가리지 않았다.
맨 처음 걸려온 전화는 그래도 아주 모범적인 전화였다. "여기 서울인데요. 케이비에스 여섯시 내 고향 봤거든요"라고 시작되는 전화였기 때문에 모범적인 전화라고 하는 것이다. 그날 밤에 걸려온 전화의 대부분은 막무가내 식 전화였다. 제일 많았던 유형은 이런 것이었다.
"거기 찾아가려면 어떻게 가요?"
"전희식씨죠? 귀농한지 얼마나 됐어요?"
"그렇게 집 지으면 평당 얼마나 됩니까?"
너무도 다급한 전화들이었다. 의례적인 인사조차 나눌 여유를 갖지 못한 분들이 당일 전화를 건 사람들인 것 같다.
밤 12시가 넘어서까지 걸려오는 전화는 집전화로도 걸려왔다. 전화를 꺼 놓을까 하다가도 차마 그럴 수는 없었다. 나중에는 어떻게 전화번호를 알게 되었냐고 물어봤다. 케이비에스에 전화해서 알았다는 사람, 케이비에스에서 안 가르쳐줘서 언젠가 <오마이뉴스>에서 글을 봤었기에 <오마이뉴스>에 물어서 알아냈다는 사람, 이도저도 안돼서 티브이에 나온 지명을 보고는 우리 동네를 찾아 내 이장님에게 전화해서 집 전화를 알았다는 사람도 있었다.
다음날도 계속 이어지는 전화에 나는 내 누리집을 가르쳐 주면서 우선 그곳에 들러 집 짓는 내용을 둘러 본 다음에 게시판이나 전자우편으로 자세한 사연을 남겨 달라고 했다.
무슨 놈의 티브이에 다 나갔냐고 핀잔을 주는 후배가 있었다. 기다리던 전화였다. 최근 여러 해 동안 티브이에서 온 출연제의는 모두 다 거절했었지만 이번에 결국 내 마음을 꺽게 된 사연을 얘기했다.
사실 담당프로듀서가 강남의 집값 폭등 얘기를 하면서 이 비정상적인 사태에 대해 내가 쓰레기장과 고물상을 돌며 재활용품으로만 집을 짓는 모습을 꼭 소개하고 싶다는 말만 아니었다면 티브이에 나가지는 않았을 것이다. 핀잔을 주던 후배는 여전히 티브이에 나온 나를 못마땅해 했다. 나를 아끼는 마음이려니 싶다.
언론을 탈 때마다 겪던 일인지라 예상은 하고 있었지만 '고물을 보물로'라는 부제가 달린 이번 '여섯시 내 고향'에 출연하고 나서 이처럼 많은 관심과 극성스러움을 겪을 줄은 몰랐다.
지금 나는 이틀째 눈에 갇혀 꼼짝을 못하고 있는데 이런 산골에 쓰레기로 만드는 집을 눈여겨보고 탐을 내다니 한편으로 의아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자연 속으로 귀의(?) 하고자 하는 그 사람들의 동기와 의지에 가슴이 싸아 했다.
중한 병에 걸렸다며 꼭 그렇게 집을 지어 달라는 분이 있었는데 그 분은 나를 쓰레기로 집 짓는 업자로 알고 있었다. 그러고 보니 전화를 건 사람의 처지에 따라 같은 프로를 봤으면서도 나를 이해하는 각도가 다 달랐구나 싶다.
어떤 사람은 보따리학교라는 대안교육장으로 알고 대안학교 문의를 해 왔었다. 근 100여명에게서 연락이 왔었는데 그 후 어떻게 되었을까?
우리 집에 찾아 온 시청자들이 많을 듯싶겠다. 그러나 정 반대다. 단 한사람도 찾아 온 사람이 없었고 두 번째로 연락을 해 온 사람이 꼭 한 사람 있었을 뿐이다.
두 사람이 우리 집에 와서 일도 하고 집짓는 것을 배우겠다며 날짜를 잡아달라고 첫 전화에서 떼를 쓰다시피 하여 수첩을 봐 가며 날을 잡았었다. 결과는? 둘 다 연락도 없이 안 왔다. 둘 중 한 분만이 오기로 한 다음날, 집안에 일이 있어 못 갔다면서 어제가 가기로 한 날임을 이제야 알았다고 하면서 미안하다고 전화를 했다.
그렇다고 내가 성의 없이 전화를 받았냐 하면 전혀 그렇지 않다. 며칠 접속이 폭주하던 내 누리집에 연락처나 사연을 남긴 사람도 없었다.
우리 집까지 거의 다 왔던 분이 있다. 이 사람은 우리 집 5킬로미터 앞까지 온 분이다. 길가의 수퍼 앞이라면서 어느 쪽으로 들어가야 하냐고 내게 전화를 했었다.
티브이에 나온 동네이름만 보고 아무 말도 없이 찾아 온 것이다. 황당한 일이었지만 이런 일도 그동안 여러 번 겪었던지라 손짓 발짓 해 가며 왼쪽 오른쪽, 무슨 농장 끼고 어쩌고 한참 설명을 해 드렸는데 10분이 지나도 30분이 지나도 오지 않는 것이었다. 엎어지면 코 닿을 곳인데 이렇게 늦을 수가 없었다. 엉뚱한 곳으로 길을 잘못 들어 손 전화 불통지역인가 싶어 수신자번호를 보고 전화를 걸어봤다.
아 이럴 수가. 황당 그 자체였다. 동행한 사람이 갑자기 함양 녹색대학부터 들르자고 해서 그쪽으로 가고 있다는 것이었다. 그리고는 시간 나면 오겠다고 했다. 역시 그 사람은 아무 연락도 없이 안 왔다.
편지가 두 통 왔었다. 인천과 경북 달성군에서 온 것이었는데 티브이에 나온 대로 번지수도 없이 동네 이름과 내 이름만 적혀 있는 편지였다. 인천서 온 편지는 답장 보낸 지가 보름여 된다. 그분은 전화번호를 적지 않아서 답장에 내 전화번호를 적어 드렸는데 아직 연락이 없다.
대구 아래 달성에서 편지를 보낸 젊은 처자는 내게 온 연락들 중 제일 꼴찌다. 서두르지 않는 그 성품에 왠지 신뢰가 갔다. 손전화가 없다는 그 분은 집 전화번호를 적어서 편지를 보냈다. 편지 받은 지 닷새 만에 나도 답장을 썼다. 눈이 좀 녹으면 마을을 내려가 편지를 부칠 생각이다.
이렇게 ‘여섯시 내 고향’의 추억은 저물고 있다.
덧붙이는 글 | <삶이 보이는 창> 2007년 1-2월호에 실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