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베이징대학 미명호 근처에 있는 에드가 스노우의 묘.
베이징대학 미명호 근처에 있는 에드가 스노우의 묘. ⓒ 김대오
@BRI@<뉴욕타임즈>의 헤리슨 솔즈베리는 "에드가 스노우를 읽거나 연구하지 않고는 누구도 오늘의 중국을 이해할 수 없다"는 말로 현대 중국을 이해하는 데 획기적인 전기를 마련했던 에드가 스노우를 높게 평가했다.

1972년 2월 15일, 에드가 스노우가 죽자 '나는 중국을 사랑한다. 내가 살아서 그랬던 것처럼 나의 일부는 죽어서도 그곳에 머물고 싶다'는 그의 유언대로 유골의 반은 미국에, 나머지 반은 그가 자신의 일부로 여겼던 중국에 묻혔다. 베이징대학을 가본 사람이면 미명호(未名湖) 근처에 자리잡고 있는 에드가 스노우의 묘를 보며 왜 그가 그곳에 묻혀 있는지 의아해 했을 것이다.

1928년 상하이에 온 에드가 스노우는 신문기자로 활동하다가 1932년 님 웨일즈와 결혼하고 1933년부터 1935년까지 베이징대학의 전신인 옌징(燕京)대학에서 교수를 역임했는데 현재 무덤 근처가 바로 그의 연구실이 있던 곳이라고 하니 냉전시대의 서릿발같던 이념의 칼날도 인간들이 나누는 따뜻한 우정과 사랑을 가로막지는 못했나 보다.

에드가 스노우는 그의 자서전에서 중국에서의 체험들을 소개하며 중국에 대한 강한 애정을 이렇게 드러내 놓고 있다.

"중국에 있어서 나 개인의 의미란 역사라는 커다란 물결 위에 떠서 흘러가는 하나의 낟알 이상이 아니라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 하지만 중국은 나의 일부가 되어 다음과 같은 생생한 장면과 인격으로 다가왔다.

기근이란 백만 살은 된 것 같은 말라붙은 가슴을 지닌 처녀를 의미했으며, 공포란 불타는 전쟁터에 방치되어 아직 숨이 남아 있는 병사들의 살을 뜯어먹는 쥐떼를 의미했고, 반역이란 짐승처럼 네발로 기어다니며 짐을 나르는 아이를 보았을 때 느꼈던 분노를 의미했으며, '공산주의'란 집안의 아들 셋이 공산군에 가담했다고 해서 일가족 56명이 처형당한 것에 복수하기 위해 싸우는 젊은 농부를 의미했다. (중략) 나는 이와 함께 내 마음속에 어둡게 굳어 있는 공포와 비겁함을 목격하고, 유치하게도 한때 나보다 열등한 존재로 보았던 하층민들에게 용기와 결단을 보았던 것이다.

그렇다! 이들 모두에 나 역시 속할 것이다. 중국의 황갈색 언덕과 초록색 논들, 이른 아침 안개 속에 보이는 절들, 나를 신뢰하거나 사랑했던 몇몇 사람들, 나를 재워주고 먹여주었던 가난하지만 쾌활하고 교양 있는 농민들, 햇볕에 그을리고 누더기를 걸친 채 눈만 반짝이던 아이들, 그리고 무엇보다도 불결하고 굶주리고 경멸받지만, 자신의 생명을 희생함으로써 수많은 생명에 가치를 부여한 농민전사! 이들 모두에 나의 일부는 남아 있는 것이다."


대장정의 숨결을 생생하게 느낄 수 있는 '중국의 붉은 별'

<중국의 붉은 별>의 중문판
<중국의 붉은 별>의 중문판 ⓒ 김대오
저널리즘의 한계를 뛰어넘은 빛나는 역사적 작품으로 평가받는 은 그야말로 드라마틱한 중국공산당 대장정의 생생한 숨결이 느껴진다. 특히 대장정의 하이라이트인 '대도하(大渡河)의 영웅들'을 읽고 있노라면 마치 총알이 빗발치는 현장에 서 있는 것 같은 긴장감을 느끼게 된다.

'한니발의 알프스 원정 따위는 대장정에 비하면 휴일의 소풍에 지나지 않는다'는 솔즈베리의 말처럼 대장정의 경이로움은 역사적 기록이 증명하고 있다. 1934년 10월 16일부터 1935년 10월 20일까지 368일간 2만 5천리(1만km)길에 18개의 산맥과 24개의 강을 건너 12개의 성과 10개 지방토벌군의 포위를 뚫고 거의 매일 전투를 치러야만 했다.

대장정은 10만 명의 홍군을 7천 명 정도로 약화시키지만 홍군이 점령했던 62개 도시와 마을에 뿌린 공산혁명의 열정과 불씨는 거대 대륙을 붉게 타오르게 할 소중한 자산이 되었던 것이다. 에드가 스노우는 그 역사적인 대장정에 목숨을 걸고 3개월간 동참하며 그 생생한 현장의 소리들을 우리에게 똑똑히 들려주고 있는 것이다.

중국의 최고 지도자들과 각별한 친분관계를 가졌던 에드가 스노우는 중미관계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그가 죽은 지 3일만에 닉슨이 죽의 장막에 갇혀 있던 중국을 방문하게 되는 것은 결코 역사적 우연만은 아닐 것이다.

또한 에드가 스노우의 부인인 님 웨일즈가 일제시대 순결하고 열정적인 항일투사였던 김산의 일대기를 다룬 <아리랑>을 저술하여 우리에게도 인연이 깊다고 할 수 있다. 루쉰(魯迅)의 말처럼 중국인보다 중국을 더 사랑했던 애드가 스노우는 사망 35주년을 맞이하며 중국인들에게 다시 한 번 지난 역사를 되돌아보게 하는 존재가 되고 있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국정브리핑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중국 베이징에서 3년, 산둥성 린이(臨沂)에서 1년 살면서 보고 들은 것들을 학생들에게 들려줍니다. 거대한 중국바닷가를 향해 끊임없이 낚시대를 드리우며 심연의 중국어와 중국문화를 건져올리려 노력합니다. 저서로 <중국에는 왜 갔어>, <무늬가 있는 중국어>가 있고, 최근에는 책을 읽고 밑줄 긋는 일에 빠져 삽니다.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