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금줄에 매단 볏짚으로 만든 상징물(철퇴+말+빗자루)
금줄에 매단 볏짚으로 만든 상징물(철퇴+말+빗자루) ⓒ 이만유
상당 인사드리기
상당 인사드리기 ⓒ 이만유
용당 모습
용당 모습 ⓒ 이만유
용떡(제물)옮기기
용떡(제물)옮기기 ⓒ 이만유
지난 3월 3일과 4일 양일간 정월대보름을 맞아 경상북도 문경시 호계면 부곡리 오얏골에서 12년 만에 별신굿이 재현되었다. 굿이 열린 이틀간 취재를 위해 각 매스컴은 물론 민속학자, 사진작가, 인근주민 500여명이 관람하여 대성황을 이뤘는데 특히 연세가 많으신 어르신들은 '평생에 다시 볼 수 없을지도 모른다'며 먼 길을 마다않고 찾아오는 등 관심을 보였다.

부곡리 오얏골에서는 약 300년 전부터 10년마다 별신굿이 열려 지금까지 이어져 왔으나 1995년 이후 고령화된 농촌의 현실과 굿판을 열 경비를 마련하지 못해 명맥이 끊어질 위기에 처했다. 그러나 사라져 가는 우리고유의 민속을 지키고 전통을 되살리려는 마을주민들의 뜻과 문경시의 지원으로 그 맥을 잇게 되었다.

굿하는 모습.
굿하는 모습. ⓒ 이만유
굿하는 모습.
굿하는 모습. ⓒ 이만유
굿하는 모습.
굿하는 모습. ⓒ 이만유
오얏골 별신굿에 대한 유래는 기록이 없어 정확히 알 수는 없으나 마을에는 두 개의 동굴이 있으며 그중 암굴(용당)에서 흘러나오는 용천수가 가뭄에 나오지 않자, 이 속에 살고 있는 용이 심술을 부려 샘을 막고 있다하여 별신굿을 지내기 시작하였다고 전한다. 용천수는 마을의 식수원이면서 농업용수원으로 주민들의 생업을 좌우하는 중요한 것이었기 때문에 기인된 것이라 본다.

이번 호계 오얏리 별신굿은 경북내륙지역에 유일하게 남은 별신굿으로서 재현행사를 통해 정체성 있는 전통문화로 계승함은 물론 지역민의 화합과 안녕을 기원하기 위해 칠팔십대 어르신을 포함하여 남녀노소 100여명의 마을주민 모두가 참여하여 금줄치기(왼새끼 300m), 무당입동, 상당,하당,용당의 부정굿, 용떡(제물)옮기기, 치성굿(소지올리기), 선왕굿, 용당굿, 거리굿 등 다른 지역에서는 볼 수 없는 독특한 별신굿을 선보였다.

동민들의 풍물모습 1
동민들의 풍물모습 1 ⓒ 이만유
동민들의 풍물모습 2
동민들의 풍물모습 2 ⓒ 이만유
동민들의 풍물모습 3
동민들의 풍물모습 3 ⓒ 이만유
별신굿은 5년 또는 10년에 한 번 행해지며 특별히 신에게 즐거움을 고하는 굿이란 뜻에서 붙여진 특별기원 축제로서 주민 공동으로 마을 수호신에게 제사하는 점에서 동제(洞祭)와 유사하나, 동제는 동민 중에서 뽑은 제관이 제사를 주관하지만, 별신제(굿)는 무당이 주재 한다는 것이 다른 점이다.

주로 해안지역에 많이 활성화 되어 있으나 내륙지방에는 거의 남아 있지가 않다. 이번 호계 오얏골 별신굿은 경상도 내륙지방에 남아 있는 유일한 별신제의 전통계승이 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하겠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정의와 진실』이 승리하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 어떤 힘에도 구애받지 않고 소신을 가지고 임하겠으며 고통 받고 소외된 사람들에게 용기와 희망을, 사람 사는 이야기, 지방화시대에 부응하여 지역의 특수시책. 문화. 축제 등을 보도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