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학년을 맞으면 학부모들은 여러 가지 걱정들이 많다. 그 중에서도 가장 큰 관심거리는 친구들과 얼마나 잘 어울려 생활할 것인가일 것이다.
사실 초등학교 어린이들은 아주 쉽게 친해지기도 하고 쉽게 삐치기도 하여서 크게 걱정을 하지 않고 지내기 마련이다. 더구나 초등학교 저학년인 3학년까진 왕따라든가 따돌림이라는 말이 그리 크게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4학년에 올라가면서부터는 각자가 좋아하는 사람과 싫어하는 사람을 구별하고 함께 어울리지 않는 등 점차 친구관계를 가리기 시작한다.
@BRI@이렇게 친구를 가리기 시작해서 점차 좋아하는 친구를 찾기 시작할 때부터는 여러 가지 문제가 생기기 시작한다. 좋아하는 친구들과 함께 어울려서 놀면서 싫은 아이를 끼워주지 않는 등의 일이 벌어지기 때문이다.
이럴 때 부모의 역할이 필요하다. 자녀의 성격에 따라 부모들의 협조가 필요한 것이다. 그러나 이것을 잘 못하면 친구들의 사이에서 '마마보이' '마마걸'이라는 인상을 주어서 잘 어울리지 못 할 수도 있다.
부모들이 자녀의 친구들에게 관심을 갖는 것은 대단히 좋은 일이지만, 이것이 조금만 지나치면 친구들은 어머니의 치마폭에 싸여 지내는 아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면 어머니 허락 없이는 잠시 밖에 나가는 것도 자유스럽지 않으니까, 함께 놀려고 하지 않을 것이다.
이 무렵에는 자기 또래들끼리 놀고 무언가를 해보려는 시기인데, 어머니의 지나친 간섭이 자기들의 자유를 억압한다고 생각을 하게 되어 서로 잘 어울려 지내기가 어렵게 되는 것이다.
그러면 이때 자녀들에게 어떻게 해주어야 할 것인가? 자녀의 성격에 따라 부모의 역할이 달라야 한다.
성격이 활달하지 못하고 약간 암뜬 아이라면, 자녀의 위신을 세워주면서, 자녀의 요구에 따라 친구들에게도 좀 잘 대해주는 등 친구들을 잘 사귈 수 있도록 지원을 해주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어머니가 직접 친구들을 초대해 접대하고 재미난 놀이를 할 수 있도록 준비를 해주는 등의 노력을 해주어야 한다. 다시 말해서 자녀의 기를 살려주는데 노력을 해야 한다는 말이다.
반대로 성격이 화통해서 활발한 자녀라면 아이들을 몰고 다니는 것을 어느 정도 억제를 해주어야 한다. 그렇지 않아도 친구들을 몰고 다니는 아이에게 친구들을 집으로 초대하게 한다면, 이 아이는 갈수록 친구들을 몰고 다니면서 대장 노릇을 하거나 갱의 두목 형태로 남게 될 것이다.
그렇게 된다면 이것은 부모가 친구를 초대하여서 오히려 자녀의 장래를 망치는 어리석은 결과를 가져 올 것이다. 이런 어린이를 둔 부모가 할 일은 자녀의 친구들을 초대하여 친해지게 만드는 일보다는 오히려 혹시 친구들을 괴롭히지는 않는지, 친구들에게 왕 노릇을 하려고 하지는 않은지 등을 살피고 늘 관심을 가져야 한다.
이렇게 자녀를 기르는 것은 작은 싹을 기르는 것처럼 정성으로 보살펴 주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이다. 그렇지만 지나친 보호로 아이가 연약한 콩나물이 되지 않게 주의할 것은 물론이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한국일보디지털특판원, 녹원환경뉴스,한교e리포터 등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