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체험홈 전경
체험홈 전경 ⓒ 박준규
'체험 홈'이란 말을 들어보셨습니까?

체험 홈은 기존 장애인 시설과는 다른 곳으로, 장애인 시설은 관리자가 장애인들을 관리하지만 체험 홈은 말 그대로 장애인 자신이 몸소 체험할 수 있는 곳입니다. 특히 중증장애인들이 밥하기, 설거지, 빨래, 청소 등을 스스로 해결하는 곳을 의미합니다. 일반들에게는 자취나 혼자 숙식을 해결하는 것과 같은 것입니다.

집에서만 생활해야 하는 장애인들 가운데 집에서 나와 혼자 생활하기를 원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다. 이유는 많이 있겠으나 가족들에게 자신이 귀찮은 존재로 느껴지기 때문일 수도 있고, 가족들이 싫어하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 언제까지 가족들의 도움을 받으며 살 수만은 없어 조금이라도 빨리 자립하여 혼자 생활하는 것을 익히고자 하는 의지가 강하기 때문이라는 것.

그러나 우리나라 사회복지문제와 장애인을 바라보는 비장애인들의 시선 등으로 인해 장애인들의 자립의지와는 반대로 사회에 뛰어든 장애인들은 그리 많지 않은 게 현실이다. 다행히 올해 초부터 시행하는 각 지역 자립센터에 지원되는 보조금과 활동보조인 지원은 자립의 꿈을 키우는 장애인들에게 조금이나마 희망적인 청색신호가 들어왔다.

장애인 보금자리 '체험 홈'

저녁식사를 준비하는 장애인 친구들
저녁식사를 준비하는 장애인 친구들 ⓒ 박준규
지난 4월 첫 주 주말, 강원도 강릉에 있는 강릉자립생활센터에서 운영하는 체험 홈을 찾았다. 이 체험 홈은 2004년 회원들의 회비와 후원금으로 민가를 개조해 체험 홈이란 명칭으로 개관, 시험운영을 해오다가 2005년 12월에 개관식을 갖고 정식 운영을 시작한 곳이다.

초기에는 민가를 얻어 체험 홈으로 사용하였기에 휠체어조차 집 안으로 들어가지 못할 정도로 장애인들이 거주하기에는 상당한 불편이 있었다고 한다. 그 후 2006년 4월 장애인의날을 맞아 모 방송사에서 체험 홈을 개조해 주어 현재의 모습을 갖춘 상태. 하지만 아직까지도 내부 벽과 욕실에는 핸드레일(장애인용 손잡이)조차 설치되지 않아 불편함이 있어 보였다.

이곳에서 생활하는 것이 불편하지 않느냐는 물음에 최모(남·지체장애)씨는 "불편한 것은 없어요. 아플 때 돌봐주는 사람이 없어서 그렇지 생활하는 데 큰 불편함은 없어요"라면서 "집에서 생활하는 것보다 편하고 좋아요. 눈치 볼 사람이 없으니까요"라며 체험홈 생활에 만족하고 있다고 말했다.

최씨와 그곳에 가끔 놀러와 집안 정리를 해주는 같은 장애인 친구들이 저녁준비를 했다. 불편한 몸으로 쌀을 씻어 밥을 안치고, 김치를 꺼내 썰어서 찌개거리 준비하고, 키운 닭이 낳은 계란으로 계란말이를 만드는 등 서로 맡은 바 일을 하며 제법 빠른 시간 안에 저녁준비를 끝냈다.

이렇듯 비장애인들에게는 아무 일 아닌 것들이 이곳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에겐 삶의 체험 그 자체가 된다. 이들은 불편한 생활을 하면서도 거기서 얻는 자신감으로 행복을 느끼고 있었다.

이곳에서는 닭과 강아지를 키우며 여과시간을 자연과 함께 보낼 수 있었다. 특히 30여 마리 정도의 닭이 낳는 계란은 팔아서 용돈도 쓰고, 그 신선한 계란으로 요리도 해 먹는다고 한다. 여름엔 병아리까지 부화해서 키우는 등 체험 홈 생활이 지루하지 않고 재미있게 비추어졌다.

체험 홈에 입소하려면?

체험홈 내부모습
체험홈 내부모습 ⓒ 박준규

이 체험 홈은 거실(주방 포함) 하나에 방 3개, 욕실(화장실 포함) 1개로 구성돼 있으며 인터넷 전용선까지 마련된 곳이다. 그동안은 지원금이 적어 운영에 힘이 들었지만 올 4월부터 정부 지원금이 나와서 앞으로 좀 더 나아질 것이라고 자립센터 관계자는 밝혔다.

이 체험 홈은 보다 많은 장애인들이 체험 홈 생활을 해볼 수 있도록 단기거주의 기회를 주고 있다고 한다. 관계자에 따르면 "입소 조건은 1급~2급 정도의 중증장애인들을 우선시하며 지역은 구분하지 않고 장애인이면 모두 체험 가능하고 입소비용은 받지 않는다"고 한다.

덧붙여 이번부터 지원되는 정부 지원금으로 "체험 홈 입소자들의 이동에 도움을 주고 편의시설의 확충과 체험 홈 프로그램을 늘려서 입소자들이 편한 환경에서 체험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어야 할 것 같다"고 관계자는 밝혔다.

더불어 "센터에서는 체험 홈을 중증장애인들에게 더 많이 알리는 것이 중요할 것 같다"면서 "장애인들이 자립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었으면 좋겠다"라고 체험 홈이 해나가야 할 부분을 지적했다.

체험홈 홍보팀장 김태영씨. 휴대폰으로 찍어온 사진들을 컴퓨터로 불러들이고 있다.
체험홈 홍보팀장 김태영씨. 휴대폰으로 찍어온 사진들을 컴퓨터로 불러들이고 있다. ⓒ 박준규

웃음꽃 피던 체험 홈
취재후기

비장애인들은 밥하고, 빨래하고, 청소하는 것을 과연 체험이라고 표현할까? 하지만 그들은 삶에 있어 가장 기본적인 체험에 해당했고, 그 체험을 끝까지 해내려고 애를 쓰고 있었다.

김치찌개와 김치, 계란말이 하나가 전부였던 이날 대접받은 저녁상은 내가 그동안 먹었던 어느 식사보다 꿀맛이었다. 불편한 몸이지만 그들이 머문 체험 홈에는 줄곧 웃음소리가 끊이지 않았으며 구김살 없는 그들의 눈빛에서 알 수 없는 순수함이 빛나고 있음을 느꼈던 값진 시간이었다.

다음엔 취재가 아닌 마실(놀러) 가는 마음으로 다녀와야 할 것 같다. / 박준규
이곳 체험 홈 홍보를 맡고 있는 김태영(27·뇌병변장애) 팀장에게 체험 홈에서 생활하면서 가장 불편한 점이나 힘든 점이 있는지 질문했다.

그는 "집에서 생활할 때는 부모나 형제들이 모든 부분을 챙겨 주는데 여기서는 생활의 필요한 모든 것들을 직접 하니까 힘들기도 했습니다"라고 답했다.

그리고 자립센터가 체험 홈에 더 신경 써 줘야 할 것은 무엇인지에 대해 질문하니 "바라는 건 관심과 격려지요. 물론 센터에서 관심이 없다는 건 아니고 체험 홈에서 뭘 먹고 사는지, 입소자들이 무슨 생각으로 생활하는지, 일주일에 한 번씩이라도 입소자들과 대화하는 시간을 가졌으면 좋겠어요"라며 아직 체계화 되지 않은 자립센터 체험 홈 프로그램에 대해 아쉬움을 토로했다.

더불어 이달부터 강릉자립센터 앞으로 지원금이 나온 것으로 아는데 이 지원금이 어느 부분에 가장 먼저 사용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한 질문에 "화장실 거울 설치나 현재 외부에서 집안으로 들어올 때 설치해 준 휠체어 진입로가 너무 급경사이고 계단도 너무 직각이어서 보수 해주었으면 하는 생각입니다"라고 말했다.

끝으로 앞으로 체험 홈이 어떤 식으로 운영되었으면 하는지에 대한 질문에 "지금은 둘이서 체험 홈을 이끌고 있는데 앞으로는 홍보를 더 많이 해서 더 많은 장애인들이 이 체험 홈에서 체험하며 자신감을 얻어서 이 사회에 당당하게 자기 선택권이나 권익도 찾았으면 좋겠어요"라고 답했다.

저녁식사 전 닭들에게 모이를 주고 있다
저녁식사 전 닭들에게 모이를 주고 있다 ⓒ 박준규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미디어다음에도 송고했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모두가 함께하는 사회가 될 수 있는 날을 꿈꾸는 사람입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