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 윤채와 완채는 근육병 때문에 초등학교 들어가서 부터 스스로 걷지를 못했다. 사진은 제 작년에 더아모의집 식구들과 함께 해수욕장에갔을 때 어머니와 함께 찍은 것이다.
ⓒ 송상호

"목사님, 저 윤채 엄만데요."
"아 예. 안녕하세요. 그런데 무슨 일이?"
"그건 아니고요. 우리 아들들이 노트북이 필요하다고 그래서요."
"엥. 갑자기 웬 노트북이?"

이렇게 시작된 윤채 엄마(경기 안성 일죽면 장암리, 더아모의집이 섬기는 장애 형제 가정의 어머니)가 들려준 이야기의 골자는 이렇다.

전에는 전동 휠체어를 타고 움직여서 컴퓨터 옆으로 갈 수 있었지만 지난해부터 윤채(형, 19세)랑 완채(동생, 17세)는 전동 휠체어조차 탈 기력이 떨어진 바람에 컴퓨터와 결별하고 살았다. 대신에 죽어라(?) 텔레비전만 보아 왔던 것.

그러던 차에 일주일에 1회 방문하여 장애 형제를 가르치러 오던 특수 교사의 노트북이 장애 형제의 눈에 들어온 것이다. 두 형제는 자꾸만 그들의 어머니에게 노트북을 사달라고 졸라댔고 어머니는 길도 몰라 난감했을 뿐만 아니라 비쌀 거 같아 말도 못 붙이고 있었다는 것. 그러다 완채 생일에 즈음하여 생일 선물로 사주기로 결정하고 나에게 전화를 한 것이란다.

▲ 컴퓨터가 들어오자 어머니 엄미자씨가 자녀들의 오랜 숙원을 풀어 주었다는 마음에 더욱 좋아한다.
ⓒ 송상호

"예. 그럼 제가 한 번 알아보죠. 그런데 얼마를 준비하실 수 있는지?"
"아이 목사님은. 우리 집 형편 잘 아시잖아요."
"그래요. 알아서 하겠습니다. 충성. 허허허."

전화를 끊고 당장 인터넷을 통해 중고 경매 사이트를 뒤지고 다니다 결국 한 개를 건졌다. 60만원 상당의 중고 노트북이다. 사실 나도 그 분야에 전혀 문외한이라 알지는 못하지만, 일단 별로 비싸지 않은 것 같고 유명회사 제품이라 AS는 잘 될 거 같아 고른 제품이다. 그리고 그동안 내가 거래해왔던 사이트라 믿고 살 수 있어서 좋았다.

그런데 웬걸. 선무당이 사람 잡는다고 했던가. 노트북에 대해 문외한인 내가 고른 것이라 그런지 자꾸만 말썽이 생긴 것이다. 배달된 노트북이 이런저런 이유로 사용하기가 불편해진 것이다. 장애 형제이니 그 요소가 플러스 되어 더욱 사용하기가 까다로워진 셈이다. 그래서 눈물을 머금고 반품을 하기에 이른 것.

▲ 동생 완채가 컴퓨터를 먼저 시운전 해보는 중이다. 완채가 자판을 손으로 두드리지 못하고 도구를 사용해서 두드리는 게 눈에 확 들어온다.
ⓒ 송상호

그래도 길을 찾아보려고 사방팔방을 알아보다가 내가 자주 가는 컴퓨터 수리 가게 아저씨에게 문의하니 속시원한 해답을 준 것이다. 그것은 바로 일반 컴퓨터를 사용하되 마우스와 자판만 무선으로 하면 오히려 노트북보다 형제가 사용하기에 좋을 거라는 것을. 나와 윤채 엄마는 갑갑한 현실 속에서 무슨 큰 빛이라도 본 듯, 더운 여름날에 소나기라도 만난 듯 반가웠다.

그런 우여곡절 끝에 컴퓨터가 드디어 윤채랑 완채에게 도달된 것이다. 실로 노트북을 구입하겠다고 나에게 전화가 온 지 보름만에 일궈낸 쾌거였다. 컴퓨터 가게 아저씨도 이 형제들을 잘 아는 터라 컴퓨터 원가만 받고 해주시니 그저 고마울 밖에.

"완채야. 이제 엄마가 생일 선물 사줬다."
"예."
"윤채도 같이 하면 되니까 군말 없기다. 알겠지?"
"예."

▲ 동생 완채가 컴퓨터를 시운전하자 형 윤채가 손거울로 모니터를 훔쳐보고 있다.
ⓒ 송상호

요즘 흔한 게 컴퓨터인데 뭐 그리 호들갑이냐 싶겠지만, 이 형제 집에선 결코 예삿일이 아닌 게다. 형제는 그동안 기다리느라 새까맣게 타버린 속도 잊은 채 컴퓨터 시 운전에 벌써 빠져들었다. 사실 형제들보다 더욱 기분이 좋은 것은 윤채 엄마 엄미자씨다. 큰 숙제를 풀어낸 아이마냥 신이 났다.

그도 그럴 것이 엄미자씨는 몇 년째 혼자서 두 아이를 수발해 왔다. 남편은 4년 전에 저 세상 사람이 됐으니 바람막이 하나 없이 혼자 그 길을 걸어온 게다. 더군다나 조카 3명을 어렸을 적부터 키우고 있으니 '휴먼 드라마' 그 자체인 여성이다. 이런 힘겨운 길에도 이렇게 웃는 날도 있다며 윤채 엄마는 박장대소를 한다.

그렇게 컴퓨터가 들어오던 날은 장애 형제와 그들의 어머니에게 평생 기억될 게 분명한 듯하다.

▲ 엄미자 씨의 삶은 한 편의 인생 역경 드라마다. 자신의 아이들도 힘든 상황인데 사진에 있는 조카 3명까지 20년 가까이 거두고 있으니 말이다.
ⓒ 송상호

태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교회에서 목사질 하다가 재미없어 교회를 접고, 이젠 세상과 우주를 상대로 목회하는 목사로 산다. 안성 더아모의집 목사인 나는 삶과 책을 통해 목회를 한다. 그동안 지은 책으로는 [문명패러독스],[모든 종교는 구라다], [학교시대는 끝났다],[우리아이절대교회보내지마라],[예수의 콤플렉스],[욕도 못하는 세상 무슨 재민겨],[자녀독립만세] 등이 있다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