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부처 기자실 통폐합 결정에 정치권과 언론계의 비난이 점입가경이다. '국민 알 권리 박탈'이니 '5공의 악몽'이니 '위헌 소지'니 난리법석이다. 언론계는 이런 비난에 앞서 자신을 뒤돌아보고 자중해야 한다. 정치권은 대선을 앞두고 언론 눈치 보기를 중단해야 한다.
참여정부 들어 정부부처 기자실 운영은 역대 정부보다 한층 발전된, 개방형 브리핑제를 도입하면서 국민의 환영을 받아왔다. 특히, 인터넷언론 등 소수언론사의 취재 기회 부여 등 공정성을 높이 평가 받았다. 그렇지만 여러 미진한 부분이 존재한 것도 사실이다. 거대 언론사 중심의 상주기자제, 이들 간의 '담합' 형성 등이 바로 그것이다.
정부는 이런 낡은 취재 관행을 극복하고 시대에 맞는 정부부처 취재를 위해 '취재지원시스템 선진화방안'을 도입키로 했다. 이에 따르면 정부 부처별로 분산돼 있는 브리핑실이 이관돼 합동브리핑센터가 설치되고, 정보화시대의 취재지원 서비스 강화를 위한 전자브리핑시스템 등이 도입된다.
정부는 이와 관련, "낡은 취재 시스템을 선진적으로 바꿔보자는 취지에서 추진하는 것"이라며 "이번 조치는 2003년 도입한 개방형 브리핑제도의 운영 성과를 점검하고 부족한 점을 보완해 완성시키는 의미가 있다"고 밝히고 있다. 또한 선진국의 사례를 종합 분석해 이 같은 방안을 마련했다고 설명하고 있다.
이 같은 정부 조치에 대한 언론계의 '국민 알권리 박탈' 주장은 과장이다. 정부는 전자브리핑 시스템을 도입, 중앙행정기관에서 실시하는 브리핑을 온라인을 통해 실시간 송출하며, '전자대변인'제를 통해 개별적 질의와 답변도 가능토록 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비공개정보라도 공익차원의 적극적 정보공개를 위한 정보공개법 개정을 통해 국민의 알권리 증진을 위한 조치들도 추진 중에 있다.
낡은 취재 관행 개선 위한 선진 방안... 국민 알권리 제약 없어
'5공의 악몽'이란 주장은 한국 언론의 악의적 보도행태를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제목장사'의 전형이다. 과거 군사독재정권의 언론탄압에 비유하다니, 정말 기가 찰 노릇이다. 무제한의 언론자유가 언론의 독선과 횡포를 불러왔음은 상식 있는 사람은 다 알고 있다. 참여정부의 '권언유착 근절'은 알 만한 사람은 다 안다. 언론개혁은 참여정부의 4대개혁과제 중 하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언론은 과연 어떤 자세를 보였는가 뒤돌아봐야 한다. 지금 한국 언론의 과제는 '국민의 알권리' 충족이 아니라 '올바른 정보 제공'이다. 왜곡하고 비틀고, 과장하고 축소하는 언론의 그릇된 행태부터 고쳐야 한다.
입맛에 맞지 않으며 어떻게든 흠집을 내고, 근거 없는 논리로 공격하는 '아니면 말고 식'의 악폐를 청산해야 한다. 정치의 감시자가 아니라 '정치언론'을 추구하며 쌓은 권력의 성을 허물어야 한다.
기자는 '시대의 개척자' '역사의 창조자' '조국통일의 대변자'가 되어야 한다. 과연 기자들은 그런 자세로 글을 써왔는가 반성해야 한다. 분단 이데올로기를 이용, 안보 상업주의에 편승한 과거를 양심고백해야 한다.
언론은 시대의 개척자, 조국통일의 대변자로 거듭나야
남북 언론인들은 지난해 11월 금강산에서 분단 61년 만에 처음으로 대규모 토론회를 열어 '6·15 공동선언 실천과 남북언론인들의 역할에 관한 토론회 공동성명'을 채택했다. 남북 언론인들은 공동성명을 통해 "언론은 정의이고 양심이며 진실이어야 하며, 남과 북의 언론인들은 겨레의 목소리를 온 세계에 알리는 전파자가 되고 민족자주와 통일을 앞당기는 시대의 선도자가 되어야 한다"고 천명했다.
또한, 남북 언론인들은 "'6·15의 기치' '우리 민족끼리의 기치' 밑에 뜻과 마음을 합쳐 민족의 존엄과 이익을 수호하고 나라의 평화와 통일을 위한 언론활동을 적극 벌여나가자"고 호소한 바 있다.
언론인은 정부의 '취재지원시스템 선진화방안' 도입을 계기로 낡은 취재 관행과 이념을 벗어던지고 정보화시대, 남북 평화통일의 시대에 발맞춰 진정한 통일 언론인으로 거듭나야 한다. 그것이 국민의 '언론 불신'과 기자에 대한 나쁜 인상을 극복하는 지름길이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참말로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