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 이성재 <재미있는 우리 국악 이야기>
ⓒ 서해문집
청소년에게 들려주는 우리 국악 이야기다. 국악의 종류, 판소리 다섯 마당, 민요, 국악기, 명창과 명인, 국악이론 등의 세계로 안내한다.

우선 관심을 끄는 것은 국악 용어들이다. '시김새'가 무엇일까? '호소하듯 음이 가만히 떨리거나 돌연 아래로 꺾어져 흘러내리면서 살아 움직이는 듯한 느낌을 주는 것'이라 한다.

또 '더늠'은 무엇인가? 판소리 용어 중 하나로, '명창들이 자기 나름대로 가락을 짜서 불러 유명해진 부분창'을 일컫는다. 예를 들면 춘향가의 사랑가는 송광록, 박만순 등의 더늠이, 새타령은 이날치의 더늠이 유명하다고 한다.

국악은 크게 양반들이 즐겨 하던 '정악'과 서민들이 즐겨 하던 '민속악'으로 나뉜다. '정악'은 다시 궁중 제사 때에 하는 '제례악', 양반들의 '풍류음악', 시조ㆍ가곡ㆍ가사 같은 정가, 행차 때에 연주하는 '고취악' 등으로 나뉜다.

'민속악'에는 성악곡으로 판소리, 단가, 선소리, 잡가, 민요가 있고 기악곡으로는 산조, 시나위, 풍물놀이가 있으며 종교음악으로는 범패와 무속음악이 있다.

'시조'에 대해 들어보자. 신광수가 쓴 <석북집> 관서악부에 가객 이세춘이 일반 시조에 가락을 붙였다는 기록이 전한다. 그리고 현재 서울과 경기도 지방에서 부르는 시조의 기본형으로 알려진 악보는 서유구가 쓴 <유예지>와 이규경이 쓴 <구라철사금자보>에 실려 있다.

시조는 지역마다 차이가 있는데 충청도의 내포제, 전라도의 완제, 경상도의 영제 등 지방의 시조를 한데 묶어 '향제'라 하고 서울 지방의 시조는 '경제'라 한다. '경제'와 '향제'는 노랫말은 같지만 가락이 많이 달라 각기 독특한 맛이 있다고 한다.

판소리는 원래 열두 마당이었으나 현전하는 것은 춘향가, 심청가, 흥부가, 수궁가, 적벽가 다섯 마당이다.

춘향가는 음악적으로나 문학적으로나 연극적 구성으로나 판소리 다섯 마당 중 가장 뛰어난 판소리로 꼽힌다. 흥부가는 서민들의 삶을 그린 대목이 풍부해 토속성이 가장 짙고 폭소를 자아내는 재담이 많다. 한편 판소리에서는 소리의 깊은 맛을 '그늘'이라 하는데 특히 '심청가'는 다른 어떤 판소리보다 신비한 소리의 '그늘'이 요구되는 작품이라고.

서편제와 동편제의 차이점을 알 수 있다. 동편제 소리는 기교가 적어 시원시원하고 씩씩한 맛이 있고 장단도 잔가락이 없다고 하고, 서편제 소리는 선천적으로 풍부한 성량이 요구되는 동편제 소리와 달리 후천적 노력이 성패를 좌우하는 소리로 그만큼 기교적이고 장단에도 잔가락이 많고 발림도 풍부하다고 한다.

민요는 지역마다 각기 다른 맛과 멋이 있는데 이런 미묘한 차이를 '토리'(마치 지방마다 사투리가 있듯이. 국어사전에는 '특징'의 잘못된 표현이라 나와 있음)라 한다. 경기민요는 낙천적이고, 남도민요는 구성지고, 서도민요는 격정적이고 애련하며, 동부민요는 힘이 있다. 그리고 제주도민요에는 일노래가 많다는 점이 두드러진다.

경기민요 중에 '노랫가락'이라는 노래는 언뜻 보아도 시조와 유사하다. 한동안 논란이 있기는 했으나 1963년 <삼죽금보>가 발견됨으로써 축소된 시조곡에 시조시를 얹어 부른 노랫가락이라는 결론에 이르렀다고 한다.

그윽한 산비탈에 홀로 선 두견화는
지극히 위태타마는 자흥에 겨워 방실방실
바람이 불 때마다 이리저리로 한들한들

달같이 뚜렷한 임을 저 달과 같이 달아 놓고
달달이 그리던 정을 어느 달에나 풀어 볼까
달 보고 긴 한숨짓자니 저 달 지는 줄 몰랐구나


우리 국악기의 주된 재료들은 무엇일까? 쇠붙이, 실, 대나무, 가죽, 나무, 흙, 바가지, 돌. 이러한 평범한 재료들로부터 우리의 소리가 나온다.

'거문고'는 국악기 중 음역이 가장 넓다. 거문고의 유래와 어원은 이렇다. 2천 년 이상 산다는 검은 학이 날아와 춤을 추었다 하여 당초 '현학금(玄鶴琴)'이라 하였다가 그 뒤 학 자를 떼어 버리고 '현금', 즉 거문고가 되었다. 그리고 거문고에서 '거문'의 어원은 '감' 혹은 '검'으로 '신(神)'의 옛말이라고 한다.

'가야금'의 유래도 들어보자. 원래 가야금을 처음 만든 사람은 가야국의 가실왕이다. 가야금은 처음에는 가야국의 '가야'와 현악기의 순우리말 고어인 '고'가 합쳐져 '가야고'라 불렸으나 후에 현악기를 뜻하는 한자어 '금'이 고 자를 대신하게 되었다.

진흥왕은 지금의 충주 지방에 해당하는 국원에 집과 땅을 주어 우륵을 정착시킨 뒤 법고와 계고, 만덕을 보내 가야금을 배우게 했다. 세 사람은 우륵의 음악을 11곡 배우고 나서 그것이 더러는 번차음(시끄럽고 번거로움)하다 하여 5곡으로 다시 정리했다. 우륵은 처음에는 무척 화를 냈으나 그들의 음악을 듣고는 "낙이불류(樂而不流)요, 애이불비(哀而不悲)니 과연 훌륭하다."며 감탄했다. 이 말의 뜻은 즐거우면서도 흥청거리지 않고 슬프면서도 비통하지 않다는 뜻이다. - 책 223쪽

다소 생소하고 소원해 보이는 국악도 이 책을 통하여 하나씩 알아가다 보면 새로운 사실을 알게도 되고 흥미로운 부분을 발견하게도 된다.

실제로 경험해보지 않을 때, 관심 밖에 있을 때 편견과 오해가 생긴다. 국악한마당의 자리에 가보거나 국악방송(www.gugakfm.co.kr)을 들어보는 것도 이러한 무지에서 벗어나는 한 방법이 될 수 있겠다.

끝으로 이 책의 아쉬운 점을 이야기하자면 이론 부분이 소략하고 찬찬하지 못하여 이해하는 데 불편하다는 점이다. 개정판이 나온다면 이 점 감안해 주었으면 한다.

재미있는 우리 국악 이야기

이성재 지음, 서해문집(2006)


태그:#국악, #판소리, #정악, #민속악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