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17대 대선이 70여 일 앞으로 다가왔지만 언론이 경마 중계식 보도, 색깔론 보도, 실종된 정책 보도 등 과거와 같은 관행 보도에 갇혀 유권자의 선택의 폭을 제약하고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언론계에선 신문이 정책중심 선거 보도와 후보자 검증에 초점을 맞춰야 하며, 선거보도 준칙을 마련해 내부 뿐 아니라 외부의 검증도 받아야 한다고 지적한다.

또, 포털의 과도한 영향력을 견제키 위해 일본과 같이 언론사 간 공동으로 뉴스 사이트를 만들어 네트워크형 보도를 시도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이용성 한서대 교수(신방과)는 민주언론시민연합이 9일 프레스센터에서 개최한 토론회에 나와 "언론은 대선 후보의 자질이나 주요 쟁점을 유권자에게 전달하기보다 스포츠 중계하듯이 선거를 흥미로운 오락물로 전락시키고 있다"고 말했다.

후보의 득표전략, 경쟁 후보에 대한 공략 전술, 득표 전망, 우열 등 게임적 요소를 집중적으로 보도해 마치 객석에서 경마를 보는 듯한 착각을 들게 한다는 것이다.

이 교수는 "경마식 보도는 주로 여론조사를 통해 후보들의 우열이나 서열을 드러내 국민들에게 판단을 강요하기도 하고, 궁극적으로 대립 지향, 갈등 지향적으로 선거를 구도화한다"고 지적했다.

정책 실종된 대선 후보 간 득표 전략, 전술, 우열 등 과잉 보도

경마 보도의 문제는 이 뿐만 아니라 정책 보도의 실종으로 이어진다. 김성원 '조선일보반대운동시민연대' 운영위원은 "14대 대통령 선거 당시 대선보도 모니터 대상 4929건의 기사 중 59건(1.2%)의 기사만 정책보도에 불과했다"고 밝혔다. 15대, 16대 대선에서도 이같은 언론의 관행은 여전했다.

언론의 진보정당 후보의 소외 및 홀대도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김성원 위원은 "발행 부수가 많은 보수신문일수록 진보정당 후보에 대해 일회성 보도로 접근하거나 흥미 위주 가십거리로 취급하는 경향이 크다"며 "이는 정치적 다원주의의 제고라는 민주주의 원칙에 위배 된다"고 밝혔다.

결국 이런 언론 보도로 인한 피해는 고스란히 유권자에게 돌아간다. 대부분의 유권자는 언론을 통해 정보를 얻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신문사들이 왜곡한 정보에 노출된 유권자의 선택은 자연히 언론사 입맛에 맞는 후보를 선택할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

그렇다면 이를 극복키 위한 방법은 무엇일까.

이용성 교수는 "각각의 언론사가 후보평가와 정책 중심 보도를 지향한다는 내용의 선거보도 준칙을 마련해 내부 뿐 아니라 외부에도 공개, 검증을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송경재 경희대 교수는 "미국의 뉴욕타임즈나 워싱턴포스트는 대선마다 지지후보를 공개하지만 공평한 정치정보 전달을 통해 시민들이 올바른 정치적 선택을 할 수 있게 한다"며 "언론은 지켜야 할 가치와 민주주의 원리 중요성을 명심, 자신의 이념과 지향이 다른 후보라 할지라도 그 가치는 인정하는 성숙된 자세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송 교수는 아울러 과도하게 영향력이 커진 포털을 견제키 위해 일본 언론이 실시한 공동 뉴스사이트 구축도 시도할 필요가 있다고 역설했다. 최근 <니혼게이자이> <아사히> <요미우리>는 공동 뉴스 사이트를 만들어 네트워크를 구축한 바 있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에큐메니안(www.ecumenian.com)에도 실렸습니다.



태그:#대선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