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쪽빛 하늘이 은행잎에 편지를 쓴다. 노란 편지지에 실린 그리운 사연들이 지상으로 하나 둘 배달되는 가을, 눈이 시린 하늘은 코끝이 싸해지는 전율을 느끼게 한다. 은행나무 가로수 따라 바오로 서점에 들렀다. 전날 사제관에 초대되어 코스모스 꽃 같은 환한 웃음을 피워놓고 가신, 우리 밀 무지개 수제비를 맛 본 수녀님들이 점심시간이 다 되었으니 식사하고 가라한다. 사랑은 품앗이인가 보다 

 

인도에는 할머니 아주머니들의 하루만큼의 꿈들이 자판으로 펼쳐져 있었다. 연뿌리가 햇살의 온기를 담고 있는 곁에서 할머니가 졸고 있다. 연근을 보자 새콤한 블루커리 김치가 떠올랐다. 부재료인 연근과 우엉과 마를 1Kg씩 샀다. 몇 발자국을 떼니 속마음을 알아차린 블루커리 3개가 작은 바구니에서 다정히 손짓했다. 마지막 떨이를 3천원에 샀다. 순간 안쓰러움 하나가 고개를 들었다. ‘하나에 천원이면 농민들은 무얼 먹고 사나’

 

어미닭처럼 노점상 자판을 품고 있는 성당, 우리농산물 판매장을 지나 떡 골목 시장 안쪽으로 갔다. 보물찾기를 하는 아이처럼 블루커리를 찾아 구석구석 돌았다. 느타리버섯과 당근 옆에 숨어 있는 블루커리를 찾았다.

 

발걸음을 붙잡는 야채 가게 할머니, 
“아저씨 미나리 사세요. 미나리는 줄기가 길어야 먹 잘 것이 있는데 쭉쭉 잘 빠졌잖아요. 한 단 사세요. 장사가 얼마나 안 되면 아저씨한테까지 사가라고 하겠어요.”
“얼마예요.”
“3천 원요.”
“새송이버섯도 하나 주세요.”

 

비닐봉지에 들고 오는데 신자 자매님을 만났다.
“신부님 시장 보러 오셨어요.”
“예, 블루커리 김치를 담으려고요.”
속없는 짓거리 하다가 들킨 것도 아닌데 쑥스러웠다.

 

재래시장에서만 느낄 수 있는 풋풋한 희망을 안고 집으로 가는 길, 시장 입구 재건축 공사장 옆으로 노점 자판을 준비하는 할머니들이 북새통이다. 성당 앞 대로변 노점상 단속을 피해 자리를 옮기고 있었다. 깨끗한 거리를 만들기 위한 단속이라지만 마음 한 켠이 싸하다.

 

서리가 뿌옇게 내려앉은 한 할머니가 더덕 한 움큼을 보자기에 놓고 껍질을 깐다. 할머니 앞에는 첫서리에 푸른빛을 잃어버린 꼬마 주먹만한 호박들 대여섯 개가 놓여 있다. 해가 질 때까지도 팔리지 않을 서리 맞은 호박들

 

녹색 신호등마다 그 호박들이 반짝거렸다. 자꾸 눈에 밟히는 호박들, 음식물 찌꺼기나 야채와 과일껍질을 담아주는 항아리가 떠올랐다. 호박은 김치를 담을 수 없다는 핑계가 뒤통수를 내리친다. 떨이를 해서 먹을 수 있는 것은 된장국 끓이고 나머지는 지렁이 먹이로 주면 되는데, 내가 왜 그냥 왔지. 때늦은 후회가 빨간불 신호등처럼 깜빡거린다.

 

“행복하여라, 마음이 가난한 사람들! 하늘나라가 그들의 것이다.”


태그:#희망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최종수 기자는 정의구현 전국사제단의 일꾼으로, 불평등한 소파개정 국민행동 공동집행위원장으로 2000년 6월 20일 폭격중인 매향리 농섬에 태극기를 휘날린 투사 신부, 현재 전주 팔복동성당 주임신부로 사목하고 있습니다. '첫눈 같은 당신'(빛두레) 시사 수필집을 출간했고, 최근 첫 시집 '지독한 갈증'(문학과경계사)을 출간했습니다. 홈피 http://www.sarangsu.net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