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운주사(雲住寺). 전라남도 화순군 도암면 대초리에 있는 절이다. 운주사는 절보다도 절 언저리의 천불산 골짜기에 줄지어 서 있는 천불천탑으로 유명한 곳이다.

 

9층 석탑은 돛대 모양으로 만들어져 있다. 원형다층석탑은 제기 위에 떡을 포개놓은 것처럼 보여서 일명 ‘떡탑’이라고도 불린다. 그 뒤에는 석실이 보인다. 석실 안 부처는 여느 부처와 달리 왼손을 올리고 있다.

 

암벽에 새겨진 마애불은 사방에 흩어져 있다. 이처럼 수많은 석불은 비를 피할 수 있는 곳에 위치해 있어 더 눈길을 끈다. 모두 이 곳에서 채취한 석재를 이용해 제작되었다는 것도 신비감을 더해 준다.

 

그러나 천불천탑이 어떻게 해서 세워졌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다만 도선과 관계된 전설만이 전해지고 있을 뿐이다.

 

도선이 이 땅의 생김새를 살펴보니 배가 움직이는 형국과 닮았다고 한다. 그대로 두면 배가 심하게 흔들리고 마침내 이 나라 국운이 일본으로 빠져나갈 것이라고 믿었다. 하여 배를 젓는 노의 위치인 이 곳에 돌탑 1000개와 돌부처 1000개를 하루 밤 하루 낮 동안에 도력을 써서 만들었다고 한다.

 

짧은 시간에 쌓아서일까? 운주사의 불교유적들은 그 형태와 미의식이 아주 독특하다. 정형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분방하다. 한마디로 제멋대로다.

 

대부분의 석탑은 자연암반을 기단으로 삼아 세워져 있다. 호떡이나 항아리 모양의 돌과 다듬지 않은 자연석을 크기대로 쌓아올린 것도 있다. 탑의 층수도 다양하다.

 

이것이 남도지방의 전형적인 하층계급 문화유산으로 꼽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정교한 맛은 없으나 석불과 석탑에 대한 일반 규범을 무시한 채 아주 파격적인 생김새를 하고 있기에….

 

마치 아이들이 만들다 만 공작물처럼 산비탈과 논두렁, 밭이랑, 바위틈 여기저기에 흩어져 있다. 단순하고 투박한 모습에서 부처의 위엄이나 자비로움은 찾아보기 어렵다. 그보다는 오히려 가슴에 손을 모은 채 뭔가를 열망하는 듯한 모습은 우리 부모·형제나 이웃처럼 정겹다.

 

석불들이 서로 다소곳이 기대고 있는 모양도 가정과 사회의 화평을 기원하는 것 같아 찾는 이에게 더욱 정감을 일으키게 한다. 여기저기에 흩어져 있는 석불과 석탑, 겨우 형체만 알 수 있는 불상 앞에 놓여진 돌무더기에도 용화세계를 꿈꾸는 민초들의 바람이 깃들어 있다.

 


태그:#운주사, #화순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해찰이 일상이고, 일상이 해찰인 삶을 살고 있습니다. 전남도청에서 홍보 업무를 맡고 있고요.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