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 새벽을 여는 일상의 사람들 새벽 3시부터 6시까지 도시의 모습
ⓒ 유태웅

관련영상보기


어느새 1년 결산을 앞둔 12월이다. 매년 이맘 때면 연례행사처럼 한 해를 돌이켜 보게 된다. 경험상 항상 뿌듯함보다는 아쉬움과 회한이 남는 경우가 더 많다. 올해는 무엇보다도 '새벽을 깨우는 사람이 되자'는 우선 목표가 있었다.

돌이켜 보면 '새벽을 깨운' 것이 아니라, 마음을 다잡고 세운 '목표가 깨진' 한 해였다. 늦어도 새벽 5시경에는 일어나 가까운 뒷산 산책과 묵상을 통해 하루를 시작하려는 계획이었다. 그러나 저녁 늦은 시각까지 컴퓨터를 끼고 사는 습관은 새벽잠을 깨울 여력을 주지 않았다.

매년 이맘때면 되풀이되는 새해계획 '새벽깨우기'

내가 새벽이라는 시공간적인 특별한 경험과 처음 만난 것은 중·고등학교 학창시절 때다. 용돈벌이로 나섰던 새벽신문배달원 생활은 남다른 새벽의 일상을 관찰할 수 있었던 특별한 기회였다. 매일 새벽 3시면 일어나 새벽잠을 이기고 나섰던 당시 새벽길.

인적 드문 늦은 저녁시간의 골목길보다는 새벽 어둠 속의 골목길이 더 무서웠던 기억. 새해 첫날 서설이 내린 새벽길에 첫 발자국을 남기던 기억. 어느 해 여름날 비가 개인 새벽 여명을 뚫고 구름 사이로 물들던 새벽노을의 장관은 학창시절 형성된 기억의 편린이다

당시 새벽이면 만나는 일상의 얼굴들이 있었다. 거리를 청소하는 환경미화원, 우유배달원, 새벽 출근길을 나서는 직장인, 허름한 작업가방을 어깨에 멘 일용직 근로자들. 이들의 모습은 지금도 변하지 않는 새벽풍경이다.

학창시절 겪은 남달랐던 새벽 일상에 대한 기억은 지금도 여전히 새벽에 대한 동경과 새벽을 깨웠던 당시의 부지런함을 되새기게 한다. 그래서 한해를 마감하는 시기에는 새해계획으로 습관처럼 '새벽을 깨우자'는 각오와 목표를 세우게 된다.

이른 새벽의 남산 산책길
이른 새벽의 남산 산책길 ⓒ 유태웅

학창시절 특별했던 '새벽깨우기'... 그러나 매년 실패

시인이자 철학자이며, 간디의 삶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었다는 헨리 데이비드 소로는 이렇게 말한다.

"우리는 자명종 소리에 의해서가 아니라 새벽에의 무한한 기대감으로 깨어나는 법을 익혀야 하고, 또한 스스로 늘 깨어 있어야 한다."

읽으면 읽을수록 가슴에 절절히 맺히는 좋은 말이지만 나같이 범상한 사람들은 실천하기가 쉽지 않다는 것이 문제다.

'하루의 새벽은 하루의 미래이며, 한달의 새벽은 1년의 미래이고, 1년의 새벽은 10년의 미래'라는 말이 있다. 역사상 이름을 높힌 명사나 위인으로 존경받는 사람들은 대부분 새벽을 깨우는 사람들이었다고 한다.

한해를 마감하고 새해를 준비하는 이때. 다시금 하루를 시작하기 전에 이른 새벽시간을 통해 '위대한 사람들의 숨겨진 멘토'이자 가치와 비전, 지혜의 '새벽 거인'들을 만날 계획을 세우고 있다.

내년 이맘 때는 또다시 '목표가 깨지는' 한해의 결산이 아니라, 진정 '새벽을 깨우는' 한해가 되기를 소망해 본다.

눈 내린 새벽 설경
눈 내린 새벽 설경 ⓒ 유태웅


#새벽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