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경상북도 성주군 초전면에 거주하는 박모씨는 지난 14일 집에서 휴식을 취하던 중 이상한 전화를 한 통 받았다.

 

발신자 표시가 000-0000-0000인 전화번호에 조선족인 것 같은 남성이 엉성한 말투로 “고객님의 A 은행 계좌가 연체됐습니다”며 “확인을 원하시면 1번을 누르세요”라고 말했던 것.

A 은행에 계좌가 없었던 박씨는 즉시 전화사기라고 인식, 전화를 끊어 다행히 피해를 당하지는 않았다.

 

이처럼 한동안 잠잠했던 전화사기 사건(일명 보이스 피싱)이 연말연시를 기점으로 또다시 기승을 부리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지만 근본적인 대책이 부족한 실정이다. 기존에는 국세청·금융기관 직원을 사칭했지만 최근에는 이벤트 당첨이나 자동응답서비스(ARS), 국제전화요금 부과 등 갈수록 그 방법이 교묘해지고 있어 어려움에 처한 지역 주민들에게 마음의 상처를 안겨주고 있다.

 

하지만 경북 성주경찰서는 2007년 7월 전화사기 등에 사용될 대포통장 36개를 유통하다 적발된 부산시 거주 김모 씨(29) 등 4명을 검거한 이후 2008년 1월까지 이렇다 할 실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성주서는 서류와 절차 등의 이유로 전화사기 건수, 피해사례 현황조차 되어 있지 않아 주먹구구식 행정이 아니냐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게 됐다.

 

특히 금융기관 CD기에 부착된 전화사기 예방관련 스티커 또한 제대로 관리가 안 돼 훼손된 경우가 많고 아예 없어 추후 관리가 미흡하다는 지적도 있다.

성주서 관계자는 “전화사기 대부분이 외국에 근거지를 두고 있어 검거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면서 “지역의 경우 노인 인구가 많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모(성주읍) 씨는 “해를 거듭할 수록 전화사기 방법이 다양해지고 치밀해지고 있다”면서 “경찰이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덧붙이는 글 | 이기사는 성주 신문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전화사기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