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나무들은 나뭇잎속으로 걸어 들어가고 길은 사람속으로 걸어들어가고...
나무들은 나뭇잎속으로 걸어 들어가고길은 사람속으로 걸어들어가고... ⓒ 송유미
 
처음 찍은 발자국이 길이 되는 때
말의 반죽은 말랑말랑 할 것이다
나무는 나뭇잎 속으로 걸어 들어가고
쏙독새는 온몸으로 쏙독새일 것이다

아랫도리를 겨우 가린 여자와 남자가 신석기의 한 화덕에 처음 올려놓았던 말. 발가벗은 말. 얼굴을 가린 말. 빵처럼 향기롭게 부풀어 오른 말. 넘치고 끓어오르는 말. 버캐 앉는 말. 빗살무늬 허공에 암각된 말.
 
처음 만난 노을을 허리띠처럼 차고 만 년 전 바람이 만 년 전 숲에서 불어온다 뒤돌아보는 여자의 열린 치맛단 아래 한번도 씻지 않은 말의 비린내 훅 끼쳐온다 여자가 후후 부풀린 불씨가 쏙독새 울음소리에 옮겨 붙는다 화덕 앞에 쪼그린 아이들 뜨겁게 반죽한 새소리를 공깃돌처럼 굴리며 논다 진흙 같은 노을 속에 층층 켜켜 찍히는 손가락 자국들,
 
귀먹은 아이는 자꾸 흩어지는 소리를 뭉치고 굴린다
깊고 먼 어둠을 길어 올려 둥글게 반죽한다
천 개의 나뭇잎들이 천 개의 귀를 붙잡고
흔드는 소리, 목구멍 속에서 쏙독새 울음소리가
허공을 물고 터져나온다
 
바람이 석류나무 아래서 거친 숨결을 고르자
처음부터 거기 살고 있는, 아직도 증발하지 않은
침묵의 긁힌 알몸이 보인다
나무는 나뭇잎 속으로 걸어 들어가고
쏙독새는 온몸으로 쏙독새인
그 길이 보인다
 
- 2008년 영남일보 신춘문예 당선시 <나무는 나뭇잎 속으로 걸어들어가고>, 조혜정 
 

도마소리가 목탁소리로 들려올 때

 

새해 벽두 시인이 아닌 일반 독자들도 '신춘문예' 당선시를 읽는 일은 즐겁습니다. 그러나 종종 시를 읽는 일이, 고통스럽다고 말하는 사람을 만납니다. 사실 시인이라도, 어려운 현대시를 읽는 일은 즐거운 고통입니다. 핍진한 현대를 살아가는 현대시인들의 시는, 사실 복잡한 세상사처럼 난해한 측면이 있어, 일반 독자들이 쉽게 이해하기는 어렵습니다. 그렇다고 시를 읽지 않는다면, 시 읽는 즐거움을 놓치게 됩니다.

 

시 창작을 강의하는 무슨 무슨 문화센터들은 많아도, 사실 대중들이 손쉽게 시를 가까이 읽을 수 있는, 손쉽게 시를 읽는 방법을 강의하는 곳은 별로 없지 싶습니다. 그러나 고정관념만 버린다면 얼마든지 난해한 현대시를 잘 읽을 수 있습니다.

 

영남일보 신춘문예의 시 당선작 조혜정 시인의 <나무는 나뭇잎 속으로 걸어 들어가고>는 실은 한번 읽어서 쉽게 이해할 수는 없습니다. 시인일지라도 말입니다. 그러나 반복해서 몇 번씩 곱씹어 읽게 되면, 읽기 쉬운 대중시보다는 감동의 여운이 많습니다.

 

내 존재 방식으로 읽는다

 

순수시와 대중시는, 클래식 음악과 대중음악에 비교할 수 있겠습니다만, 대중음악이 클래식 음악보다 못하다는 차별성을 두는 뜻은 결코 아닙니다. 다 나름대로 색깔이 있고, 정서에 따라서 취사선택해서 듣듯이, 시 읽는 것도 음악을 듣는 것과 같다고 하겠습니다.

 

<나무는 나뭇잎 속으로 걸어 들어가고>는 경쾌한 시의 리듬과 언어의 신선미와 유연한 언어의 세련미를 느낄 수 있습니다. 하루 이틀 시를 쓴 시인이 아닌 듯 느껴지는, 신인의 시입니다.

 

어떤 노 시인은 "좋은 시를 쓰기 위해, 신인의 시를 가능한 많이 읽는다'고 피력합니다. 그만큼 신인의 시 속에는 신선함과 예사롭지 않는 삶의 관찰력이 돋보이기 마련입니다. 기성 시인이란, '기성복'처럼 잘 빚은 언어로 근사한 시를 짓지만, 신인들의 시 속에는 패기와 삶에 대한 투철한 의지가 시의 힘을 느끼게 하니까요.

 

‘침묵의 긁힌 알몸이 보인다/ 나무는 나뭇잎 속으로 걸어 들어가고/쑥독새는 온몸으로 쏙독새인/ 그 길이 보인다’의 시구는 <나무는 나뭇잎...>의 마지막 단락입니다. 이 단락은 자연주의사상을 엿볼 수 있습니다.

 

모든 나뭇잎은 나무로 돌아갑니다. 물론 한 잎의 나뭇잎이 나무로 돌아가는 시간은 너무 깁니다. 사람도 사람으로 환생하는 시간은 길이로 잴 수 없는 시간입니다. 그러나 나무들은 나뭇잎으로 걸어가는 생각으로 눈을 감고, 자신에 생각에 몰입하면, 그 길 하나가 선명히 보입니다. 

 

스위스의 정신의학자이자 언어학자인 '융'은 목사의 아들로 태어나, 어린시절에는 왕성한 상상력을 마음껏 펼쳤으나 외로움을 떨칠 수 없었다고 합니다. 그는 유달리 주변의 상황을 유심히 살피고 분석하려 했다고 합니다. 

 

시도 이렇게 주변의 상황을 살피고 분석하려는 의지의 소산입니다. 시를 정의하는 말은 너무 많습니다. 그러나 융이 주변의 상황을 유심히 살피고 분석한 연구 결과를 정신의학에 이바지했듯이, 시 또한 이와 다를 것이 없습니다. 남다른 해석과 분석력이, 어려운 시에게 다가가는 지름길입니다. 시읽기는, 삶의 본질을 이해하고자 노력이니까요.

 

시인은 자신의 시에 대해 장님...내식 대로 감상한다

 

시 읽기는, 왕도가 따로 없습니다. 반복해서 읽고 또 새겨 읽으면서, 연상을 하고 자신의 상상력을 증폭시키는 일입니다. 시 읽기가 소설과 다른 점은, 시인이 문제를 던지면, 시를 읽는 독자가 해답을 내는 식입니다.

 

"난 이 시를 이런 식으로 이렇게 읽었습니다"

 

하고, 시를 쓴 시인에게 이야기하면, 시인들은 고마워합니다. 사실 시인 김수영은 "시인은 자신의 시에 대해 장님이다"고 <시인의 정신은 미지>에 적고 있습니다. 자신의 시에 장님인 시인의 시, 그러니까 시 읽는 것 내 마음대로 읽으니, 사실 얼마나 재미 있습니까 ?

 

조혜정 시인은 당선 소감에 이렇게 자신의 시론을 밝히고 있습니다.

 

"시는 사라진 세상의 소리들을 하나씩 되살려 기억하는 꿈이다…."

 

오늘 저녁, 가스불 위에 보글보글 끓는 동안, 식탁 위에 한 권의 시집 속에 시 한 편을 읽고, 그 이야기를 가족들과 이야기하는 엄마, 아내… 그런 여자의 모습은, 참 아름다운 시일 듯합니다.

 

물론 버스 안에서도 시를 읽을 수 있겠습니다. 시처럼, 음악처럼 사는 모습, 그게 생활의 꿈 아닐까요 ?

덧붙이는 글 | 조혜정 시인의 약력: △1963년 충남 당진 △목원대 국어교육학과 졸업 △2007년 11월 시와반시 하반기 신인상
 


#시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마음이 곧 인간이다고 한다. 지식은 곧 마음이라고 한다. 인간의 모두는 이러한 마음에 따라 그 지성이 나타난다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