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물류업에 종사하는 노동자들이 '한반도 대운하 사업'을 저지하기 위한 본격적인 움직임에 돌입했다. 그간 시민사회단체·학계·종교계·법조계·문화계 등 사회 각 분야에서 '이명박 운하' 반대를 위한 모임이 결성됐지만, 운하와 직접 관련된 물류업계에서 나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전국운수산업노동조합(이하 운수노조)은 20일 오전 기자회견을 열고 "환경파괴, 혈세낭비, 물류산업 망치는 운하계획을 전면 백지화하라"고 주장하며 "운하 건설을 막기 위해 물류업 종사자들의 역량을 총동원하여 대국민 선전사업을 펼쳐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화물연대 차량에는 대형 플래카드를 부착하고, 택시와 버스 등에는 시민용 만화 책자, 철도에는 KTX 시민용 선전물을 비치할 예정이다. 또 전국산하조직사무실에는 '운하 저지' 선전물을 게시하기로 결정했다. 

 

대운하는 시대착오적인 발상... "강행한다면 총파업도 불사"

 

 

"물류산업 다 망치는 운하건설 반대한다!"

"환경파괴 혈세낭비 운하계획 철회하라!"

"운하계획 철회하고 물류제도 개혁하라!"

 

이날 기자회견에서 운수노조 조상수 사무처장은 "그동안 환경단체·시민사회단체·전문가단체 등에서 (운하에 대한) 적극적인 입장 표명을 했는데 오늘은 물류산업 분야에서 직접 일하고 있는 사람들의 입장을 밝히는 자리"라면서 "운하건설이 물류산업을 망치고, 혈세낭비로 인해 경제파탄의 원인이 될 것"이라며 우렁찬 구호를 외쳤다.

 

마이크를 이어받은 운수노조 김종인 위원장은 "물류가 문제인 것은 분명하나 핵심은 운하 같은 운송수단의 문제가 아니라 그간 우리가 지속적으로 제기해 온 제도의 문제임을 직시해야 한다"면서 "시대착오적인 내륙운하가 아니라 전근대적인 물류제도를 개선하고 혁신하는 것이 최우선 과제"라고 밝혔다.

 

즉 ▲영세 소규모로 운영되는 도로운송 ▲2자 물류를 통한 리베이트 관행 ▲다단계적인 운송비용의 착취 ▲철도-항만-연안해송-도로운송의 연계체계 미비 ▲고유가를 포함한 직접비용의 과다와 같은 물류 제도가 문제인데 운송수단을 통째로 뜯어고치는 것은 잘못된 처방이라는 지적이다.

 

이어 김씨는 "이 황당한 사업이 도로운송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화물운송 특수고용노동자를 직접적인 희생양으로 삼을 것이며, 철도에 대한 투자를 약화시켜 철도 노동자의 희생으로 이어질 것"이라면서 "만일 정부가 운하 사업을 강행할 경우 총파업도 불사하는 강력한 투쟁을 전개할 것"이라고 밝혔다.

 

"전국 누비며 대운하 문제점 알릴 것"

 

 

이날 회견장 앞에는 대형 화물 트럭과 택시 5대 정도가 일렬로 세워져 있었다. 기자회견이 끝난 뒤 조합원들은 '대운하 반대' 선전물들을 부착하기 시작했다. '운하계획 철회하고 물류제도 개혁하라!'고 적힌 커다란 현수막이 화물 트럭을 감싸 안았고, 택시 앞쪽 창문에도 '운하 반대!'라고 쓰인 종이가 붙여졌다. 

 

운수노조는 조합원들이 운행하는 화물트럭·버스·택시·철도 등에 위와 같은 선전물을 부착할 예정이다. 또한, 승객들을 위해 비치해 놓은 시민용 만화 책자와 선전물도 '운하 저지'를 위한 대대적인 선전전에 동참한다.

 

김종인 위원장은 "화물차량 500대부터 시작해 5만 조합원들이 모두 참여하는 총력 투쟁이 될 것"이라면서 "사측에서도 운하는 효율적이지 않고, 건설해서는 안 된다는 것에 뜻을 같이하고 있기 때문에 (선전전에 대한) 암묵적인 동의가 있을 것"이라며 자신감을 드러냈다.

 

한편, 운수노조는 오는 22일에 열리는 '물의 날 기념 거북이 가족 걷기 한마당' 행사에 가족들과 함께 많은 조합원이 참여할 예정이며, 한반도 운하 백지화와 물류제도 개혁을 위한 토론회도 끊임없이 개최한다고 밝혔다.

 

운수노조 임영식 부위원장은 "운하의 삽질이 끝까지 진행된다면 전체 노조원들의 동의, 그리고 국민의 지지와 함께 모든 교통과 물류가 마비되는 총 투쟁에 들어갈 것"이라고 결의를 다졌다.


태그:#대운하, #물류업, #운수노조, #반대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