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우리 가짜배기 말고 진짜배기하고 같이 놀러왔어요. 우리 진짜배기 좀 보세요. 얼마나 많이 컸나."
"진짜 많이 컸네요. 자라는 아이들은 금세 이렇게 큰다니깐. 그런데 진짜배기라는 말이 무슨 말이에요?"
"그것도 아직 모르셨어요? 진짜배기는 친손자, 가짜배기는 외손자를 말하는 거랍니다."

앞집 여인이 올 3월에 태어난 친손자를 안고 우리 집에 놀러왔다. 그는 그동안은 가짜배기한테 정을 쏟았는데 진짜배기가 태어난 후부터는 진짜배기가 더 예쁘다고 한다. 그것은 그 집 남편도 마찬가지라고 했다.

그래서 그 집에서는 '진짜네 갈까? 가짜네 갈까?' 한단다. 난 그 말에 "진짜든 가짜든 첫 정이 최고 아닌가요?"하고 물었더니 "나도 친손자가 태어나기 전에는 그랬는데 지금은 아니랍니다. 형님이 아직 친할머니가 안 돼봐서 모르실 겁니다. 친손자가 생기면 나도 모르게 달라져요"한다.

'외할머니', 그 말이 어찌나 서운하던지...

 아기와 할머니.(자료사진)
아기와 할머니.(자료사진) ⓒ 김대홍
친손자와 외손자. 그러고 보니 큰손자가 5살 무렵으로 생각된다. 어느 명절 때였던가? 딸아이식구가 시댁에 갔다 우리집에 왔다. 우리집에 들어서자마자 큰손자는 나한테 "외할머니, 외할머니"하며 큰 소리로 부르는 것이 아닌가. 난 그 말이 정말이지 낯설었다. 그 소리가 나한테 하는 소리라고 생각하기 싫었는지도 모를 일이다. 어쨌든 손자도 처음 배운 그 말이 신기해서 들어서자마자 나를 불렀을 것이다.

딸과 사위도 의아하다는 듯이 큰손자를 쳐다본다. 난 "우진아, 외할머니? 누가 그런 말을 가르쳐줬어?", "응 연신내 할머니가 그러는데 대야동(정현순) 할머니는 외할머니이고, 나는(연신내) 친할머니래. 할머니 외할머니가 뭐야?"하며 내게 되묻는다. 이상했다. 내가 외할머니가 맞긴 맞는데 그 말이 왜 그렇게 생소하고 서운하게 들리던지….

잠시 후 밥상이 차려졌고 술도 한잔씩 하게 되었다. 취중진담이라고 했던가. 난 술기운을 빌려 사위와 딸에게 내 서운한 마음을 솔직하게 털어놓았다. "우진이가 외할머니라고 부르는데 왜 그렇게 서운한지 모르겠다"라고…. 딸도 사위도 난감해 하는 듯했다. 남편은 "뭐가 그렇게 서운해 외할머니 맞는데" 한다.

사위도 "그냥 할머니 두 분이 모두 계시니깐. 우진이한테 구별해 주려고 그랬을 거예요"하면서 서운해 하는 내 마음을 달래주는 듯했다. 그런 후 집으로 돌아가는 길에 딸과 사위는 그 문제로 조금 티격태격 했다고 한다. 나중에 그 말을 듣고 '내가 서운해도 그냥 넘길 것을 그랬나' 하는 생각도 들었었다. 올케도 "그 말이 그렇게 서운했어요?"하며 묻기도 했었다. 그랬다. 나는 무척 서운한 기분이 든 것이 사실이었다. 

사위의 말처럼 두 할머니의 구별을 위해서 생긴 말이고, 안사돈 역시 손자가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했을 말일 것이다. 하지만  내 마음 한쪽구석에서는 그 마음이 선뜻 없어지지 않았다.

내가 그렇게까지 섭섭했던 이유는. 외손자라고는 하지만 외손자라는 개념도 없었고 나의 첫손자, 첫사랑 우진이라고만 생각했기 때문이다. 첫 손자인 우진이한테 모든 사랑과 정성을 다 쏟아 붓고 있는 중에 그런 소리를 들었으니 더 섭섭했을 것이다. 또 며칠 안 보면 보고 싶어 목소리라도 듣고 싶었던 그런 마음 때문이었리라.

예전에 외할머니라고 하면, 친할머니보다 한 치 건너라고 하는 보편적인 생각에 조금은 멀게, 조금은 거리감이 느껴진다는 생각 때문이었을 것이다  난 전혀 그런 고정관념과는 아무 상관없는데 말이다.

우진아, 할머니 이름을 불러주는 건 어때?

그런 일이 있은 후 딸과 사위는 친할머니, 외할머니 대신 대야동 할머니, 연신내 할머니로 부르라고 큰 손자와  결정을 보기도 했다. 난 앞집 여인에게 "내가 아직은 친손자가 없어서 진짜배기 가짜배기를  잘 모르겠는데 어쨌든 외할머니 소리를 들으니깐 그게 그렇게 섭섭하더라고요" 했다. 그도 그동안  외손녀가 첫정이었는데 외할머니 소리를 들으면 왠지 섭섭했다고 말한다.

요즘 외손자와 친손자, 구별해서 정을 주는 할머니는 그다지 많지 않을 것이다. 이런 저런 말과 관습과는 아무 상관없이 많지 않은 손자들이 마냥 예쁘고 사랑스럽기만 하다. 머지않아 친손자가 생긴다 해도 나의 첫정인 우진이는 마지막까지 첫정으로 남아 있을 것이다.

하여 요즘 큰손자에게 내 이름을 가끔 각인시키기도 한다.

"우진아, 앞으로 '정 할머니' 아님 '현순할머니'로 불러주렴."


#외할머니#외손자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주로 사는이야기를 씁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