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한나라당을 떠난 친박인사들의 복당이 가시화되고 있다.

 

강재섭 한나라당 대표가 14일 오전 최고위원회의에서 당외 친박 인사들의 '전당대회 전 복당 불가' 방침을 철회했기 때문이다. "여당 지도부가 결국 박근혜 전 대표에게 두 손 들었다"는 얘기도 나오지만, 복당을 둘러싼 줄다리기는 지금 막 시작됐다고 할 수 있다.

 

조윤선 당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강 대표가 전대 이전 복당이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완화했다"며 "새 원내대표가 선출되고 18대 국회의 원 구성 협상 추이를 보며 당의 윤리규정과 정체성에 맞는 인사를 받아들이겠다. 복당 범위와 시기는 추후에 구체적인 논의를 하겠다"고 말했다.

 

강 대표는 그동안 "내가 대표로 있는 한 복당은 안 된다", "나도 원칙이 있다"며 복당 문제에 완고한 입장을 유지했고 이명박 대통령도 딱 부러진 입장을 내놓지 않는 상황에서 박근혜 전 대표는 "5월 말까지는 당 지도부가 가부를 결정해야 한다"고 '최후통첩'을 한 상황이었다.

 

강 대표로 상징되는 한나라당 지도부가 '친박 복당' 문제에 대해 입장을 바꾼 것은 최근의 정국 흐름에 따른 불가피한 선택으로 보인다.

 

여당은 공천 내분으로 인해 전통적인 지지 세력이 갈라지며 18대 총선에서 원내 과반수보다 약간 많은 153석을 얻은 데 그쳤다. 총선이 끝난 후에도 물가 폭등과 청와대 수석들의 재산 문제, 어설픈 정책 발표 등 악재들이 연달아 터지며 궁지에 몰렸다.

 

더구나 미국산 쇠고기 수입 문제로 결정타를 맞은 이명박 대통령이 20%대의 지지율에 허덕이는 상황에서 친박 복당에 부정적이었던 이명박계 내부에서도 "복당 문제를 전향적으로 생각해봐야 한다"는 현실론이 부상하기에 이르렀다.

 

특히 친이 성향의 공성진 의원은 13일 평화방송 <열린세상, 오늘! 이석우입니다> 인터뷰에서 "(전당대회 전 복당과 강 대표의 입장이) 양립 내지 병립할 수가 없기 때문에 복당 허용과 동시에 (강 대표가) 도의적 책임 혹은 정치적 책임을 지고 사퇴를 해야 한다"는 주장까지 펴며 강 대표를 압박했다.

 

당 지도부 '선별복당' 대 박근혜 '일괄복당'... 여전히 의견 차

 

박근혜계의 입장을 대변해온 김학원 최고위원도 최고위원회의를 시작하기에 앞서 "친박 인사들의 일괄복당이 국민의 뜻과 당 화합을 위해서도 옳다"며 "당 대표가 솔선해서 최고위원회에서 가닥을 잡아달라"고 호소했다.

 

스스로 막아놓은 복당의 물꼬를 트지 않을 경우 '분당'이라는 최악의 시나리오까지 감수해야 하는 상황에서 강 대표도 기존의 입장을 접을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친박인사들의 복당 문제는 '완료형'이 아니라 '현재 진행형'이다. 복당의 형식과 규모, 시기 등의 난제들이 여전히 남아있기 때문이다.

 

한나라당 지도부가 18대 국회의 원 구성 협상 추이에 따라 복당 논의를 진행하기로 한 것에 대해 "친박인사들의 교섭단체 구성을 견제하려는 게 아니냐"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가장 큰 문제는 박 전 대표의 '일괄복당론'과 여당 지도부의 '선별복당론'의 접점을 찾는 것이다. 여당 지도부가 대변인 발표에 굳이 "당의 윤리규정과 정체성에 맞는 인사를 받아들인다"는 문구를 집어넣은 것도 "검찰의 수사대상에 오른 인물들은 안 된다"는 마지노선을 정한 것으로 해석된다.

 

그럼에도 여권의 대분열이라는 파국을 피하게 된 것에 대해서는 당내에서도 안도하는 반응이 많다. 유력한 원내대표 후보로 거론되고 있는 홍준표 의원은 "최고회의 결정이 평소 내 생각과 같다"며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박 전 대표의 주변에서도 "박 전 대표가 국내에 없어서 딱히 뭐라고 답하기 곤란하다"고 하면서도 "지금이라도 해결의 실마리를 찾은 것은 다행스러운 일"이라는 반응이 지배적이다. 박 전 대표의 한 측근은 "총선이 끝난 후 무려 한달 반이라는 시간을 허비했지만, 뒤늦게라도 당 지도부가 복당 문제를 논의하기 시작한 것은 의미 있는 변화"라고 말했다.


태그:#복당, #박근혜, #강재섭, #한나라당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