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오늘(17일) 날이 많이 추워졌습니다. 아침에 옥상에 올라가보니 지난 토요일 내린 가을비가 채 마르지 않고 고여있던 것이 얼어있을 정도였습니다. 다행히 더 추워지기 전에 저희 집은 김장을 시작했는데요. 어제는 밭에서 뽑아온 배추나 무 등 김장거리를 다듬어서는, 배추는 소금물에 절이고 무는 수세미로 빡빡 씻어냈습니다.

 날이 더 추워지기 전에 김장을 시작했다.
 날이 더 추워지기 전에 김장을 시작했다.
ⓒ 이장연

관련사진보기


ⓒ 이장연

관련사진보기


국산천일염
 국산천일염
ⓒ 이장연

관련사진보기


숨죽인 배추 절이기
 숨죽인 배추 절이기
ⓒ 이장연

관련사진보기


배추포기 수는 작년보다 줄어 있었지만, 밭에서 부모님이 정성스레 기른 김장배추는 속이 꽉 차 있었습니다. 아침부터 어머니는 그 배추를 다듬고, 가장 큰 고무대야에 소금을 풀어 배추 숨을 한차례 죽인 다음 배추 속에 소금을 뿌리기 시작했습니다. 소금도 중국산이 아니라 태안에서 나온 국산 천일염이었습니다.

다듬은 배추를 소금물에 한번 푹 담가 숨을 죽이고 꺼내 중간크기의 고무 대야에 건져내는 일을 고무장갑을 끼고 도와드린 뒤, "그만 올라가라"는 어머니 곁에서 허벅지만한 무를 통에서 꺼내 빈 고무대야에 물을 받아 씻어냈습니다. 배추처럼 무도 속이 알찼고 무게도 만만찮았습니다.

아무튼 도공이 도자기를 빚듯이 수행자가 도를 닦듯이 쭈그리고 앉아 온 힘을 다해 흙먼지를 닦아냈습니다. 그 사이 어머니는 숨죽인 배추 속에 소금을 "팍팍" 뿌렸습니다. 그렇게 한참동안 무를 씻는데, 뽀얀 속살을 드러낸 무의 형체가 마치 알통이 튀어나온 종아리처럼 보였습니다.

왜 사람들이 "무다리"라 하는지 알 수 있었습니다. 그 모습을 카메라에 담아 전합니다.  

덧붙이는 글 | 이기사는 U포터뉴스와 블로거뉴스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태그:#김장, #배추절이기, #김장김치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