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에이드엘크빌을 기다리는 양들 보통 명절 2주 전부터 이렇게 각 가정은 양들을 사서 마당에 두고 함께 지낸다. 간혹 집안에 들이는 가정들도 있다.
에이드엘크빌을 기다리는 양들보통 명절 2주 전부터 이렇게 각 가정은 양들을 사서 마당에 두고 함께 지낸다. 간혹 집안에 들이는 가정들도 있다. ⓒ 신유승

12월 9일은 이슬람권에서 큰 명절 중 하나인 '에이드 엘 크빌'이다. 이곳의 제1 외국어인 프랑스 말로는 "La fête de mouton" 한다. 말 그대로 '양축제'라는 다소간 투박한 의역을 사용하고 있다. 이곳의 명절 또한 우리네 설이나 추석과 같이 태음력(우리와는 조금 다른 이슬람 태음력을 사용한다)에 따라 해마다 다르게 명절이 정해진다.

보통 시작일을 기준으로 2~3일이 공휴일이 된다. 이틀 이상 쉬는 것은 전적으로 왕에게 달려있다. 올해(2004년)는 이 엘크빌이 내일 일요일이 되어 많은 이들이 아쉬워하고 있다. 일요일에 공휴일이 겹친 것을 안타까워하는 마음은 국적과 문화를 불문하고 모든 사람들이 다 같은 모양이다.

프랑스 말로 '양축제'라는 말로 번역이 되긴 하지만, 사실 이 날은 양들에게는 수난의 하루다. 각 가정마다 성인 남자 한 명당 양 한 마리씩을 직접 잡는 날이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보통은 한 가구당 양 한 마리 잡는 것이 보통이다. 가끔씩, 모두들 지난 기억이 현실에서 투영되는 경험들이 있을 텐데, 이 명절의 양 구입을 위한 대출을 광고하는 길거리 대형 광고판을 보면 어린 시절 한국서 보았던, '치킨 광고의 닭'이 연상되어 슬며시 웃음짓게 된다.

보통 한 2주 전부터 이 명절의 준비가 시작된다. 준비는 각 가정마다 명절에 쓸 양을 구입하는 것에서 시작된다. 그리고 명절까지 그 양은 가족들과 함께 기거한다. 아래 사진은 작년 엘크빌날 함께 했던 현지인 친구 사이드(Said)네 양의 모습이다. 녀석은 이 한 장의 사진을 마지막으로 남기고 떠나갔다.

모로코의 에이드 엘크빌 현지인 친구 Said 네 집의 양. 양들은 자신이 곧 죽을것을 아는지 옥상에 올라갈때 무척 발버둥을 친다.
모로코의 에이드 엘크빌현지인 친구 Said 네 집의 양. 양들은 자신이 곧 죽을것을 아는지 옥상에 올라갈때 무척 발버둥을 친다. ⓒ 신유승

양 하면, 하얀 메리노 양을 먼저 떠올렸었는데, 이곳에 와서 이 지역에서 주종을 이루는 '일반양'의 모습을 이해하게 되었다. 엘크빌이 다가옴과 동시에 길가에서 양떼의 모습을 심심찮게 볼 수 있다. 물론 지방으로 나가면, 양떼나 당나귀의 모습을 보는 것이 전혀 어려운 일이 아니지만, 수도인 라밧(Rabat) 한가운데에서 양떼들이 지나가는 모습을 보는 것은 색다른 기분이 들게 한다.

이 명절에 특이한 행사는 바로 '손수 양을 잡는 것'이다. 수많은 가족들이 모여, 함께 붙어 앉아서 온종일 '양'과 관련된 일들을 해도 하루가 모자를 만큼 이 '양을 잡는 것' 자체에 수반되는 일이 참 많다. 이 행사는 아침에 시작된다. 텔레비전에서 왕이 직접 나와 그의 몫인, 양 한 마리의 목을 칼로 그으면, 전국에서 지켜보고 있던 국민들은 이때를 기점으로 양을 잡으러 각자의 집 옥상으로 올라간다.

직접 양을 잡는 이들도 많지만, 서투른 이들을 위해 먼저 자신의 집 양을 잡고 가까운 집으로 도와 주러 다니는 이들도 있다. 작년 내가 함께 했던 사이드네 집에서는 양 한 마리와 보신용 염소 한 마리를 잡았는데, 이 집의 경우도 이웃의 양을 잘 잡는 이가 와서 그 일들을 도와 주었다.

양을 잡는 남자들 행사는 온가족이 참여하지만 양 잡는것은 남자들만 참가한다.
양을 잡는 남자들행사는 온가족이 참여하지만 양 잡는것은 남자들만 참가한다. ⓒ 신유승

칼로 양의 목을 긋는 때는, 이 집의 모든 남자들이 함께 그 칼을 함께 잡는 모습을 보인다. 나 또한 그 집의 아들 대접을 받고 있는지라, 양 잡는데 '양 다리를 꼼짝 못하게 잡는' 일조를 했다. 도시의 아이로 자라온 나는, 무언가를 '잡는'다는 것에 처음엔 다소간 긴장을 했었지만, 유구한 문화 가운데 정착된 이 '잡는' 행사는 생각보다 잔인하거나 번잡스럽지 않고, 조용히, 그리고 간단하게 끝났다.

그렇게 양을 잡은 후에는, 가족들의 손길이 더 바빠진다. 먼저 가죽을 벗기고, 내장을 정리한다. 그러는 동안 다른 한 편에서는 양 머리와 양족(다리)를 숯 화로에 올려놓고 털을 태우면서 저녁의 요리에 쓸 수 있도록 정리하고 익히는 일을 한다. 우리나라에서 소의 모든 부분을 먹는다면, 여기서는 양의 모든 부분을 먹는다.

가죽 벗기기 이렇게 벗긴 가죽은 세탁후 집안의 깔개들로 많이 이용한다. 가죽을 벗기면 본격적인 고기손질로 들어간다.
가죽 벗기기이렇게 벗긴 가죽은 세탁후 집안의 깔개들로 많이 이용한다. 가죽을 벗기면 본격적인 고기손질로 들어간다. ⓒ 신유승

가족들 모두 각자 자기가 해야 할 일들을 정해서 분주히 정리하는 동안, 몇몇 사람들은 가죽을 수거하러 집집마다 돌아 다닌다. 그들이 걷어간 가죽은, 나중에 가공처리와 세탁을 한 후 다시 돌려 받게 된다. 물론 돈을 내야 한다. 한편, 동네 곳곳에서는 젊은 친구들이 화로 하나를 가져다 놓고, 손이 많이 가는 귀찮은 작업인 양머리, 양족 익히기 알바를 시작한다.

뿔이나 굽을 벗기는 것도 이 알바의 주요 공정 중 하나. 몇몇이 불을 피우고 양머리를 다듬고 익히는 동안 다른 몇몇은 분주히 다니며 집집마다 양머리를 받으러 다닌다. 물론 좀 공격적인 마케팅(?)의 예 이고, 대부분은 귀찮아서 그냥 손님이 오기를 기다린다. 그렇다 해도, 워낙 수요가 많으니, 돈은 벌리게 된다. 이 엘크빌 명절에는 평소에는 볼 수 없었던 '신종부업'들이 생겨난다. 오늘자 Le Matin(이곳의 일간지)에는 명절에 생기는 이 신종 알바(nouveaux petits meiter naissent le jour de l'aid)에 대한 소개기사가 나기도 했다. 여느 개도국과 같이 일자리가 부족한 이곳의 젊은이들에게, 이 날은 썩 괜찮은 수입을 거둘 수 있는 많지 않은 기회들 중 하나다.

에이드에 성업중인 동네알바 이들에게 맡기면 양의 머리와 발등을 센 화력으로 초별구이 해 준다.
에이드에 성업중인 동네알바이들에게 맡기면 양의 머리와 발등을 센 화력으로 초별구이 해 준다. ⓒ 신유승

이렇게 양을 잡는 행사를 하다 보면, 온 도시가 양머리를 그을리는 연기로 자욱하다. 양 잡는데 수반되는 많은 일들을 옥상에서 하다가 보면, 금세 점심시간이 다가 온다. 점심은, 갓 잡은 양의 간과 내장을 적당한 크기로 다듬어 꼬치(brochette)에 꽂아 숯불에 굽는다. 특별한 양념은 없고, 다양한 부위를 양의 기름으로 잘 싸서 구워내 소금과 함께 먹는다. 나는 평소에도 동물의 내장 부위에 대해선 그닥 비위가 좋은 편은 아니었지만, 이 가족들과 함께 맛있게 점심식사를 다 했던 기억이 난다.

그 후에는, 다시 양 손질 시작이다. 이번에는 살코기들을 발라내는 일을 시작한다. 원칙적으로 이 축일 기간 중에 양 한 마리를 다 먹어야 한다고 하지만, 냉장고가 발달한 요즘에는, 그렇게 의무적으로 양을 다 먹어 치우는 경우는, 식구들이 아주 많지 않는 한 드문 것 같다. 이렇게 온 가족이 저녁시간 까지 양과 함께 씨름을 하면서 보낸다. 큰 명절이고, 모처럼 온 가족이 맛있는 양을 먹는 날이라 그런지, 다들 열심히 일을 하면서도 얼굴들은 마냥 밝다.

내 친구의 말을 빌리자면, 저녁식사가 바로 이 날의 묘미라고 한다. 바로 양머리 꾸스꾸스(couscous)다. 꾸스꾸스는 밀을 찌고, 갖은 야채와 고기로 만들어 내는 북아프리카 이슬람왕국들의 전통음식인데, 특별히 이 날은 양의 머리로 꾸스꾸스를 한단다. 손님에 대한 환대, 특히 식사를 통한 환대가 중요한 가치로 매김되는 이곳에서, 저녁식사시간의 모습은 보지 않아도 머릿속에 훤했었다. 이 가족의 중간에 앉아, 양 머리의 갖가지 부위들을 제일 먼저 맛 봐야 할 내 모습 말이다.

꾸스꾸스(couscous) 모로코의 전통음식 꾸스꾸스. 북아프리카 이슬람권에선 금요일 마다 이 꾸스꾸스를 먹는다. 사진은 닭고기 꾸스꾸스
꾸스꾸스(couscous)모로코의 전통음식 꾸스꾸스. 북아프리카 이슬람권에선 금요일 마다 이 꾸스꾸스를 먹는다. 사진은 닭고기 꾸스꾸스 ⓒ 신유승

그래서 작년에는 저녁시간을 앞두고, 먼저 집을 나섰다. 가족들 모두 어찌나 서운해 하시던지 미안한 마음이 들 정도였는데, 예의 '저녁만찬'을 머리에 떠올리니 어쩔 수 없이 집을 나설 수밖에 없었던 기억이 난다. 인류학 관련 책이었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다른 문화의 사람들과 친해질 수 있는 가장 빠른 방법이 바로 그네들 식문화에 똑같이 참여하는 것이라더라. 이곳 모로코의 음식은 참 맛이 좋아서, 그때까지 별 무리 없이 그 '원칙'에 잘 따를 수 있었지만, 아직 내겐 양머리는 조금 무리였었던 듯 하다.

이렇게 집집마다, 오랜만에 가족들이 함께 모여 양들을 잡아내는 동안, 모든 상점들은 문을 닫고 도심은 문자 그대로 개미새끼 한 마리 안보일 정도로 썰렁해 진다. 작년 나는, 오후에 집에 돌아가야 했기 때문에 몸소 텅 빈 도심을 가로질러 걸어가며 '썰렁함'을 체험해야 했다. 이날의 낮 시간 동안에는 버스도 택시도 모두 중단되기 때문다.

그런데, 올해는 어쩔 수 없이 끝까지 참여해야 할 것 같다. 우선, 사이드와 그 동생 케림이 지난해 결혼을 해서, 잡아야 할 양이 4마리가 되어버렸다.(그 위로 히샴이라는 형이 더 있고 아버지 분의 한마리, 그래서 4마리) 작년, 내 손을 꼭 붙들고, 내년(올해)에는 꼭 나에게 양 한마리 온전히 잡게 해 주시겠다던 어머님의 말씀이 점점 선명해진다. 과연, 나는 양 한마리를 처리할 수 있을 것인가?

덧붙이는 글 | 아랍어 에이드(Aid)는 우리말 '명절' 중 '절' 정도에 해당됩니다. 크빌(Kbir)은 크다, 첫째 정도고, 엘(El)은 정관사. 모로코에선 이맘때쯤 에이드라고 하면 다 에이드 엘크빌을 의미합니다. 이 글은 모로코 체류하던 2004년 적어둔 글로, 오늘(12월 9일)이 모로코 현지에선 에이드 시작이라는 친구 연락을 받고 소개하게 되었습니다.



#모로코#이슬람#에이드엘크빌
댓글
이 기사의 좋은기사 원고료 1,000
응원글보기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