ㄱ. 과학적이지 못합니다
.. 하늘과 땅만큼의 차이가 있는 것을 덮어두고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 따위의 기준으로 헤아리는 것은 너무나 과학적이지 못합니다 .. 《요시다 도시미찌/홍순명 옮김-잘 먹겠습니다》(그물코,2007) 47쪽
“하늘과 땅만큼의 차이(差異)가 있는 것을”은 “하늘과 땅만큼 다름을”로 손봅니다. ‘생물학적 산소요구량’이라는 말은 좀 쉽게 풀어서 쓰면 어떨까요. 이렇게 적고 ‘BOD’라는 말을 묶음표를 치고 넣는다고 해서 알아듣기 좋은 말이 되지는 않아요. “따위의 기준(基準)으로”는 “따위 잣대로”로 다듬어 줍니다.
┌ 과학적(科學的) : 과학의 바탕에서 본 정확성이나 타당성이 있는
│ - 과학적 사고 / 과학적 설명 / 과학적인 탐구 / 과학적으로 살피다 /
│ 탐정은 매우 과학적인 방법으로 사건을 풀어 나갔다
├ 과학(科學) : 보편적인 진리나 법칙의 발견을 목적으로 한 체계적인 지식
│
├ 너무나 과학적이지 못합니다
│→ 너무나 과학과 동떨어져 있습니다
│→ 너무나 과학에서 빗나가 있습니다
└ …
과학을 바탕으로 생각한다면 “과학을 바탕으로 생각”하는 일입니다. 과학을 바탕으로 이야기를 한다면 “과학을 바탕으로 말”하는 일이고요. 과학에 따라 살피면 “과학에 따라 생각”하는 일이에요.
┌ 과학에 따라
├ 과학을 바탕으로
├ 과학으로
├ 과학을 헤아리며
└ …
글흐름을 잘 살피면서 토씨를 알맞게 붙이면 좋겠습니다. 이야기 짜임새를 찬찬히 돌아보면서 ‘어떤 과학’이고 ‘어떻게 하는 과학’인지를 살뜰히 풀어내어 보여주면 좋겠습니다.
ㄴ. 과학적으로 개선하고
.. 그러기 위해서는 또 학습 방법을 과학적으로 개선하고 .. 《찌까즈 께이시/김성원 옮김-참 교육의 돛을 달고》(가서원,1990) 101쪽
“그러기 위(爲)해서는”은 ‘그러자면’이나 “그렇게 하자면”으로 손봅니다. ‘개선(改善)하고’는 ‘고치고’나 ‘가다듬고’로 다듬으며, ‘학습(學習)’은 ‘배우는’으로 다듬습니다.
┌ 과학적으로 개선하고
│
│→ 하나하나 고치고
│→ 차근차근 고치고
│→ 잘 살펴서 가다듬고
│→ 깊이 돌아보며 추스르고
└ …
‘배우는’ 방법을 ‘과학에 맞추어’ 바꾸는 일을 생각해 봅니다. 과학에 맞추어 바꾸는 일이라면, 아무렇게나 할 수 없습니다. 하나하나 잘 살피면서 바꾸어야 합니다. 서두른다고 될 일이 아니니, 차근차근 돌아봅니다. 하나씩 되짚고 차츰차츰 가다듬습니다.
┌ 짜임새있게 바꾸고
├ 빈틈없이 다시 짜고
└ 야무지게 손보고
고쳐 나가는 짜임새는 야무질수록 좋습니다. 빈틈이 없도록 뒤돌아보고 또 돌아봅니다. 어느 구석 하나 모자람 없이 꼼꼼히 헤아립니다.
ㄷ. 아주 과학적이라는 생각
.. 아무리 생각해 봐도 내가 내린 결론은 아주 과학적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노경실-엄마 친구 아들》(어린이작가정신,2008) 30쪽
‘결론(結論)’은 그대로 두어도 나쁘지 않으나 ‘생각’으로 다듬을 수 있습니다. 다만, 보기글에서 이렇게 다듬자면 앞말과 묶어서 “아무리 봐도 내가 내린 생각은”처럼 다듬습니다.
┌ 아주 과학적이라는
│
│→ 아주 올바르다는
│→ 아주 그럴싸하다는
│→ 아주 멋지다는
│→ 아주 말이 된다는
└ …
흔히들 과학은 ‘틀림이 없이 꼭 맞다’고 생각하곤 합니다. 터럭만큼도 어긋나지 않아야 하는 일이 과학이라고 느끼기도 합니다. 앞뒤가 딱딱 맞아야 하는 일이며, 마땅하고, 틀이 잘 짜여져 있다고 보기도 합니다.
이 자리를 보면, 초등학교 어린이가 자기 생각이 아주 ‘과학적’이라고 느낍니다. 이야기 흐름을 살피니, ‘과학적’이 아닌 ‘논리적’을 넣거나 ‘합리적’을 넣어도 잘 어울리겠구나 싶습니다. 그러니까 “이치에 맞는”이나 “앞뒤가 맞는”이나 “말이 잘 되는”을 뜻한다고 하겠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