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계룡시의회(의장 김학영)가 계룡시청 기자실과 관련해 ‘폐지’쪽으로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져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이 같은 의견이 제기된 것은 지난 10일 열린 ‘시의회 의원간담회’ 자리에서 나온 것으로 알려졌으며, 특히, 이날 자리를 함께 한 6명의 의원 전원과 불참했던 의원까지 만장일치로 찬성한 것으로 전해졌다.

 

간담회에 참석한 시의회의원들은 이 자리에서 그동안 홍보비 관련 문제 등 기자실의 폐단을 언급하며 ‘기자실 폐지’의 당위성을 들어 이같이 결정했으며, 구체적인 폐지 주장사유는 추후 밝히겠다고 한 관계자는 전했다.

 

특히, 이날 자리를 함께 했던 모 의원은 지역 인터넷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취재할 사안이 있으면 해당 부서에 가서 담당자를 만나 취재하면 된다”며 “취재를 위해 사무실을 방문한다면 얼마든지 자리를 만들어 줄 수 있도록 조치하겠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져 ‘기자실 폐지’ 문제가 ‘액션’이 아닌 기정사실화 되고 있음을 암시해 주고 있다는 후문이다.

 

시의회로부터 ‘기자실 폐지’ 문제가 불거져 나오자 기자실 운영을 담당하고 있는 계룡시 관계부서는 난처에 입장에 빠져있다.

 

‘기자실 폐지’ 문제가 언급된 뒤 만난 계룡시 공보 관계자는 입장 표명을 요구하는 기자를 향해 “아직까지 아무 것도 결정된 바 없고, 그리고 지금 시점에서 시의 입장을 이야기하는 것 자체가 무리가 있다”며 난색을 표했다.

 

 

계룡시의회가 폐지를 주장하고 나선 계룡시청 기자실에는 현재 10여명 안팎의 지방일간지 기자와 지역 인터넷뉴스 기자가 출입하고 있으며, 지난해 책상과 붙박이장 등을 새로 교체하는 등의 환경개선을 한 바 있다.

 

한편, 계룡시 기자실 폐지와 관련해서는 지난 2007년 6월 노무현 정부에서 취재지원 선진화 방안의 일환으로 관공서의 기자실 및 브리핑룸 폐지 '붐'이 일어날 당시 계룡시 지역인터넷 신문 관계자들이 '계룡시청의 앵무새 노릇을 하며 시민의 혈세를 좀먹는 계룡시청 기자실을 폐쇄하라'며 기자실을 방문, 기자실 출입문에 '앵무새방', '언론개혁'이라는 문구를 붙이고 묵언의 시위를 벌인 바 있다.

 

관련기사 : "기자실이 아니라 '앵무새방'이지"


태그:#계룡시, #기자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태안의 지역신문인 태안신문 기자입니다. 소외된 이웃들을 위한 밝은 빛이 되고자 펜을 들었습니다. 행동하는 양심이 되겠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