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법원이 24일 밤 결국 노종면 YTN 노조위원장에 대한 구속영장을 발부하자 각계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국제사면위원회(앰네스티 인터내셔널)도 노종면 위원장의 석방을 요구하는 성명을 발표해 이 문제는 이미 나라 밖까지 번지고 있다.

 

국제사면위원회는 24일 '언론인 구속은 언론 자유를 위협한다'는 제목의 성명을 내고 "한국 언론이 이런 종류의 부당한 정부 간섭과 괴롭힘에 직면한지 오래됐다"면서 "이번 체포는 언론의 자유에 위배되는 것이며 한국 언론 발전에 심각한 우려를 낳고 있다"고 주장했다.

 

한국기자협회(회장 김경호)는 "경찰과 법원은 민주사회의 상식을 배반했다"면서 "설혹 회사 측이 주장한 대로 실정법을 위반한 혐의가 일부 있다고 해도 기자를 구금해 수사한다는 것은 대한민국 사회가 과연 어디로 가고 있는가에 대해 심각한 의문을 던지게 만들고 있다"고 주장했다.

 

기협은 "이명박 정부는 출범 이전부터 언론인 성향 조사 등을 비롯해 지금까지 끊임없이 언론 자유를 위협하는 행위를 해왔다"면서 "노종면 기자의 구속을 계기로 모든 것이 명확해진 느낌이며 이명박 정부는 모든 사법당국을 동원해 정권에 반대하는 언론을 상대로 전쟁을 벌이려 하고 있다고 간주할 수밖에 없는 것"이라고 밝혔다.

 

김경호 회장은 <오마이뉴스>와 한 통화에서 "사법부가 대단히 잘못된 판단을 내렸다"면서 "언론의 자유와 중립성에 대한 부분을 주장한 것을 실정법을 들이대 재단했다"고 주장했다.

 

 

전국언론노조(위원장 최상재)는 "사법부가 끝내 헌법과 양심을 버리고 부역을 택했다"며 강도 높게 비판했다. 언론노조는 "윗선의 재판개입을 고발하며 국민의 기본권과 사법부 독립을 지켜내려 했던 것처럼 또다시 정의를 지키려는 판사들이 등장해 국민들이 희망의 촛불을 켤 수 있게 되길 기대했지만 결과는 참담했다"며 "사법부가 헌법상 권리와 언론자유를 지키지 못한다면 우리 스스로 나설 수밖에 없으며 국민의 정당한 권리와 언론자유를 도륙해 민주주의를 말살하려는 '사이코패스 정권'과 그 부역집단을 무너뜨리는 길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YTN 노조 역시 노 위원장의 구속영장이 발부된 직후 성명서를 발표해 "우리에겐 406명의 노종면이 있다"고 밝혔다.

 

"우리의 투쟁은 결코 멈추지 않는다. 노종면 하나를 철창에 가둬놓으면 YTN의 투쟁이 끝날 것이라고 믿는 세력이 있다면 그것은 중대한 착각이다. 노종면 위원장은 철창에 갇혔다고 해서 투쟁의지가 꺾이는 사람이 아니다. 철창에 가둬놓았다고 투쟁 의지가 꺾이는 조합원은 우리 노조에는 없다. 노 위원장은 8개월 동안 강철과 같은 대오를 변함없이 유지하고 있는 자랑스런 YTN 노조원 406명 중의 한 명이며 우리에게는 여전히 405명의 노종면이 함께 하고 있다."

 

언론사유화저지 및 미디어공공성 확대를 위한 사회행동(미디어행동)도 25일 성명을 내고 "언론인 구속은 정권 몰락을 재촉할 뿐"이라며 "10년만의 언론인 구속 사태는 언론자유에 대한 선전포고이자 민주주의에 대한 도전으로 간주하고 총력투쟁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민주언론시민연합(민언련)도 노종면 위원장의 석방을 촉구하는 1인시위를 매일 낮 12시 YTN 본사 앞에서 진행하기로 했다. 시민사회단체들은 오후 3시 서울중앙지방법원 앞에서 노종면 구속 규탄 결의대회를 열 예정이며 민주당 YTN 대책위원회 의원 다섯 명도 오후 2시 YTN을 찾아 사측에 항의할 계획이다.

 

한편 노 위원장의 변호인단은 구속적부심 청구 여부에 대해 노 위원장과 협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송호창 변호사는 "법원이 구속 사유를 과도하게 해석했다"면서 "구속적부심 청구 여부를 노 위원장과 의논하고 있다"고 말했다. 송 변호사는 "아직 법원이 노 위원장에 대한 증거인멸과 도주 우려의 근거를 확인해 주지 않고 있다"면서 "검찰의 주장에는 사실에 기반하지 않고 왜곡된 것이 많아 만일 법원이 이것을 그대로 인정해 영장을 발부했다면 판단에 문제가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구본홍 투쟁 251일째, 노종면 잃은지 4일째"

 

 

총파업 개시 3일째인 3월 25일 아침 10시에도 조합원들은 어김없이 YTN 본사 1층에 모였다. 어젯밤 석방된 현덕수, 조승호 기자도 참석했다. 하지만 노종면 위원장은 오늘도 없었다. 사회자는 "구본홍 반대 투쟁 251일째, 노종면을 잃은지 4일째"라고 말했다.

 

영장실질심사를 받고 나오던 노 위원장을 찍은 영상이 방영되자 곳곳에서 눈물이 터졌다. 손수건으로 연신 눈 주위를 찍어내던 김용수 비대위원장은 "노종면 위원장이 이 자리에 다시 서서 투쟁을 이끄는 그날까지 흔들임 없이 투쟁하자"면서 조합원들을 격려했다. 조승호 기자는 "노종면을 놔두고 나온 죄인"이라면서 "몸은 (유치장을) 나왔지만 마음은 노종면 곁을 떠날 수 없다"고 말했다.

 

최상재 언론노조 위원장은 "앞으로 우리 구호는 '노종면을 석방하라'는 단순한 것이어야 한다"면서 "구호가 짧고 단순하면 반드시 이길 것"이라고 말했다.


태그:#노종면, #YTN, #구본홍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