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낙동강은 살려내고 남강은 지켜내자."

 

정부가 남강댐 물의 부산권 공급을 추진하는 가운데, 경남도민들이 반대대책위를 결성하고 집회를 벌였다. 진주·사천·남해·산청 등 주민과 경남지역 시민사회단체는 '남강댐 수위 상승 결사반대, 낙동강 지키기 경남대책위원회'를 결성하고 7일 오전 경남도청 맞은편 공터에서 집회를 열었다.

 

진주·사천·남해·산청 등지에서 온 주민 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남강댐 수위 상승 반대 낙동강 지키기 경남대책위 결성식 및 도민궐기대회'가 열렸다. 이날 집회에는 우종표·조세윤·김용대·하기종·차윤재·이경희 위원장 등이 참석했다.

 

우종표 위원장은 대회사를 통해 "남강댐 물을 지켜야 하는 것은 우리의 공통된 목표다"면서 "지역민 전체가 남강댐 물을 지켜야 하고, 낙동강 물을 살려 부산시민들이 사용하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경남대책위는 "경남도민과 영남권의 식수원 남강과 낙동강을 지키고, 이를 위해 남강댐 수위 상승 반대와 방수로 추가확장공사 반대, 낙동강의 생태계와 수질을 악화시키는 개발 사업(하도준설, 낙동강 정비사업, 대구달성공단 등) 반대, 수돗물 민영화 반대"하기 위해 결성되었다.

 

이들은 결성 선언문을 통해 "1970년 7월에 완공된 남강댐은 30년이 훌쩍 넘는 세월 동안 홍수조절, 유량확보, 전략생산 등 다목적댐 기능을 해오고 있다"면서 "그런데 이명박 정부와 한나라당은 제방 1m까지 물을 채워 107만 톤의 물을 더 가두겠다고 하며, 낙동강 수질이 오염됐기 때문이라고 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1m 짜리 댐 관리는 재앙 덩어리이고, 진주시민 절반의 머리 위에 물 폭탄을 매달아 놓고 안전하다고 말할 수 없으며, 진주시민만 위험한 처지에 놓이는 것이 아니라 사천만 일대도 무사하지 못하며, 사천만의 생태계는 만신창이가 된다"고 우려했다.

 

이들은 "10년 전에 위천공단을 막으면서 낙동강 오염 총량제를 이끌어 내고 낙동강을 살리기 위한 특별법을 만들었다면 오늘부터 우리는 도민의 힘을 다시 한번 낙동강으로 모아 2급수 낙동강이 1급수가 되는 날까지, 1급수 낙동강을 먹는 날까지 낙동강을 지키고 보존할 것"이라고 밝혔다.

 

 

대책위 대표단-김태호 경남지사 면담

 

경남대책위 대표단은 이날 오전 경남도청을 찾아 김태호 지사를 면담했다. 김 지사는 집무실에서 나와 대표단과 악수한 뒤 테이블을 사이에 두고 이야기를 나누었다. 우종표 위원장은 "도민들의 뜻을 전달하기 위해 왔다"고 말했다.

 

차윤재 마산YMCA 사무총장은 "정부가 이번에 추가경정예산안을 짜면서 남강댐 관련 예산을 편성했는데, 4대강 살리기 사업의 근본적인 정책변화가 필요하다"며 "지역 국회의원들도 애매한 태도를 보이고 있는데, 정치권이 주고받기식으로 타결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허기종 위원장(산청)은 "남으면 갈라 먹을 수 있다는 말을 해서는 안되고, 남강댐을 높이면 주민들을 이주시켜야 하는데 지금은 이주할 땅도 없고 이주를 희망하지도 않는다"면서 "경남지사의 책무가 도민을 편안하게 지키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이경희 경남진보연합 공동대표는 "김태호 지사의 말을 들어보면 안전만 담보된다면 남강댐 물을 부산권에 줄 수도 있다는 것으로 들리는데, 지금으로서는 남강댐 물을 부산권에 줄 수 없다고 말해야 하고, 낙동강을 상수원으로서 보호하겠다고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창균 신부는 "낙동강만 살려놓으면 되고, 다른 데는 건드려서는 안된다"고, 조세윤 위원장(남해)은 "도민들이 경남지사를 믿어도 되도록 일을 해 달라"고, 우종표 위원장은 "부산시민은 낙동강 물을 개선해서 먹어야 하고 남강댐 물은 줄 수 없다"고 말했다.

 

또 대표단들은 "이명박 정부는 녹색성장이라는 슬로건을 내걸지만, 맨날 땅만 파는 일만 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태호 지사는 "대원칙은 도민들과 같고, 갈라 먹을 게 있으면 갈라 먹는 게 이치"라면서 "도민들의 생명이 위협받는다면 안되고, 생명과 안전이 담보되지 않고는 절대 안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얼마전 국토해양부 장관을 만나서 사실상 제로 상태에서 시작하자고 했으며, 그런 차원에서 아직 타당성 조사 결과도 발표되지 않는 것으로 안다"면서 "걱정할 필요가 없는데 도에서 반대하면 정부에서 강제로 밀어붙일 수 없다"고 말했다.

 

남강댐 관련 추경 예산 배정과 관련해, 김 지사는 "예산이 확정된 게 아니며, 확정되더라도 의미가 없고, 예산이 잡혀 있더라도 다른 데 쓸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김 지사는 "안전 대책이 우선이며, 앞으로 시장과 군수들도 대책위에 참여해야 한다"면서 "낙동강 수질이 3~4급수라고 했던 것은 강을 살려내기 위해 강조하는 차원에서 한 말이었다"고 밝혔다. 김 지사는 "한편으로는 대책위가 고맙고, 믿고 도와달라"고 말했다.

 

 

이명박 대통령 얼굴 모형에 물풍선 던지기

 

경남대책위는 이날 오후 창원 소재 한나라당 경남도당 앞에서 별도의 집회를 열기도 했다. 경남도청 앞에서 열린 집회 때 참가자들은 이명박 대통령과 김태호 경남지사의 얼굴 모형을 붙여 놓고 물풍선을 던지는 상징의식을 거행하기도 했다.

 


태그:#남강댐, #낙동강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부산경남 취재를 맡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