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고 노무현 전 대통령 노제 총감독을 맡았던 김명곤 전 문화관광부 장관이 "정부가 처음엔 국립예술단체의 노제 참여가 어렵다고 하고, 나중엔 불분명한 이유로 이틀간 공문 협조를 미뤘다"고 밝혀 논란이 예상된다.

 

김명곤 전 장관은 1일 오전 <오마이뉴스>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정부의 노제 협조에 대해 아쉽고 서운한 게 많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다른 대책을 세우지도 못하고 실무진이 고생을 굉장히 많이 했다"고 전했다.

 

김 전 장관은 지난달 31일 오전 자신의 블로그에 올린 '눈물의 노무현 전 대통령 노제를 마치고'라는 글에서 "정부가 국립 예술단체 노제 참가를 부담스러워했다"고 밝힌 바 있다.

 

그는 "예전에 민주열사들의 노제가 거대한 시위로 변화되는 체험을 여러 번 한 터라 그에 대해 거부감과 경계의 눈초리를 거두지 않고 있다는 느낌이 강하게 왔다"며 "그들(정부)은 국립단체가 끼어들지 않고 민간 무용가나 연주단으로 간단한 노제가 치러지는 걸 원하는 눈치였다"고 강조했다.

 

"불분명한 이유로 공문 처리가 미뤄져"

 

오마이뉴스와 인터뷰에 응한 김 전 장관은 "25일 봉하마을 장례준비위원회 쪽과 긴밀하게 상의해 노제를 전적으로 책임지고 준비하기로 했고, 26일 오전 국립예술단체 후배들을 모았다"면서 "하지만 국립극장 쪽에서 '참가하기가 어렵다'고 알려왔다"고 말했다.

 

이후 김 전 장관은 봉하마을 쪽에 국민장을 주관하는 행정안전부로 협조 공문을 보내줄 것을 요청했고, 27일 봉하마을 쪽에서 행정안전부로 공문을 보냈다. 하지만 행정안전부→문화체육관광부→국립극장 전속 국립예술단체로 이어지는 공문 전달 체계가 제대로 가동되지 않았다고 김 전 장관은 밝혔다.

 

김 전 장광은 "절차가 너무나도 오래 걸리고 공문 처리가 안됐다"면서 "29일 노제까지 이틀밖에 남지 않은 상황에서 노제를 준비하는 데 상당히 어려웠고, 다른 대책을 세워야 하는데 시간이 없어서 고생이 많았다"고 전했다.

 

그는 "'도와 줄 수 없다'는 게 정부의 입장이라는 느낌을 받았다"고 말했다. 그는 "직접 들은 건 아니지만, 국립예술단체들이 참여하는 것이 아닌 다른 방법으로 노제를 치르자는 말도 나왔다는 얘기를 들었다"고 전했다.

 

불분명한 이유로 공문 처리가 이틀이나 미뤄졌다고 김 전 장관은 강조했다. 그는 "'지금 행사가 급한데 다른 대안이 없으니, 공문처리를 빨리 해 달라'며 직간접적인 방법으로 문화부와 국립극장을 압박했다"며 "28일 저녁에야 국립예술단체의 노제 참여 쪽으로 결론이 났다"고 밝혔다.

 

"거대한 시위로 변하는 데 대한 거부감인 듯"

 

김 전 장관은 "문화부에서도 나름대로 어려운 상황에서 결국 도와줬다, 결과적으로 노제가 끝난 상황에서 누구에게 책임을 묻거나 원망하고 싶지 않다"면서도 "서운하고 아쉬운 마음이 있다"고 속내를 털어놓았다.

 

그는 "예전에 민주열사들의 노제가 거대한 시위로 변화되는 체험을 여러 번 한 터라 그에 대해 거부감과 경계의 눈초리를 거두지 않고 있다는 느낌이 강하게 왔다"며 자신의 블로그에 쓴 소회를 재차 강조했다.

 

김 전 장관은 "협조가 원만하게 잘 이뤄졌으면 아무 문제가 없었을 텐데, 모두 힘들게 됐다"며 "3~4일간 밤잠을 설치다시피 하면서 엄청난 준비했다, 단원·직원·스태프들 정말 고맙다"고 전했다.


태그:#김명곤, #노제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법조팀 기자입니다. 제가 쓰는 한 문장 한 문장이 우리 사회를 행복하게 만드는 데에 필요한 소중한 밑거름이 되기를 바랍니다. 댓글이나 페이스북 등으로 소통하고자 합니다. 언제든지 연락주세요.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