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의 정치적인 파장이 가시화했다. 우리 국민 절반은 이명박 대통령이 노 전 대통령의 서거에 대해 사과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당 지지율에서는 민주당이 한나라당을 5년 만에 앞질렀다. 1일 발표된 <한겨레> 여론조사 결과다.

 

노 전 대통령의 서거를 '정치보복'으로 규정하고 이 대통령의 사과를 촉구하고 있는 야권의 목소리에도 힘이 실릴 것으로 보인다.

 

국민 59% "노 전 대통령 서거, 정치보복"... 책임은 검찰·언론·노무현 순

 

<한겨레>가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서치플러스'에 맡겨 실시한 이번 조사에서 노 전 대통령의 서거가 정치보복이라는 데 공감한다는 응답은 59.3%였다. 반면, 그렇지 않다는 답은 34.7%였다.

 

서거에 대한 책임은 검찰·언론 순으로 나타났다. 서거와 관련해 누가 가장 책임이 큰지를 1위와 2·3위를 복수로 응답하도록 해 물었더니 56.3%는 검찰, 49.1%는 언론을 꼽았다. '노 전 대통령 자신'이라고 답한 이들도 36.7%였다. 다음으로 이 대통령(34.8%), 한나라당·여권(34.4%)이 뒤를 이었다. 응답자의 51.6%는 법무부 장관과 검찰총장이 이번 사건과 관련해 사퇴해야 한다고 답했다.

 

이 대통령이 노 전 대통령의 서거에 대해 유족과 국민에 사과해야 한다는 의견도 56.0%로 나타났다. 사과에 동의하지 않는다는 의견은 37.5%였다.

 

정당 지지율, 민주 27.1%-한나라18.7%... '탄핵정국' 이후 처음

 

정당 지지율에서는 민주당이 27.1%로, 한나라당(18.7%)을 8.4%포인트 앞질렀다. 민주당이 한나라당을 앞지른 건 2004년 3월 '탄핵 정국' 이후 처음이다.

 

이에 앞서 여론조사 전문기관 '윈지코리아컨설팅'이 전국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화여론조사(오차범위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 결과도 비슷했다. 5월 31일 발표된 조사 결과를 보면 민주당 지지율은 27.3%로 한나라당(20.8%)을 6.5%포인트 앞섰다.

 

그러나 노 전 대통령의 서거 책임이 내각 개편으로 이어지는 데 대해서는 부정적인 견해가 많았다. '국무총리 등 내각 전면개편을 해야한다고 보는가'라는 물음에, 응답자의 46.1%가 '동의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동의한다'는 답은 35.8%였다.

 

국민들은 이명박 정부의 국정운영에도 비판적이었다. 이 대통령의 국정 운영 평가에 대해 '잘못하고 있다'는 부정적 응답이 57.7%였고, '잘하고 있다'는 쪽은 30.6%였다.

 

국민 67% "이 대통령 취임 이후 민주주의 후퇴"

 

'이명박 대통령이 앞으로 국정운영 방식을 어떻게 해야 한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는 86.2%가 '지금보다 국민의 여론 수렴과 소통을 강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답했다. 반면, '지금까지 해온 대로 법·질서를 유지·강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은 11.7%에 그쳤다.

 

이명박 대통령 취임 이후 우리나라의 민주주의가 전반적으로 나빠졌다는 의견도 67.0%나 됐다. 전반적으로 나아졌다는 의견은 17.9%였다.

 

노무현 전 대통령의 최고 업적을 묻자, 국민들은 '서민·국민을 위한 정치'를 가장 많이 꼽았다. 전체 응답자의 28.0%가 이렇게 생각했다. '생각나는 대로 자유롭게 답해 달라'는 개방형 질문에, 응답자들은 노 전 대통령이 서민을 위한 정책을 펴고(13.0%), 서민을 대변하며(7.6%), 복지 정책을 확대한(1.5%), 서민과 친숙한 대통령(1.4%)라고 답하는 등 '노무현식 서민정치'를 높이 평가했다.

 

이어 '깨끗한 정치·개혁·민주주의 발전에 기여'(10.8%), '권위주의 탈피와 소통강화'(10.7%), '지역갈등 해소·지역균형발전'(7.8%), '남북화합·외교'(5.1%) 등의 답변이 나왔다. '노 전 대통령의 업적이 없다'는 대답은 10.7%였다.

 

이번 조사는 전국 19살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전화면접 방식으로 실시됐다. 오차한계는 95% 신뢰 수준에서 ±3.1%포인트, 응답률은 17.2%이다.


태그:#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이명박, #사과
댓글
이 기사의 좋은기사 원고료 3,000
응원글보기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