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가장 한국적인 도시 전주. 우리의 전통문화가 살아 숨쉬는 이곳 중심에 있는 한옥마을에는 노무현 전 대통령에 관한 추억 한 자락이 서려 있다.

2006년 2월 21일. 참여정부 핵심정책의 하나인 혁신도시 출범식이 있던 날. 전국 시장·도지사와 정부 각 부처 장관은 물론 청와대 주요 인사들도 전주를 찾았다. 그만큼 비중 있는 행사였다. 이러니 그날 축하 오찬이 얼마나 중요한 일정이었느냐는 쉽게 짐작할 수 있는 일이다.

 

그런데 노 전 대통령이 그곳 대신 한옥마을에서 점심을 하겠다는 것이다. 전통문화도시 조성을 위해 애쓰는 전주문화예술인들과의 오찬 간담회에 참여하겠다고 했다.

 

이는 매우 이례적인 일이다. 대통령이 자신이 제안한 핵심 정책사업 관련 행사장 대신 한옥마을을 찾았다는 것은. 그날 잔치의 주인장 역할을 톡톡히 하며 주목을 받고 싶었던 도지사가 '남의 잔치'의 들러리 역을 감수할 수밖에 없었던 것도 그렇고(그때까지만 해도 전라북도는 전주전통문화사업에 매우 미온적이었다).

 

 
이것으로 전주전통문화도시조성사업은 엄청난 힘을 받게 되었다. 우리는 내심 쾌재를 불렀다. 그래서 당시 참석 원로들에게 이런 부탁을 드렸다. 제발 '소외론', '낙후론'을 내세우며 '징징거리지' 말라고. 대신 참여정부가 잘한 일, 지방분권이나 국가균형발전, 권위주의 청산과 민주주의 확산, 소외계층에 대한 배려 및 복지정책의 확충 등을 강조하며 덕담으로 분위기를 잡아달라고. 전통문화도시사업에 관한 것은 추진단장과 전주문화재단이사장이 적당하게 건의하겠다고. 참여정부의 정책기조나 대통령의 일처리 방식을 감안한 전략적 대응을 준비한 것이다.

 

사실 이 사업을 앞장서서 추진해 왔던 사람들의 전략이 그랬다. 지금은 금기의 용어가 되어버렸지만 당시 지역민들에게 커다란 희망을 주었던 지역혁신, 지역균형발전, 지방분권 등 참여정부가 소중하게 여기는 정책 명분에 호소한 것이다. 우리가 가장 잘 해낼 수 있는 일, 준비가 잘 되어 있는 일, 그중에서도 국가사업으로서의 명분을 갖춘 일을 앞장서 해 나갈 테니 필요한 만큼의 지원을 해달라는 논리를 내세웠던 것이다.

 

간담회 결과는? 전반적으로 분위기는 화기애애했다. 한국무형문화전당, 아·태무형문화센터 등 구체적인 사업에 대한 약속도 받았다. '이 정도면 됐다!' 했는데 원로들의 생각은 좀 달랐던 모양이다. '얘기를 듣고 보니 지역에서 해야 할 일이 있고, 중앙정부가 해야 할 일이 있는 것 같다. 정부가 해야 할 일은 적극 해나가겠다'는 노 대통령의 마무리 발언이 좀 미흡하다 싶었던 것이다. 광주광역시의 아시아문화수도처럼 '전주를 전통문화중심도시로 만들어주겠다!'와 같은 명백한 선언적 약속을 기대하고 있던 어르신 한 분이 기어이 '우리 지역은 수십년간 낙후되고, 산업화에 소외당하고' 타령을 늘어놓고 만 것이다.

 

 

아차! 싶었지만, 노 대통령은 크게 신경 쓰지 않는 듯했다. 특유의 건들거리는 걸음으로 미소를 지으며, "우리 한번 잘해 봅시다"라며 격려를 아끼지 않았다. 언론 홍보를 위한 기념촬영도 대통령이 직접 챙겨주었다.

 

그렇게 하여 전주한옥마을은 우리 전통문화의 중심으로 거듭날 동력을 얻었다. 그 이전에 이곳을 찾아 '매우 한국적'이라고 감탄했던 권양숙 여사에 이어 기로에 서 있던 우리 전통문화와 한옥마을에 큰 힘을 실어준 것이다. 이제 우리들의 몫은 바로 그 소중한 뜻을 살려 '가장 한국적인 도시 전주'를 진정 멋스럽게 가꾸어가는 일이리라!

덧붙이는 글 | 이기사는 서울신문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태그:#노무현, #전주, #전통문화 , #한옥마을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는 전주를 가장 한국적인 도시, 우리의 자랑스러운 전통문화가 살아숨쉬는 곳으로 만들어 가기 위해 애쓰고 있는 사람입니다. 오마이유스를 통해 우리 전통문화의 아름다움과 살기좋은 전주의 모습을 홍보하고 싶습니다. 아울러 제가 친구들에게 이메일을 통해 보내주는 음악편지도 연재하고 싶습니다.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