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박원일씨의 모습 매체에 실릴 자격이 없는 사람이라며 돌아 앉아 버린 박원일씨
박원일씨의 모습매체에 실릴 자격이 없는 사람이라며 돌아 앉아 버린 박원일씨 ⓒ 김수일

문득  죽도 시장에서 장사하는 박원일(67)씨가  보고 싶어서 찾아 갔다. 내가 그를 찾았을 때 상점 안에 꾸며진 조그마한 방에서 책을 열심히 읽고 있었다. 인사를 하며 들어서는 나를 반갑게 맞이하며 차를 시킨다. 누구에게나 그러했지만 특히 내가 그를 처음 알고 지낸지 꽤 오래되었는데 만날 때마다 늘 변함없이 친절하고 부드럽게 대하는 분이다. 그의 외모나 마음씨와 행동에서 장사를 하는 분이라고는 도저히 느끼지를 못 한다.
책들 박사장이 읽는 책들
책들박사장이 읽는 책들 ⓒ 김수일

- 요즈음 경기는 어떻습니까.
: 사회에서 떠드는 것처럼 경기가 오르락내리락 하지는 않지요. 장사란 어떤 때는 안 될 때도 있고 또 어떤 때는 잘될 때도 있지요. 늘 그만그만해요.

- 죽도 시장이 형성은 언제 어떻게 되었는지요.
; 죽도 시장은 처음부터 행정 기관에서 관리한 시장이 아닙니다. 처음엔 못사는 사람들이 돈이 될까 싶어서 바다에서 건저 올린 고기며 조개 각종 해초 등을 개별로 가지고 나와서 갯벌 위에서 거래하기 시작한 곳입니다. 즉 자연 발생적으로 시장이 형성 되었다고 볼 수 이습니다. 포항의 죽도동 등 남부 일대는 거의가 갈대밭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지요. 비만 오면 진흙투성이가 되어서 파는 사람, 사는 사람 할 것 없이 발이 푹푹 빠졌지요. 그래서 죽도시장 여기는 마누라 없이는 살아도 장화 없이는 못 산다 할 정도였다고 해요. 그래서 1954년 죽도시장 번영회가 만들어지고 큰 돌 작은 돌들을 마구 가져다 부어서 차츰 차츰차츰 오늘에 이르게 되고 71년에 시장 개설 허가가 났었지요.

- 죽도 시장의 경기가 좋았을 시기는 언제였습니까.
; 육이오 한국 전쟁 이후에서 다음은 해병대 부대가 생기면서 좋아졌고 그리고 70년대에 포항제철이 들어서면서 가장 경기가 좋았지요. 그 이후 꾸준히 경기가 지속 되고 죽도 시장이 활성화를 이루었는데 1990년대에 대형 유동 센터가 들어오면서 재래시장이 내리 막 길을 만나게 된 것이지요.
생선 가게 모습 불경기 재래 시장에 시장에서도 죽도 시장 어시장은 살아 남아 있다
생선 가게 모습불경기 재래 시장에 시장에서도 죽도 시장 어시장은 살아 남아 있다 ⓒ 김수일

- 대형유통 센터가 진입하게 되면서 포항 경기가 나빠졌다고 하는데 왜 그런 것인지 그 이유는.
; 유통 센터 즉 대형 마트는 포항 사람이 운영하는 것이 아니잖습니까. 그러니 돈이 포항 사람들의 포켓에 있어서 쓰이는 것이 아니라 외지로 빠져 나감으로 인하여 포항의 돈이 그 만큼 줄어들게 되지요. 사실 물건이 더 좋고 값이 싸도 소비자들이 보다 편리하다는 이유와 물건이 깨끗하다는 선입감과 편리하다는 이유로 백화점, 마트로 가게 됨으로서 죽도시장 뿐만 아니라 모든 재래시장이 죽게 된 것입니다. 요즈음에 와서 행정지원을 받아 재래시장 현대화를 한다고 비 가리개를 하고 야단들입니다. 그러나 어물 시장은 좀 되지만, 그 외 이불장사 옷 장사 기타 장사는 정말 잘 안됩니다. 월 만원씩 내는 번영회비 조차 못내는 형편인걸요.
박 사장이 경영하는 상사 손님이 있건, 없건 매일 문은 열린다.
박 사장이 경영하는 상사손님이 있건, 없건 매일 문은 열린다. ⓒ 김수일

- 제가 알기로는 여기서 장사를 오래 하신 것으로 알고 있는데 얼마나 되었고, 그동안 성공한 사람 실패한 사람 여러 부류의 사람들을 보아 왔을 터인데 이야기 좀 해주시지요.
; 대부분의 사람들은 열심히 했기 때문에 성공 했다고 볼 수 있지요. 그렇다고 거부가 되거나 재벌이 된 것은 아니지요. 그저 자기가 열심히 노력한 만큼의 성공을 했지요. 이들의 공통점이란 새벽별보고 나와서 저녁별보고 집에 가는 것 밖에 모르는 사람들이라 세상일 모르고, 노는 것 모르고, 오직 장사만 했다는 것이지요. 그런데 성공한 사람들도 두부류가 있어요. 어떤 사람들은 남들이 놀 때 돈 버는데 시간을 다 뺏기고 고생했었지만 이름 내고 다니는 사회 봉사단체 사람들 보다 남모르게 좋은 하는 사람들이 많지요. 예를 들어서 00상회 주인 같은 사람들은 12살 어린 나이에 점원으로 출발해서 성공하여 고향에 길 만드는데 고향 어른들 경노 잔치 같은데 많은 금액을 보내는 분도 있어요. 시장 내에 이런 사람들 많아요. 또 한 부류는 돈을 벌어서 쓸 줄도 모르고 쥐고만 있지요. 그러다 보면 자식들에게 다 빼기고 마는 부류 말입니다.

- 시장에 계시면서 장사를 벗어난 재미있는 것들도 많이 보셨을 텐데..
: 벗어 난 이야기가 될지 모르지만 장사 하시는 어머니와 아이(자식)들 관계의 재미있는 이야기가 있지요. 고무다라이에 구멍을 뚫어서 끈을 매고 어린 아이를 그 속에 앉혀서 달아나지 못하게 그 끈에 묶어 두고서 아무 점포 앞에 갖다 놓고서 잠시만 봐주세요. 하고 장사하던 아주머니가 계셨지요. 그런데 그 어머니도 점포를 갖게 되었고, 그 때 고무다라이에서 놀던 아이가 성인이 되어서 아주 성공했습니다. 그러나 그 어머니는 아직도 장사를 하고 계시지요.
그리고 또 하나 오래 기억에 남는 일이 있지요. 비가 무척 쏟아지는 날이었는데 함지박에 채소 몇 담아서 팔던 아주머니가 비를 피해서 점포 처마 밑에 비를 피하면서도  비가 오는 가운데 '나갔다가 들어왔다가' 안절부절 하길래 물었지요. 어린 아들이 학교 갔다가 시장에 오기로 약속했다 하는 것이었어요. 생각해보면 그 때는 어려운 시대라서 아이는 어머니가 장사하는 시장에 가면 먹을 것을 사주시리라 생각 하고 꼭 나올 것이고, 어머니는 그가 장사하는 자리에 자식이 올 거라고 생각했기 때문이었지요. 그 때 비가 쏟아지는 가운데서도 어머니 당황 하던 모습이 지금도 눈에 선하지요.
또 한 가지는 같은 장소에서 같은 물건을 파는 노점상 인들은 서로 싸우는 일이 없고 도우고 웃으며 지내는 것입니다.
노점상 할머니 나이가 들었거나 말거나 먹고 살아야지요
노점상 할머니나이가 들었거나 말거나 먹고 살아야지요 ⓒ 김수일

- 주로 노점상 아주머니들 중에 연세가 많으신 분들도 계시던데 고령자의 나이는 어느 정도 되시며, 왜 쉬어야 될 연세에 장사를 하고 계시는지요.
; 상인들 중에 연세가 많으신 분들 가운데 85세 할머니가 계시는 줄 알고 있으며 80대 할머니들이 몇 분 계시지요. 70, 60대는 젊은 층에 들어가지요. 그리고 장사를 놓지 않는 사람들을 세 가지 부류로 나누어 볼 수 있지요. 첫째는 자식들 때문에 장사를 놓지 못하는 상인들이지요. 특히 자식들의 교육 뒷바라지 하느라 장사를 계속해야 되는 분들이며, 그리고 장성한 자식들이라도 직장이 없고 남편이 계시지않는 분들이 거나 장애자 인 때문이고, 둘째는 자기 생활의 연속인 사람들 이지요. 이들은 젊을 때부터 늘 해 왔으니까. 젊을 때부터 노는 것도 모르고 오직 장사만 해 왔기에 그리고 놀기 보다는 자신이 벌어서 자손들 용돈도 줄 수 있고 건강도 챙길 수 있어서 이고, 건강도 챙길 수 있어서이고 셋째는 가정형편상 자신이 벌지 않으면 끼를 굶고 자손들 학교도 못 보내니까 장사하는 사람들이지요. 대부분 보면 결손 가정들이 많고 아니면 장애자 가족들이 거나 대부분 가정이 어려운 상인이지요. 어쩌면 장사가 행복의 생활이고 그들의 꿈인지도 모릅니다.

- 박 사장께서도 장사를 계속 하실 생각입니까.
; 그만두려고 해도 그만 둘 수가 없어서 여기 나와 앉아 있는 겁니다. 자식들은 배운 만큼 장사보다 편한 직장을 얻어서 사회에 나가 활동 하고 있지요 누구에게 물려 줄 사람도 없고 하여 심심하면 책이나 보면서 손님 오면 나가서 물건도 팔고 이야기 하면서 세월을 보내는 것이지요. 좀 벌면 봉사 활동도 더 하고요.

* 후반의 선비 같이 깨끗한 얼굴에 잔잔한 미소를 지으며 우리 국민 모두가 잘 사는 나라 복지가 확립되는 나라를 맞이하는 것이 소원이며, 그리고 통일이 되면 북한 땅 자유롭게 걸어서 밟으며 구경해보는 것이 꿈이라고 한다.

덧붙이는 글 | 없음



#DNSWN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