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여권을 긴장하게 하고 있는 안원구(49, 구속 중) 전 서울지방국세청 세원관리국장 폭로의 핵심은 두 가지다.

하나는 지난해 태광실업 세무조사가 권력의 정치적 목적 아래 '기획'됐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지난 2007년 대선 당시 논란이 됐던 '강남 도곡동 땅'의 소유자가 이명박 대통령이라는 사실을 증명하는 '전표'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전자는 정권 실세인 이상득 의원(경북 포항남구 울릉군, 한나라당)의 지시설과 함께 '노무현 전 대통령 자살 배후설'까지 제기되고 있지만 뚜렷한 '물증'이 없다. 반면 후자는 '전표'라는 물증이 있다는 주장이어서 실재 여부에 따라 그 파급력이 만만치 않을 전망이다.

세 번째로 불거진 '도곡동 땅 의혹'... 안 국장 "우연히 문건 발견"  

안원구 전 국세청 국장.
 안원구 전 국세청 국장.
ⓒ .

관련사진보기

'강남 도곡동 땅'(4필지) 문제는 지난 1985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명박 대통령의 처남 김재정씨와 친형 이상은씨가 15억여 원을 주고 현대건설로부터 이 땅을 사들였다. 당시 이 대통령은 현대건설 사장으로 재직 중이었다.

차명 소유 의혹이 처음 불거진 것은 이 대통령의 국회의원 재산이 공개되던 지난 1993년이었다. 당시 일부 언론들은 "이명박 의원이 도곡동에 시가 150억원 상당의 땅을 처남 등의 명의로 은닉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하지만 강남 도곡동 땅(4필지)은 차명 소유 의혹이 불거진 때로부터 2년이 지난 1995년 포스코개발(현 포스코건설)에 팔렸다. 두 사람이 얻은 차익은 247억여 원에 이르렀다.

그런데 2007년 한나라당 대선후보 경선 과정에서 또다시 강남 도곡동 땅의 실소유주와 관련된 의혹이 제기됐다. 이 과정에서 김만제 전 포항제철 회장이 지난 1998년 감사원의 포항제철 특별감사에서 "강남 도곡동 땅의 실소유주가 이명박인 것으로 알고 있다"고 진술한 사실이 드러나면서 의혹은 더욱 커져 갔다.

하지만 검찰은 "도곡동 땅의 이상은씨 지분은 '제3자'의 차명 소유로 보인다"(2007년 8월, 중간 수사결과)고 발표했다가 최종 수사결과 발표에서는 "진짜 주인이 누구인지 알 수 없다"고 이 대통령 손을 들어줬다. 이후 진행된 특검 수사에서도 "도곡동 땅의 지분 절반은 이상은씨 것"으로 결론 났다.

그로부터 2년 후인 최근 또다시 강남 도곡동 땅 의혹이 불거졌다. 이번에는 국세청 고위간부의 입을 통해서다. 국세청 내부 인사조치를 둘러싼 다툼이 강남 도곡동 땅 의혹을 다시 불러내며 청와대 등 여권을 긴장케 하고 있는 것이다.

안원구 국장은 정권 실세인 주호영 현 특임장관에게 보낸 편지에서 '중요한 비밀'을 털어놓았다.

"07년 7~8월경 대구청장으로 있을 때 P기업의 정기 세무조사 과정에서 VIP와 관련된 '00땅'에 대한 내용의 문건을 우연히 발견하였다는 직원들의 보고를 받은 적이 있다."

여기에서 'P기업'이란 포스코건설을, 'VIP'는 이명박 대통령을, '00땅'은 '강남 도곡동땅'을 가리킨다. '00땅에 대한 내용의 문건'이란 강남 도곡동땅이 이 대통령의 소유라는 사실이 적시된 문서로 '전표 형식'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전표에는 포스코건설이 강남 도곡동 땅을 사들이면서 오간 돈의 입·출금 내역 등이 적시돼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안 국장은 앞서 언급한 편지에서 "P기업이 내부적으로 작성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명박 한나라당 대선 경선 후보는 2007년 8월 16일 오후 긴급기자회견을 열고 도곡동 땅 의혹에 대해 "하늘이 두 쪽 나도 내 땅이 아니다"라고 강하게 부인한 뒤, 박근혜 후보 쪽에 '오늘 TV토론 전까지 사과하라`고 요구했다.
 이명박 한나라당 대선 경선 후보는 2007년 8월 16일 오후 긴급기자회견을 열고 도곡동 땅 의혹에 대해 "하늘이 두 쪽 나도 내 땅이 아니다"라고 강하게 부인한 뒤, 박근혜 후보 쪽에 '오늘 TV토론 전까지 사과하라`고 요구했다.
ⓒ 오마이뉴스 이종호

관련사진보기


안 국장 부인 "1995년 거래 당시 작성된 원본형태로 존재" 

안 국장이 "보고받았다"고 주장한 전표가 있다면 '강남 도곡동 땅 실소유주'를 둘러싼 논란은 거세질 수밖에 없다. 4대강 살리기 사업과 세종시 건설 등 굵직한 현안들을 처리하며 집권 3년차로 가야 하는 이 대통령으로선 커다란 암초를 만난 격이다.

하지만 문제는 '강남 도곡동 땅=MB 소유'를 증명하는 전표가 실재하느냐의 여부다. 폭로의 주역인 안 국장조차 이 전표의 실재 여부를 전혀 언급하고 있지 않다. 민주당이 최근 더 이상 치고 나가지 못하고 주춤거리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민주당의 한 인사는 "민주당은 안 국장이 도곡동 땅 전표를 가지고 있는지 최종 확인하지 못했다"며 "설사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TK 본류인 그가 그것을 공개할지도 아직 알 수 없다"고 말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표가 실재한다는 쪽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일각에서는 "청와대에서 5년 이상 근무한 경험 등을 통해 권력의 생리를 터득한 안 국장이 대통령과 직결된 전표를 버리지는 않았을 것"이라는 관측을 내놓고 있다.

지난해 2월 정권 실세인 정두언 의원(서울 서대문을, 한나라당)이 한상률 당시 국세청장을 만나 이 대통령과 관련된 자료('MB파일')를 요구했다는 주장도 전표의 실재 가능성을 뒷받침한다.    

또한 안 국장이 이명박 정부 출범 직후 사실상 '좌천'(대구지방국세청장→서울지방국세청 세원관리국장)됐고, 이후 청와대와 국세청으로부터 지속적인 사퇴 압력을 받았다는 점도 이런 가능성을 방증한다.

안 국장은 "지난 6월 안동범 본청 감찰과장이 저를 찾아와 명예퇴직 신청서를 주길래 이유를 물었더니 '안 국장님이 대구청장 시절에 MB 관련 뒷조사를 하였다는 얘기가 있다'고 했다"고 주장했다.

또한 강남 도곡동 땅 실소유주 의혹을 풀어줄 전표를 들여다본 인사는 안 국장과 대구지방청장 조사국장을 지낸 장승우 현 문정세무법인 대표 외에도 2명 더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안 국장의 부인인 홍혜경(49)씨는 11월 30일 <경향신문>과 인터뷰에서 "남편과 장 전 국장 외에 포스코에 대한 세무조사를 실시했던 담당자 2명도 도곡동 땅이 이 대통령 소유라는 내용의 전표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고 주장했다.

홍씨는 "전표는 2007년 세무조사를 실시하면서 새로 조사된 것이 아니라 1995년 거래 당시 작성된 원본형태로 존재한다"고 좀 더 진전된 '전표의 실체'를 털어놓았다.

장승우 전 조사국장 "전표를 본 적도, 보고한 적도 없어"

백용호 국세청장이 27일 오전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관계자로부터 귓속말로 보고받고 있다.
 백용호 국세청장이 27일 오전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관계자로부터 귓속말로 보고받고 있다.
ⓒ 남소연

관련사진보기

하지만 국세청은 이러한 전표의 존재 사실을 공식 부인했다. 백용호 국세청장은 지난 11월 27일 국회 기획재정위 전체회의에 참석해 "그런 문서는 없는 것으로 보고받았다"고 말했다.

게다가 '전표를 들여다본' 인사 중 한 명으로 지목된 장승우 대표(전 대구지방국세청 조사국장)도 지난달 27일 <오마이뉴스> 기자와 만나 "도곡동 땅 관련 문건은 본 적도, 보고받은 적도, 안 청장에게 보고한 적도 없다"고 모든 의혹을 일축했다.

장 대표는 "보통 대차대조표가 있는 회계 관련 서류들을 전표라고 하는데 전표에는 자산, 부채 등이 적혀 있다"며 "거기에 땅 소유주가 적시된 자료가 있을 리 없다, 안 청장이 착각했거나 누가 말을 잘못 옮긴 것 같다"고 말했다.

또한 장 대표는 "세무조사를 한다고 해도 모든 장부를 다 뒤져볼 수는 없고, 정해진 기간에 해당하는 서류만 볼 수 있다"며 "도곡동 땅은 1990년대에 포스코가 매입했는데 특별세무조사가 아닌 정기세무조사였던 2007년 조사에서 10여 년 전 서류까지 뒤졌을 리는 없다"고 반박했다.

장 대표는 "만약 그런 문건이 존재했다면 2007년 검찰 수사 때 여권쪽에서 활용하지 않았겠느냐"라며 "이미 수사가 다 끝난 사건이 왜 이렇게 문제가 되는지 모르겠다"고 토로했다.


태그:#안원구, #강남 도곡동 땅 의혹, #한상률, #정두언, #장승우
댓글
이 기사의 좋은기사 원고료 1,000
응원글보기 원고료로 응원하기

1970년 전남 강진 출생. 조대부고-고려대 국문과. 월간 <사회평론 길>과 <말>거쳐 현재 <오마이뉴스> 기자. 한국인터넷기자상과 한국기자협회 이달의 기자상(2회) 수상. 저서 : <검사와 스폰서><시민을 고소하는 나라><한 조각의 진실><표창원, 보수의 품격><대한민국 진보 어디로 가는가><국세청은 정의로운가><나의 MB 재산 답사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