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제가 돈을 받았다는 <조선일보> 보도는 사실이 아닙니다. 저는 결백합니다."

 

<조선일보>에 의해 '수만 달러 수수설'이 제기된 한명숙 전 총리가 직접 말문을 열었다. 한 전 총리는 7일 오전 10시 노무현재단에서 열린 '한명숙 전 총리에 대한 정치공작분쇄 비상대책위원회(이하 비대위)' 대책회의에 참석해 "단돈 1원도 받지 않았다"며 의혹을 일축했다.

 

한 전 총리는 "국민 여러분이 지난 4일 <조선> 기사를 읽고 많이 놀라고 걱정하셨을 텐데 국민들의 걱정을 덜어드리는 것이 도리라 생각해서 진실을 말씀드린다"며 "저는 두려울 것이 없다, 당당하게 국민과 함께 진실과 정의의 승리를 보여드리겠다"고 밝혔다.

 

▲ 한명숙 "나는 1원도 받은 일이 없다"
ⓒ 김윤상

관련영상보기

 

"두려울 것이 없다, 당당하게 진실과 정의의 승리 보여드릴 것"

 

비대위 위원장을 맡기로 한 이해찬 전 국무총리는 "제가 총리시절 검경 수사권 독립 문제가 불거졌을 때 검찰에서 앞으로는 검찰권을 남용하지 않겠다며 수사권 독립만큼은 막아달라고 간청한 적이 있었는데 지금 보면 얼마나 뻔뻔한 일인지 느껴진다"며 "(노 전 대통령 서거와 같은) 잘못된 전철을 밟지 않기 위해 비대위를 구성하려고 이 자리를 만들었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일은 한 전 총리 개인의 일이 아니라 민주진영 전체의 명예가 걸린 사안"이라며 "다시 재야로 돌아왔다는 결의를 갖고 더러운 공작정치와 싸움을 시작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비대위 회의에는 유시민 전 보건복지부 장관, 장하진 전 여성부 장관 등 노무현 정부 출신 인사들과 김진애 민주당 의원 등 야당 의원들도 자리를 함께했다.

 

유시민 전 장관은 검찰의 불법 피의사실 유포를 강하게 성토하면서 이를 막기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유시민 "허위 피의사실 흘리는 검찰의 불법, 응징 방안 찾아야"

 

유 전 장관은 "기소권을 독점하고 있는 검찰은 지금까지 자신들의 불법행위를 기소하는 법이 없다"며 "허위 피의사실을 남몰래 흘려 공작하는 이런 형법상의 범죄행위를 법에 따라 강력히 응징할 수 있는 제도적 방안을 국회에서 야당이 찾아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장하진 전 장관은 "노무현 전 대통령을 끝으로 정치탄압이 끝나는 줄 알았는데 상주였던 한 전 총리에게 칼날을 겨누는 것은 민주정치세력 전체에 대한 탄압의 신호탄이라고 생각한다"며 "절대 물러날 수 없는 싸움"이라고 밝혔다.

 

김진애 의원도 "민주당은 최고위원회의, 의원총회 등에서 이 사안에 대해 적극적으로 문제를 제기할 것"이라며 "같은 가치를 공유하고 한 전 총리를 신뢰하고 기대하는 세력들이 함께 뭉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비대위는 우선 지난 4일 <조선> 보도에 대해 법적 조치에 들어가기로 했다. 한 전 총리는 지난 4일 입장문을 통해 <조선일보>에 본인의 반론을 7일자 1면에 보도하라고 요구하고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 법적 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조선>은 이에 응하지 않았다.

 

"반론 보도 안 한 <조선>에 법적 조치 밟을 것"

 

이해찬 전 총리는 "언론이 검찰에서 흘러나온 이야기를 검증 없이 보도해 명예를 훼손하고 이 나라 언론이라고 자부한다는 것이 불행하기 짝이 없다"며 "변호인단을 통해 오늘 민형사상 법적 절차를 밟아 나가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한 전 총리의 변호인단에는 강금실 전 법무장관과 문재인 전 청와대 비서실장이 참여하고 있다. 

 

한편 노무현재단은 참여정부 출신 인사와 민주당 등 범야권 및 여성계와 시민사회 인사 60여 명이 대거 참여하는 비대위를 구성했다.

 

이병완 전 청와대 비서실장, 안희정 민주당 최고위원, 정연주 전 KBS 사장, 유시민 전 장관, 조기숙 전 청와대 홍보수석 등이 상임위원단에 포함됐으며 위원으로는 이기명 전 노무현 전 대통령 후원회장, 김두관 전 행자부 장관, 우상호 민주당 대변인, 이용섭·백원우 민주당 의원 등이 참여했다.


태그:#한명숙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