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70∼80년대 암울한 군사독재정권 아래서 민주화운동과 함께 노동운동이 사회운동의 중심을 이뤘다. 90년대 형식적 민주화를 거쳐 시민운동이 양적 팽창을 보였으나 2000년 이후에는 괄목할 만한 성장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

 

학생·노동·농민 등 계급․계층운동의 침체와 더불어 시민운동도 침체 위기에 놓였다는 지적이 시민사회 내부에서도 나온다. 무엇보다도 '시민 없는' 시민단체들이 명망가 중심으로 활동하다보니 시민들과 거리가 더욱 벌어지고 있는 평가다.

 

이러한 가운데 회원들의 참여와 조직의 민주성을 강화하기 위해 진화하는 시민단체가 있어 눈길을 끈다. 바로 인천에서 활동하는 '평화와참여로가는 인천연대(상임대표 이원준)'가 그곳이다. 인천연대는 무엇보다도 '참여'를 활동의 으뜸으로 여기는 시민단체로 정평이 나 있다.

 

인천연대 사무처 상근자들은 요즘 정신이 없다. 7기 정기총회를 앞두고 회계와 사업 감사를 받아야하고, 처음으로 도입한 상임대표와 공동대표, 감사위원 직선제(인터넷 투표)를 회원들에게 알려야 하기 때문이다.

 

인천연대는 1월 25일부터 28일까지 인터넷 투표를 통해 대표단을 선출한다. 해당 지부 사무실을 방문해 직접 투표할 수도 있다. 인천연대는 시민단체에서 처음으로 도입한 인터넷 투표인만큼 90% 이상의 투표 참여율을 예상하고 있다.

 

인천연대 지도부 출마 자격은 회원 가입 2년이 경과한 정회원으로서, 정회원 30명의 추천을 받아야 한다. 2년 이상 회비를 납부하고 꾸준히 활동했으면 누구나 대표로 출마가 가능한 셈이다.

 

하지만 7기 정기총회를 앞두고 상임대표 1인, 공동대표 5인, 감사위원 5인을 선출할 예정이었으나, 상임대표 1인, 공동대표 3인, 감사위원 4인만이 입후보했다.

 

인천연대의 이번 직선제 도입은 2008년 1월 열린 6기 정기총회에서 결정됐다. 인천연대 부평지부 한 회원이 인터넷을 통한 소통 강화와 함께 단체의 민주성을 높이기 위해 직선제 도입을 제안한 것이 공식화됐다.

 

장금석 인천연대 사무처장은 "시민단체가 인터넷을 통해 대표 등을 직접 뽑는 경우는 전국적으로 처음 도입되는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무엇보다도 직접 참여를 통한 민주성 강화와 함께 회원들의 주인의식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 같다"고 기대했다.

 

또한 "총회를 앞두고 감사를 받으면서 인터넷을 통한 직선제까지 병행해 어려움도 많지만, 이번 시도는 참여와 민주주의를 생명으로 여기는 시민단체가 회원들의 참여와 민주성을 높이기 위한 시도로, 시대 변화에 맞게 진화하는 과정으로 봐 달라"고 말했다.

 

한편, 인천연대는 1996년 창립됐다. 한 때 2000명 이상의 정회원이 함께 할 정도로 성장했지만, 부설기관이었던 어린이도서관과 공부방(지역아동센터), 시민문화센터, 정보화사업단 등이 독립하면서 조직이 줄어들었다. 단체의 창립 정신에 맞는 활동이 중요하다는 취지에서 취한 당시 지도부와 회원들의 결단이었다.

덧붙이는 글 | 이기사는 부평신문(http://bpnews.kr)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시민문화센터#인천연대#정보화사업단#장금석 사무처장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