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지난 1월 28일, 조승수 의원(진보신당)과 진보신당 녹색위원회는 에너지정치센터에서 주관하고 있는 '따뜻한 집 만들기 프로젝트'에 직접 참여했다. 저소득층의 에너지 효율개선과 주거환경 개선을 목표로 하는 이 사업은 2007년부터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가구에게 진행되어 왔다.

 

집수리가 완전히 끝난 뒤 집수리 대상자인 사미자(가명, 45)씨의 집을 찾아가 보았다. 사미자씨는 환한 얼굴로 집을 보여주었다. 집은 전과 달라졌다. 하얀색 벽지로 깨끗해진 벽과 새로 깔은 푹신한 장판 덕분에 집 내부는 따뜻해졌다. 창호는 예전의 낡은 나무 창틀에서 단열이 잘 되는 새 창호로 바뀌었다.

 

 
 

현재 기초수급자인 사미자씨는 두 딸과 함께 살고 있다. 겨울이면 그녀의 생활은 더 고단해진다. 단순히 혹독한 추위때문만이 아니다. 추위는 육체적 고단함과 함께 경제적 비용까지 요구하기 때문이다.

 

지금 정부로부터 약 20만원의 지원금을 받고 있지만 그 돈은 모두 난방비로 지출된다. 생활비는 아무리 줄여도 매달 10만원~15만원 정도가 나간다. 여름에는 가스비라야 최대 2만원밖에 안 나오니 그럭저럭 살 수 있지만 겨울이 되면 100배가 높은 가스비가 나간다. 

 

 

대대적인 집수리가 끝나고 현재는 한결 따뜻해진 집에서 지내고 있었다. 한전에서는 며칠 전 집 안의 등을 모두 고쳐주었다. 다만 화장실에 있는 등은 한전 측에서도 어쩔 도리가 없어 현재 화장실은 불이 들어오지 않고 있다. 그러나 그런 불편함은 예전에 비하면 감수할만하다고 한다.

 

 

집 수리가 끝났지만 에너지 효율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여전히 사람들이 드나든다고 한다. 집에 찾아와 문을 열어 놓고 온도를 측정하는 등 번거롭지만 사미자씨의 표정은 한결 밝아졌다. 그녀는 지역사회의 도움으로 매일 오전, 오후 각 1~2시간씩 일을 하고 일당 2만 2천원을 번다. 넉넉하지 않은 생활에 저축은 꿈도 못 꾸지만 '요즘 같은 때에 빚이 없는 것이 어디야, 집이 있는 게 다행이지'라며 만족해 했다.

 

올해 정부는 에너지 효율화 개선 사업에 대해 292억원의 예산을 준비해놓은 상태다. 그러나 평균 가구 당 약 51만원의 수리비에 불과해 집 수리와 같은 실질적 도움을 줄 수 있는지는 미지수다.

 

게다가 부처별로 에너지 복지, 주거환경 개선 등 정책과 예산이 분리되어 있다. 간담회에 참여했던 한국에너지복지센터 이기순 간사는 '에너지 효율화 사업이 체계적으로 정착되려면 현재 에너지 빈곤층에 대한 실태 파악, 체계적인 사전 진단, 사후 모니터링 등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따뜻한 집 만들기 프로젝트#에너지 효율화 사업#기초 수급자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