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2월 27일(토) 경기도 중부의 야산에서
▲ 너도바람꽃 2월 27일(토) 경기도 중부의 야산에서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혹시나 해서 달려간 곳, 그곳에서 너도바람꽃이 수줍은 듯 인사를 합니다.
주변에는 만주바람꽃이 아주 작은 꽃망울을 달고 싹을 내고 있고, 처녀치마는 아직 꽃대를 올리지는 못했지만 초록의 너른 이파리를 펴고 낙엽속에 꽃몽우리를 감추고 있습니다.

봄은 이렇게 소리 없이 우리 곁에 왔습니다.

무너져내리는 흙더미를 간신히 붙잡고 피어나고 있는 너도바람꽃
▲ 너도바람꽃 무너져내리는 흙더미를 간신히 붙잡고 피어나고 있는 너도바람꽃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그런데 하필이면 그가 피어나는 곳은 계곡 가파른 경사면이라 봄이 오면 땅이 녹으면서 흙이 무너져 내리는 곳입니다. 다른 곳에서는 보이지도 않고 그곳에서만 보이는데 올해는 지난해보다 더 많이 흙이 무너져 내렸습니다.

무너져 내린 흙을 가까스로 붙잡고 있는 너도바람꽃, 씨앗이 떨어져 싹을 틔우는 전초의 모습이 이렇다는 것을 처음으로 생생하게 봅니다. 그러나 마음이 아픕니다.

그냥 자연상태에서 그런 것이라면 조금 마음이 덜 아플 터인데 주변의 변화가 아무래도 계곡과 맞닿아 있는 경사면을 급격하게 위협하고 있는 것 같아서 더 마음이 아픕니다.

그도 저 하얀 꽃잎에 상처나기 원하지 않았을 것이고, 흙을 묻히지 않기를 원했을 것이다.
▲ 너도바람꽃 그도 저 하얀 꽃잎에 상처나기 원하지 않았을 것이고, 흙을 묻히지 않기를 원했을 것이다.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그래도 봄이라고 피어난 꽃, 곱디고운 순백의 하얀 꽃잎에 흙이 붙어 있고, 상처도 났습니다. 어떤 꽃도 갓 피어난 제 얼굴에 흙이 붙고, 상처나는 것을 바라지 않을 것입니다. 그러나 살다보면 원하지 않는 일도 만나게 되는 것입니다.

그렇게 원하지 않는 상황을 만나도 끝내 피어나는 꽃, 포기하지 않을 꽃이기에 그들을 보면서 힘을 얻는 것입니다.

절망하지 않고 피어나리라.
▲ 너도바람꽃 절망하지 않고 피어나리라.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군락지라고 할 수 있을 정도는 아닌데 이렇게 경사지의 흙이 무너져 계곡물을 타고 흘러가니 어쩌면 내년에는 이곳에서 이들을 만나지 못할지도 모르겠습니다.

지금쯤이면 초록의 새싹을 한창 내었을 현호색도 근처에 식당이 생기고 사람들의 왕래가 잦아진 탓인지 싹도 보이지 않습니다.

작은 풀꽃들이 군락을 이룰 때는 주변의 나무와 돌과 흙과 물, 이 모든 것이 조화롭게 그들을 감싸줄 수 있어 가능한 것입니다. 그런데 사람들의 손길이 닿으면서 그 어느 하나라도 조화가 무너지면 점점 그 영역이 좁아지고, 급기야는 사라지게 되는 것이지요.

어느새 봄이 온 것이다.
▲ 너도바람꽃 어느새 봄이 온 것이다.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나도바람꽃이 그곳에만 피어나는 것은 아니지만, 제가 알기로는 경기도 중부지역에 피어나는 너도바람꽃은 만나기가 쉽지 않습니다. 서울에서 아주 가까운 몇몇 곳에는 변산바람꽃이나 노루귀, 복수초가 피어나는 곳도 있는데 그들도 해마다 개체수가 줄어간다고 합니다.

우리 곁에서 피어나던 꽃들이 하나둘 우리와 이별을 하는 것입니다.
그들의 잘못이 아니라 사람의 잘못이기에 더 마음이 아픕니다. 그래도 악조건을 불평하지 않고 무너진 흙에서도 싹을 틔우고 꽃을 피운 그들이 있어 위로를 받습니다.

내년에도 그곳에서 너도바람꽃을 만났으면 좋겠다.
▲ 너도바람꽃 내년에도 그곳에서 너도바람꽃을 만났으면 좋겠다.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바람꽃은 "newyear's gift"라고 한답니다.
자연이 주는 새해의 선물, 긴 휴식을 끝내고 새롭게 시작되는 봄의 선물, 새해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계절은 봄이라는 얘기기도 하겠지요.

매년 피어나는 꽃, 그런데도 그들을 만날 때마다 마음이 설렙니다.
그러나 올해는 심각하게 훼손되는 현장에서 너도바람꽃의 뿌리를 보면서 울었습니다.

이런 곳들을 국가적인 차원에서 보호하는 일을 기대한다는 것은 너무 순진한 생각일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렇게 피어난 꽃 기특해서 활짝 핀 모습을 만나러, 만주바람꽃과 처녀치마를 만나러 따스한 봄날 몇 차례 더 다녀올 것입니다. 그들이 너무 퍽퍽하여 살기 힘들다고 떠나면 이런 복에 겨운 일들도 올해가 마지막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하니 서글퍼집니다.

덧붙이는 글 | 2월 27일(토) 경기도 중부의 야산에서 담은 꽃입니다. 이제 봄이 저 남녘에서 경기 중부까지 올라왔습니다. 봄입니다.



태그:#너도바람꽃
댓글
이 기사의 좋은기사 원고료 10,000
응원글보기 원고료로 응원하기

자연을 소재로 사진담고 글쓰는 일을 좋아한다. 최근작 <들꽃, 나도 너처럼 피어나고 싶다>가 있으며, 사는 이야기에 관심이 많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