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홀로 영화보기, 혼자 걷기, 혼자 쇼핑하기 등은 외로움의 연속이다는 것을 말해주는 내용의 위드. 여럿이서 함께하는 일에 대한 것을 무용으로 나타내면서 소통의 중요성을 강조한 작품.
▲ 홀로서기는 외롭다. 홀로 영화보기, 혼자 걷기, 혼자 쇼핑하기 등은 외로움의 연속이다는 것을 말해주는 내용의 위드. 여럿이서 함께하는 일에 대한 것을 무용으로 나타내면서 소통의 중요성을 강조한 작품.
ⓒ 김용한

관련사진보기


위드댄스 컴퍼니의 소극장 시리즈 춤 공연이 30일 봉산문화회관 가온홀에서 열렸다.

이날 공연은 젊은 날의 추억과 회상 그리고 외로움을 그린 나무그늘2(갈형진, 함소연, 이동명), 홀로서기로는 외로움을 느낀다는 내용의 위드(With/ 최윤영, 안재연, 이지연, 남숙현), 왕자병 그리고 공주병에 대한 생각의 함정을 그린 바이러스 오브 토킹2(권정민, 갈형진, 함소연, 이경호)이었다.

소극장이 그러하듯 가온홀은 관객과의 거리가 좁고 가깝다. 관객들은 무용수들의 동작 하나 하나를 쉽게 관찰하고 숨소리까지 들을 수 있어 생동감을 느낄 수 있다. 반면, 무대에 서는 무용수는 부담이 되고 힘겹게 느껴지지만 관객들의 요구가 무엇이고 어떤 무용을 바라고 기대하는지에 대해 가깝게 갈 수 있어 관객의 눈높이를 읽는 데 안성맞춤인 곳이다.

친구에 대한 그리움, 외로움 그리고 배신. 그대의 그늘아래 쉬어갈 수 있는 곳은 다름아닌 자신임을 알게 된다는 내용의 작품.
▲ 나무그늘2의 작품. 친구에 대한 그리움, 외로움 그리고 배신. 그대의 그늘아래 쉬어갈 수 있는 곳은 다름아닌 자신임을 알게 된다는 내용의 작품.
ⓒ 김용한

관련사진보기


이번 작품을 안무하고 총감독한 최윤영 대표(위드댄스컴퍼니)는 그야말로 서울 출신의 무용수다. 서울 출신의 무용수가 대구 토박이들과 함께 어울려서 자리를 잡아간다는 것이 쉬운 일이 아닐 것이다.

대구에 온 지 6년에 접어든 최 대표는 "젊은 안무가들 중에서 남자 무용수들을 저의 작품에 초대를 해서 공연을 가지려고 해도 학교에 소속되어 있어나 또는 시립에 소속되어 무용수 발굴이 가장 어려움 점이 많다"고 말했다.

또 "무용활동에 있어서도 서울에 비해 지역에는 무용축제나 활동들이 지역에 한정되어 활동하는 것이 아쉽다"면서 "공연을 위한 기금 조성이나 지원책, 서로의 공연에 각 단체의 무용수들이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는 여건들이 조성되면 좋겠다"는 바람도 전했다.

최 대표는 자신이 추구하는 '무용의 대중화'에 대한 바람을 담아 소극장 시리즈 공연을 올렸다고 밝혔다.

나라는 아집 속에서 다른 사람을 제대로 바라보지 못한다는 내용의 이야기.
▲ 심한 왕자병과 심한 공주병에 대한 이야기. 나라는 아집 속에서 다른 사람을 제대로 바라보지 못한다는 내용의 이야기.
ⓒ 김용한

관련사진보기


최 대표는 이번 공연에 대해 "춤을 위주로 하는 예술작품들은 인쇄되어 있는 문학이나 필름에 담겨 있는 영화와는 달리 무대 위 무용수들을 통해서 공연되는 것으로, 공연이 끝나면 사라져 버리는 일회성 예술처럼 느껴지기 쉽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무용의 대중화를 위해 관객과의 소통을 위한 노력에 더 경주할 것"이라고 말했다.

"무용의 대중화라는 것이 어떤 것인가?"라는 기자의 질문에 최 대표는 "대중들이 현대무용의 작품을 어렵게 생각하는데 이러한 것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 작품을 재미있게 만들어 작품을 다시금 보고 싶어지게 만드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소극장' 공연에 대해서도 최 대표는 "주로 대극장 중심의 공연을 해왔는데 이번 계기를 통해 다양한 레파토리가 있는 공연, 스토리가 있는 소극장 공연 작품을 만들고 싶다"는 포부를 밝혔다.

"어떤 무용의 작품을 지향하는가?"라는 질문에 "많은 분들이 그런 질문을 많이 하는데 저는 어떤 스타일을 고집하는 것이 아니라 저에게 주어진 작품에 있어 새롭게 발전하고 고민하는 무용수가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 대표가 이끌고 있는 위드댄스컴퍼니는 2007년 창단되어 무용의 대중화란 모토로 지역 문화예술 발전에 무용파트로 적극 참여하고 있다.

덧붙이는 글 | 최윤영 무용수는 세종대학교 및 동대학원 무용학과를 졸업하고 툇마루 무용단 수석무용수, 영남대학교, 경상대학교 강사로 재직 중에 있다.



태그:#최윤영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모든 사람이 기자가 될 수 있다"는 말에 용기를 얻고 글을 쓰고 있습니다. 우리가 바로 이곳의 권력이며 주인입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