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민본21은 모든 것이 물거품이 되도록 하지는 않을 것이다. 견결한 의지로 행동하겠다." - 2009년 5월 12일 민본21 공동간사 김성식 한나라당 의원

 

"민본21이 한 알의 밀알이 되겠다, 그냥 물러서진 않겠다." - 2010년 6월 8일 민본21 공동간사 권영진 한나라당 의원

 

지난해 4·29 재보궐선거에서 '0 대 5'로 참패한 한나라당 내에서 당-청 관계, 당내 쇄신과 계파 화합에 대한 요구는 그야말로 폭풍과 같았다. 이 움직임은 쇄신특위(위원장 원희룡) 구성 및 쇄신안 도출로 이어졌다.

 

그러나, 한나라당 개혁성향 초선 의원들은 1년 1개월 뒤 다시 쇄신을 부르짖게 됐다. 당-청 관계나 계파 화합 등에 쇄신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했고, 그 결과 지방선거에서 표로 심판받았기 때문이다.

 

이번에도 쇄신은 용두사미?

 

2009년

2010년

4월 29일

재·보궐선거 '0 대 5' 패배

6월 2일

지방선거 패배

5월 4일

'민본21' 국정쇄신, 당 쇄신·화합 요구

6월 7일

국회의원 연찬회

5월 7일

'민본21' 쇄신·화합 의원 토론회 개최

6월 8일

'민본21' 청와대·당 인적쇄신 요구

5월 15일

쇄신특위 구성

6월 9일

초선 의원 쇄신모임 대토론회

5월 21일

당 원내대표 및 정책위의장 경선

6월 10일

비상대책위원회 구성

 

 

 

초선 의원 51명 쇄신요구 연판장 서명

 

 

7월 중순

한나라당 전당대회 개최 예정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당시 청와대와 당 사이의 소통을 맡을 특임장관이 신설됐지만 쇄신파가 요구한 청와대 참모진의 전면적 인사쇄신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박희태 당시 대표최고위원이 사퇴하긴 했지만 조기전당대회는 열리지 않았고, 정몽준 대표가 '관리형 대표'로 당을 이끌었다.

 

때마침 이어진 원내대표 및 정책위의장 경선에서 쇄신파가 요구한 후보자 공개토론회가 열렸고, 각 후보자마다 강제적 당론을 없애고 상임위 중심으로 국회를 운영하는 등 당 내 민주주의를 강화하겠노라고 공약했다. 그러나 '당론 표결제'는 어림도 없었고, 당 운영이 청와대에 더욱 종속된 것 아니냐는 평가로 이어졌다.

 

'상향식 공천제'와 같은 요구는 그런대로 반영된 편이다. 그러나 청와대나 정부의 근본적인 변화를 이끌어내지 못한 것은 2009년 한나라당 쇄신움직임의 한계로 지적된다.

 

그래서 이번 지방선거 뒤 쇄신을 부르짖는 초선 의원들의 움직임에는 늘 '이번에도 용두사미?'라는 식의 비아냥이 뒤따른다. 당연히 그렇게 생각할 만하다. 당시와 지금의 상황이 매우 비슷하기 때문이다.

 

이번에도 문제 제기는 요란, 결론은 공식기구에 넘기기

 

 

먼저 논의가 수렴되는 구조가 매우 비슷하다. 초선 의원들이 토론회 등 공론의 장을 만들거나 연찬회에서 강도 높은 쇄신 요구를 쏟아내면서 백가쟁명식 쇄신안을 내놓은 것은 2009년 5월이나 2010년 6월이나 거의 같은 양상이다.

 

쇄신 논의가 공식화하는 과정도 거의 비슷해보인다. 2009년 쇄신특위라는 당 공식창구를 통해 쇄신여론을 수집하고 그 안에서 논의를 통해 방안을 도출했는데, 그 방식이 2010년에도 비슷하게 적용되고 있다.

 

비록 당 지도부 사퇴로 인해 불가피하게 구성된 비상대책위원회이긴 하나 비대위가 쇄신논의를 수렴하고 방안을 도출하는 역할을 하겠다고 천명했고, 초선 의원들도 쇄신 요구를 비대위에 접수하는 방식을 목표 관철 방식으로 택했다. 일단 쇄신 논의기구에 제안해 놓고, 이 기구의 결정을 기다리겠다는 것이다.

 

여기서 2009년과 2010년의 쇄신논의의 결말이 비슷해지리라는 예측이 가능해진다. 2009년의 경우, 도출된 쇄신안은 최고위원회의를 거치면서 선별적으로 적용됐고, 청와대도 적극적인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쇄신을 요구한 의원들은 문제를 제기해놓고 당의 결정을 기다리기만 했다.

 

쇄신요구 확장, 청와대 긍정반응...초선 의원 지도부 입성?

 

그러나, 2009년과 사뭇 다른 상황도 찾을 수 있다.

 

먼저, 쇄신을 요구하는 초선 의원들의 숫자가 확장됐다는 점이다. 2009년에는 당시 14명이던 '민본21' 중심의 논의가 남경필·원희룡·정병국 이른바 '원조 소장파'와 일부 초·재선 의원들의 합세로 이어졌다면, 이번 쇄신논의에는 초선 의원들만 51명이 연판장에 서명을 하는 등 쇄신 요구에 대한 공감대가 한층 더 확산돼 있다.

 

청와대에서도 쇄신요구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는 점이 2009년의 상황과는 매우 다른 점이다. 지난 14일 이명박 대통령은 대국민 담화를 통해 청와대 및 내각을 개편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무반응으로 일관했던 2009년의 쇄신논의보다는 한결 더 많은 수확이 이미 예고됐다고 볼 수 있는 부분이다.

 

2009년의 쇄신논의가 '소통강화' 등 '기술적인' 부분에 치우쳤다면, 이번 쇄신논의에서는 '붉은 한나라당'이라는 용어가 등장하는 등, 한나라당의 근본적인 변화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졌다는 점도 쇄신논의가 단발성에 그치지 않을 것임을 예고한다.

 

 

쇄신논의가 정리돼 갈 때 쯤 한나라당 대표를 비롯한 지도부를 뽑는 전당대회가 열리는 것은 쇄신파에게는 무엇보다 고무적인 부분이다. 지도부의 인적쇄신을 통해 당의 실질적인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기 때문이다.

 

지방선거 뒤 '세대교체론'이 당 내에서 일어나고 있는 상황은 쇄신파에게는 더욱 고무적이다. 2009년 5월 원내대표 경선에서 개혁성향 초선 의원들의 관심사는 '이 사람이 원내대표가 되면 우리들의 요구에 귀를 잘 기울여줄 것인가'였다. 그러나 7월의 전당대회에 대한  초선의원들의 관심사는 '초선 의원이 직접 당 지도부에 참여하자'는 것이다.

 

아직 공식화 된 것은 아니지만, 김성식·권영진·정태근 의원 등 개혁성향 초선 의원들의 전당대회 출마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 초선의원 쇄신모임에서 전당대회 후보를 낼 것이냐 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17일 전체 모임에서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지방선거 패배 뒤 쇄신의 당위성과 세대교체에 대해서는 명분이 축적된 만큼, 개혁 성향 초선 의원의 지도부 입성 가능성은 어느 때보다 높아보인다.


태그:#한나라당 , #쇄신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상근기자. 평화를 만들어 갑시다.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