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동규 사진집 1954∼1976, 1998 (김동규, 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과,2001/비매품)낮에 인천에 볼일이 있어 식구들이 함께 다녀올까 했지만, 푹푹 찌는 무더운 날씨에 세 식구가 함께 먼길을 움직이자니 썩 좋지 않을 수 있어 멀리는 가지 않고, 가까운 이웃마을로 나들이를 갔습니다. 느티나무가 우람하게 자라 퍽 많은 사람들한테 그늘을 베풀어 주는 버스역으로 가서 읍내 버스를 기다립니다. 토요일 아침이어서인지 마을 어르신들이나 마을 안쪽에 깃든 공장에서 일하는 이주노동자들이 제법 모여 있습니다. 어른 두 사람 버스삯은 2100원이고, 광벌에서 음성 읍내로 가는 데에는 이 마을 저 마을을 거쳐 10분입니다. 버스로는 고작 10분이니, 우리한테 자가용이 있어 자가용으로 이 길을 달렸다면 10분이 채 걸리지 않았겠지요. 하기는, 자전거를 타고 읍내를 다녀올 때에 고개 넘어 다니는 데에 20분 즈음 걸립니다. 가장 빠르기로는 자가용이지만, 시골버스를 기다리며 타도 괜찮고, 자전거를 타고 낑낑거리며 고개를 넘어 오가도 좋습니다. 무엇보다, 자가용으로 달리면 너무 빨리 씽씽 지나치며 마을을 제대로 살필 수 없습니다. 시골버스는 천천히 달리니 그럭저럭 마을 구경도 해 보는데, 자전거를 달리며 마을을 살필 때만큼 차근차근 돌아볼 수 없습니다. 가장 좋기로는 두 다리로 씩씩하게 걸어 오가는 길입니다. 퍽 힘들기는 할 테지만 아이가 어느 만큼 커서 엄마나 아빠한테 안기거나 업히지 않고 다닐 수 있을 때에는 한 시간 남짓 걸어 읍내로 마실을 다녀와도 즐거우리라 생각합니다.
읍내 마실을 하며 목에는 사진기를 걸어 놓습니다. 읍내 사람들한테는 늘 같은 모습일 터이고, 저 또한 이 마을을 여러 해 오가며 들여다보고 있자니 여러 해째 늘 같은 모습이라 굳이 사진으로 담을 만한 모습이 없다 여길 수 있습니다. 그런데 여러 해째 늘 같은 모습을 보면서 새삼스레 생각합니다. 서울 같은 큰도시처럼 미친 듯한 막개발 바람이 이런 시골 읍내까지 불지는 않는다지만, 시골에도 개발 바람이 아예 없지는 않습니다. 우리 집하고 가까운 다른 읍내인 무극으로 가 보면, 이곳도 꽤 깊은 시골 읍내임에도 새로 올라선 아파트가 마을에 수두룩하고, 일산이나 분당만큼은 아니지만 무척 넓은 자리에 꽤 높은 아파트를 새로 짓는 공사가 한창입니다. 참 무섭도록 무시무시하게 아파트 공사가 시골 읍내까지 파고들어요. 서울 강남하고 고속도로로 이으면 퍽 가깝고 땅값 싸며 공기와 물이 좋으니, 충청북도 시골자리까지 서울에서 돈 좀 있다는 이들 아파트 투기가 퍼지는구나 싶어요.
이리하여 음성 읍내 곳곳을 두 다리로 누비며 사진을 찍습니다. 인천에서 골목마실을 하며 사진을 찍듯 음성 읍내에서도 읍내 골목을 오가며 사진 한 장 두 장 담아 봅니다. 모르기는 몰라도, '뻔하다'고 여길 만한 시골 살림집들 모습을, 또는 읍내 살림집들 모습을 사진으로 차곡차곡 갈무리하는 사람은 이 나라에 거의 아무도 없지 않으랴 싶습니다. 일본으로 여행을 가거나 프랑스로 나들이를 가거나 스페인으로 순례를 가는 이들은 이들 나라 여느 살림집 모습을 사진으로 신나게 찍으면서 '이야, 참, 아름답구나!' 하고 노래를 부르고 있는데, 정작 이 나라 시골 곳곳에 깃든 작으며 곱고 어여쁜 살림집을 바라볼 때에는 '에이, 참, 꾀죄죄하구나!' 하고 여기며 '이런 낡은 집 얼른 안 헐고 뭐 한담!' 하고 느끼지 않느냐 싶습니다. 아니, 어쩌면, 이 나라 여행꾼을 비롯한 숱한 사람들은 이 나라 여느 살림집이 여느 마을마다 어연번듯하게 뿌리내리며 고운 숨결 나누고 있음을 못 느끼거나 안 바라보고 있구나 싶습니다.
세 시간 남짓 읍내를 돌고 읍내 중국집에서 바깥밥을 사먹고 나서 우리 산골마을 집으로 돌아옵니다. 저녁에 큰길가에 있는 보리밥집 쪽으로 찾아온 서울 손님이 있어 얼굴이라도 보려고 갔더니, 예전에 이 산골마을에서 살 때에 이웃하며 지내던 상준 씨네 아이들이 마당에서 놀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엄마 품에 안긴 갓난쟁이가 어느새 큰 아이로 자랐습니다. 이제 스물넉 달째 맞이하는 우리 딸아이는 "언니!" 하고 부르며 달려들고, 옆에서 함께 노는 상준 씨네 셋째한테는 "오빠!" 하고 부르며 달려듭니다.
상준 씨네 작은 아이 둘이랑 살짝 떨어져 혼자 놀던 상준 씨네 큰 아이는 우리 아이 엄마가 고무줄로 별 모양 만들기를 하니 가까이 다가와 요모조모 물으며 배웁니다. 시골마을 네 아이가 시골 밥집 마당가에서 복닥이며 놉니다. 살짝 나온 마실이라 빈몸으로 나올까 하다가 사진기를 챙겼는데, 네 아이 복닥이는 모습을 무척 재미나게 담을 수 있습니다. 사진기 안 챙겼으면 속으로 얼마나 답답해 했을까요. 네 아이가 물놀이를 하고 고무줄놀이를 하는 모습을 사진으로 담으면서 '너희 넷이 앞으로 열 해나 스무 해나 서른 해 뒤에 오늘 찍은 사진으로 조금은 남다른 지난 삶 이야기를 떠올릴 수 있겠지' 하고 생각합니다. 아니, 생각한다기보다 사진기 단추를 누르는 내내 이런 느낌이 몽글몽글 샘솟습니다.
아침부터 낮잠 거의 없이 놀던 아이는 해가 떨어지고 어두워지니 몹시 힘들어 하며 이내 곯아떨어질 듯하지만, 이러면서도 엄마한테 달라붙어 떼를 씁니다. 집으로 돌아와 씻고 이 닦고 투정 좀 부리다가 새근새근 잠듭니다. 잠든 두 식구를 조용히 바라보는 아이 아빠는 아침부터 다시금 꺼내어 들추고 있는 묵은 사진책 하나를 곰곰이 되새깁니다. 시중 책방에 나온 적이 없을 뿐더러, 시중 헌책방에서조차 만날 길이 거의 없는 사진책 가운데 하나인 <김동규 사진집 1954∼1976, 1998>을 생각합니다.
이 사진책을 내놓은 김동규 님은 서울시립대학교에서 건축공학과 교수로 일하다가 2001년 4월에 정년퇴임을 합니다. 김동규 교수는 여느 교수들이 '정년퇴임 기념 논문집'을 내는 흐름하고는 다르게 '정년퇴임 기념 사진책'을 내놓습니다. 다른 사람들한테서 '칭찬하는 글'을 잔뜩 받아 살짝살짝 우쭐거리는 논문집이 아닌, 당신 스스로 당신 한길을 걸어오는 동안 당신 삶과 넋을 크게 건드리거나 움직인 사진을 알뜰히 모아 책 하나로 여미어 내놓았습니다.
사진학과에 있던 교수가 정년퇴임을 한다 하더라도 이런 사진책을 내기는 만만하지 않습니다. 아니, 제법 드문 일입니다. 사진학과 학생들이 졸업 사진책을 내는 일은 있으나, 사진학과 학생들 졸업 사진책은 아직 학생들 스스로 '사진하는 마음'이 제대로 영글지 않은 가운데 어느 만큼 뽐내는 느낌이 짙어 썩 달갑거나 내키지 않곤 합니다. 스스로 무르익거나 스스로 고개숙일 줄 아는 가운데 아름다이 일구어 온 사진삶을 담은 '사진학과 대학생 졸업 사진책'은 이 나라에서는 좀처럼 나오기 어렵습니다.
사진삶이라고 해서 반드시 마흔 해를 찍었다든지 쉰 해를 찍었다든지 해야 무르익었다고 할 수 없습니다. 꼭 열 해만 찍었든 이제 다섯 해째 찍었든 겨우 두 해를 찍었든, 나 스스로 걸어온 사진길을 나 스스로 당차고 씩씩하고 즐겁게 갈무리했다면, 이만 한 깊이와 너비로 무르익혀서 사진책 하나로 그러모으면 됩니다.
사진책 <김동규 사진집 1954∼1976, 1998> 끄트머리에 김동규 교수님 쪽글이 몇 달립니다. 이 쪽글 가운데 퍽 오래된 이야기 하나 눈에 뜨입니다. "'이 眞寫 자네와 나의 영원한 우정을 위하여 보내는 것이네.' 이것은 초등학교 졸업을 앞두고 한 교우가 나에게 준 중학교 수험용 사진의 뒷면에 연필로 적어 넣은 글이다. '眞寫'라고 앞뒤를 바꾸어 써 주었기 때문에 아직도 기억하고 있는지 모르겠다. 그후에 대학의 전공인 건축에도 관련이 되어 사진을 만져 보게 되면서 '眞寫'가 과연 옳은 말이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무엇보다도 '眞'이 앞서야 한다면 '寫'는 저 뒤로 밀려가도 당연한 일이다. 그런데 영어로는 '포토그래피'라고 했으니 빛의 그림이라는 말이 된다. 물론 빛으로 비추면 진실이 드러나겠지만 명백한 진실 말고도 暗默의 진실도 있을 것이니, 사진이란 우리 말이 더욱 그럴듯하다. 또 한편 생각해 보면, 사진은 진실만이 아니고 거짓을 거짓 그대로 거짓없이 묘사하는 것이라고 할 때 포토그래피라는 서양말이 객관적 타당성을 갖는다(1988.1.신동아 수필)." 1936년에 태어난 김동규 님이니, 국민학교를 마칠 때라면 1950년 무렵이었겠군요. 이때에 증명사진 한 장은 얼마나 비싸고 드문 사진이었을까요. 오늘날하고는 견줄 수 없는 값과 뜻이 있는 작은 사진 하나였겠지요. 이제 막 중학생이 되려 했다는 동무는 사진 한 장을 선물로 건네며 '진사'라는 말을 썼는데, 한자로 말놀이를 했다는 느낌이 아닌, 사진 하나에 삶 하나를 깃들이려는 살가운 마음결을 나누려 했다는 느낌입니다. 날이 갈수록 '사진'이라 말하는 사람은 드물고 '포토'라 말할 뿐 아니라, '사진기'라 말하는 사람은 줄어들고 '카메라'라 말하고 있습니다. 사진을 찍는 기계이니 '사진기'이고, 사진을 찍는 사람이니 '사진가'입니다만, 다들 영어로 멋부리듯 '카메라'요 '포토그래퍼'요 뭐요 하고 떠들기에 바쁩니다. 이러는 가운데 '카메라'를 읊는 이들 스스로 '카메라'가 무슨 뜻이 있는 물건인지 살피지 않으며, '포토그래퍼'라 내세우는 이들 스스로 '포토그래퍼'가 어떠한 값어치를 나누는 사람인지 돌아보지 않습니다.
정년퇴임을 맞이하는 자리에서 더없이 조용하게 마련해서 내놓은 <김동규 사진집 1954∼1976, 1998>에 실린 사진을 새삼스레 되넘깁니다. 풀집이 있는 수원 화성 길거리, 낡은 건물을 허물고 새 건물을 올리는 1970년대 서울 시내, 떠들썩한 관광상품으로 굴러떨어지기 앞서 호젓하며 수수한 중국인거리, 1950년대 여느 살림집 안팎 모습이 알뜰살뜰 담겨 있습니다.
어느 사진 하나 티내는 모습이 없습니다. 어느 사진 하나 뽐내는 느낌이 없습니다. 어느 사진 하나 꾸미는 겉치레가 없습니다. 어느 사진 하나 콧대 높은 얼굴이 아닙니다. 살며시 웃음을 띠며 들여다볼 만한 사진입니다. 소담스러운 기록물이라서 뜻깊은 사진이 아닌, 바로 우리들 여느 사람 누구나 보내온 삶자락을 사진쟁이 스스로 이 땅에서 당신들과 똑같이 이웃으로 지내는 가운데 즐기고 마주하고 어깨동무했다고 하는 삶자락으로 옮겨냈기에 사랑스러운 사진입니다.
서울시립대학교 건축공학과에서 김동규 교수님한테서 학문을 배운 이들은 이 정년퇴임 사진책을 들추면서 건축공학이라는 학문과 직업에 무엇을 담고 무엇을 나누며 무엇을 즐겨야 하는가를 한 가지쯤이나마 느끼거나 받아들일 수 있었을까 궁금합니다.
덧붙이는 글 | - 글쓴이 누리집이 있습니다.
[우리 말과 헌책방 이야기] http://cafe.naver.com/hbooks
[인천 골목길 사진 찍기] http://cafe.naver.com/ingol
- 글쓴이는 다음과 같은 책을 써냈습니다.
<골목빛, 골목동네에 피어난 꽃>(호미,2010)
<사진책과 함께 살기>(포토넷,2010)
<생각하는 글쓰기>(호미,2009)
<책 홀림길에서>(텍스트,2009)
<자전거와 함께 살기>(달팽이,2009)
<헌책방에서 보낸 1년>(그물코,2006)
<모든 책은 헌책이다>(그물코,2004)
<우리 말과 헌책방 (1)∼(9)>(그물코,2007∼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