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경기 안양시에서 진행하던 냉천(안양5동)과 새마을(안양9동) 주거환경개선사업이 LH의 포기 의사 전달로 사실상 무산 위기에 놓여 시와 찬성주민들의 반발이 거센 가운데 만안뉴타운 사업 추진이 반대 분위기 확산으로 심상치 않다.

 

안양 만안뉴타운 사업은 경기도와 안양시, 경기도시공사가 안양 1·2·3동과 석수동, 박달동일대 1,776,040㎡를 2020년까지 개발해 2만4100세대 6만2700명이 거주하는 신도시로 탈바꿈한다는 계획으로 2007년 4월 만안 재정비촉진지구로 지정·고시한 바 있다.

 

하지만 LH의 경기도내 도심재정비 사업 포기와 대안격인 경기도시공사마저 재정이 열악해 만안뉴타운 사업이 추진할 수 있을까에 대한 우려와 의구심이 불거지고 있다. 또 부동산 거품이 빠져나가며 뉴타운 사업에 기대했던 주민들의 반대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실제 안양2동 대농단지에 거주하는 주민들을 주축으로 만안뉴타운반대추진위원회가 조직돼 사업의 문제점을 제기하며 주민 대상으로 홍보전을 펼치고 법적 소송을 진행해 왔다. 이제는 관망해 오던 박달동, 석수동 주민들까지 반대하고 나서는 상황이다.

 

지난 5일 오전 10시30분께 박달1동 주민 25명은 안양시장실을 찾아 만인뉴타운 사업 자체를 원천적으로 취소하라며 시장 면담을 요구하고 나섰다. 안양시장은 휴가중으로 김영일 균형발전발전기획단장을 만난 주민들은 사업지구에서 빼달라고 요구했다.

 

이날 주민들은 "뉴타운으로 행복해지는 것이 아니라 현재보다 못해진다, 주민을 거지로 만들어서야 되겠느냐, 오늘 우리들의 요구를 시장에게 잘 전달해 달라"고 말했다.

 

이에 김 단장은 "8월 16일 저녁 삼성초교 강당에서 주민설명회를 열겠다"고 전하고 "뉴타운 찬.반 여론조사도 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이에 "주민들은 동사무소로 나와 여론조사할 때 공정한 여론조사가 진행되어야 하는 만큼 주민을 참여시키라"고 요구했다.

 

주민들을 배웅하던 김 단장이 "보상을 많이 주겠다, 설명회에서 설명하겠다"고 말하자 주민들은 "우리는 천만금의 보상도 싫다, 주민설명회도 필요없다, 이제는 죽기살기로 (만안뉴타운) 반대할 것이니까 그렇게 알아라"고 말하는 등 신경전이 펼쳐지기도 했다.

 

"뉴타운 싫어요, 내가 살던 곳에 내집 짓고 살고 싶습니다"

 

"생각을 해봐요, 땅값도 집값도 제대로 안 쳐준다는데 아니 내땅, 내집 뺏기고 거지로 나안게 생겼는데 누가 뉴타운 찬성하겠어요? 더욱이 요즈음 살기가 너무 힘들지 않습니까."

 

시청을 나서던 한 주민은 "나는 세를 놓아 받아먹고 사는데 아파트 들어가면 좋을 것 같지만 내 집 내놓고 내 돈 더해서 들어가야 하지 않느냐"며 "뉴타운 한다고 한 지 3, 4년 넘었는데 땅값 얼마 쳐준다고 아직까지 집주인한테 한번도 얘기한 적도 없다"고 성토했다.

 

박닯1동 주민 이아무개(여.58)씨는  면담에서 오간 얘기를 묻자 "'만안뉴타운 취소하고 개인이 건축해 집을 짓고 살수 있게 해달라'고 요구했다"며 "지금은 먹고 사는 것이 전쟁이고, 생계위협을 받을 지경으로 주민들은 돈을 준다고 해도 싫다"고 말했다.

 

'시가 뉴타운 찬성하는 주민이 70% 넘는다고 하는데 어떠냐'고 묻자 "거짓말이다. 언제 제대로 여론조사를 했느냐, 박달동은 90%, 안양2동은 80% 이상이 반대하고 있다. 이필운 시장이 (선거에서) 심판을 받은 것도 주민들의 진심을 몰랐기 때문이다"고 주장했다.

 

이씨는 "왜 보금자리를 뺐어가느냐, 주민들은 뉴타운 절대로 안하겠다고 하는데 시는 왜 설명회만 자꾸 하느냐, 그 돈도 시민 세금 아니냐"며 "이제 시장님이 주민들의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제대로 알고 뉴타운 사업을 취소하는 것이 마땅하다"고 강조했다.

 

만안뉴타운반대추진위 주최 순회 설명회 주민들 몰려 성황

 

안양시의 뉴타운사업 추진 동력이 힘을 잃어가는 반면 만안뉴타운반대추진위원회 활동은 뉴타운을 반대하는 주민들의 동참이 늘어나면서 힘을 얻어 가속도를 내는 분위기다.

 

만안뉴타운반대추진위원회(위원장 김헌)는 만안뉴타운사업 문제점 및 타 지역의 개발 피해 사례를 설명하는 순회 주민설명회에 나섰다. 7월 31일을 시작으로 8월 5일 저녁에는 박달동에서 개최하자 150여 명 주민들이 참석해 꼼꼼히 확인하고 궁금한 점을 질문했다.

 

추진위에 따르면 이날 설명회에서 윤아무씨(토지소유자)는 조합설립 과정과 관리처분방식의 문제점 및 덕천마을의 피해 사례를 설명하고, 김헌 위원장은 새마을.냉천지구 사례를 들어 노후도 개념과 권리가액 산출방법, 관리처분시 분담금에 대해서, 김아무개(토지소유자)씨는 덕천마을의 문제점과 재산권 침해 사례 등 주민들이 궁금해 하는 점을 설명했다.

 

김헌 위원장은 "뉴타운 추진에 따른 장단점 등 정확한 정보는 제공하지 않고 주민 의사를 묻는 절차를 시행하는 것은 부당하다"고 역설하며 "각 구역별로 정비구역지정을 위한 요건을 어떻게 검토했는지 정보공개신청을 하고 기다리는 중이다"고 밝혔다.

 

이는 안양시가 만안재정비촉진지구(만안뉴타운)를 7개 구역으로 나누어 촉진계획을 수립하겠다고 발표했으나, 계획 자체가 수시로 변경되며 궁금증이 증폭되고 있을 뿐 아니라 구역이 어떻게 묶이느냐에 따라서 주민들의 이해관계 또한 크게 달라지기 때문이다.

 

한편 안양시 등 인구 50만 이상인 전국 13개 대도시 시장이 재정비촉진지구를 직접 지정하고 재정비촉진계획을 수립 결정, 변경과 취소도 가능한 '도시재정비 촉진을 위한 특별법' 및 같은 법 시행령 개정(안)이 국무회의를 의결을 거쳐 국회에 상정돼 있다.

 

하지만 법안이 국회를 통과하더라도 만안뉴타운은 이에 해당되지 않는다. 이미 추진돼 오던 재정비촉진지구사업에 대해서는 도지사가 수립 결정고시를 하게 되기 때문이다.


태그:#안양, #만안뉴타운, #부동산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