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상상문화학습원은 지난 90년대에 문을 연 문예아카데미의 성과를 이어 다양한 쇄신이 요구되는 21세기 사이버 시대 환경 속에서 디지털 상상력과 통섭 마인드를 기조로 문화예술을 일상활동과 연계하는 첨단 강의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문화예술로써 세상의 상식이 성숙하는 문화사회를 창조합니다."

- 경향신문, 민예총 '인사말' 몇 토막

 

'상상'이라 함은 체험으로 맺히는 마음 속 어떤 그림자를 새로운 모습으로 다시 맺게 하는  정신을 말한다. 그러니까 상상은 단순히 옛 기억을 되살리는 체험만이 아니며, 상상하는 그 어떤 모습이 이 세상에 없는 것이라면 '공상'이 된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상상'을 내 것으로 만들 수 있을까.

 

그 답은 '나와 당신이 문화예술의 빛나는 리더'라는 글을 앞세워 오는 9일(월) 민예총과 경향신문사가 손을 맞잡고 경향신문사 12층에서 문을 여는 상상문화학습원에 있다. '학습의 즐거움+표현창조의 충족감'을 한꺼번에 느끼게 한다는 상상문화학습원에서는 이번에 인문학과 문화창조, 일상충전이라는 세 마리 토끼를 한꺼번에 잡으려 하고 있다.

 

하지만 쉬운 일은 아닌 듯하다. 곧 문을 여는 상상문화학습원에서 펼쳐놓고 있는 여러 강좌에 수강생들이 그리 많지 몰려들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상상문화학습원 부원장을 맡고 있는 김채현 한국종합예술학교 무용원 교수는 이에 대해 "단 한 명의 수강생이라도 있다면 우리가 꿈꾸는 '상상'을 그대로 이어갈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27개 '상상', 새로운 세상을 엿보다

 

"그간 문예 아카데미의 운영을 통하여 한국문화예술교육의 문화예술과 인문학 교육에 새로운 장을 열어왔던 한국민예총이 상상문화학습원의 개원을 통하여 세대와 계층, 전공을 초월한 21세기형 상상력 다듬기와 일상문화에 상상력을 수혈하고 남다른 삶을 창조하고자 한다. '잠자는 상상력을 무한대로 일으켜라'를 모토로 학습의 즐거움과 표현 창조의 만족감을 추구하고 수강생 모두가 문화예술의 주인이자 문화예술의 리더가 될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기원한다."

- 상상문화학습원 김윤수 원장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이사장 신학철)이 경향신문사와 손을 잡고 오는 9일 '상상문화학습원'(원장 김윤수) 강좌를 연다. '상상+인문학'(인문창조형)과 상상+문화창조(전문분야 접근형), 상상+일상충전(생활문화 밀착형) 등 크게 세 가지로 나눈 이번 강좌는 모두 27개가 초록빛 떡잎을 내밀고 있다.

 

오는 9일 문을 여는 이번 강좌에서는 김찬호(성공회대 교수, 문화인류학), 김응교(와세다대 객원교수, 문학평론가), 김동원(영상원 교수, 다큐작가),  김소영(영상원 교수, 영화평론가), 최항영(사진작가), 홍선웅(목판화가), 김현경(분홍고래 소속 작가), 이동수(만화작가), 이재연(춤치유연구가), 이소리(시인) 등이 맡고 있다.

 

3일(화) 낮 3시 상상문화학습원(경향신문사 12층)에서 강사들과 함께 만난 부원장 김채현 교수는 "이번 강좌는 특히 일반인의 문화예술적 관심을 반영하여 전체 강좌를 상상+ 인문학, 상상+ 문화창조, 상상+ 일상충전의 세 가지 범주로 나누어 지식 욕구에 부응하도록 편성하여 일반인들과의 접촉면을 다양하게 넓혀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인문학, 영화, 춤, 미술, 막걸리 등 다채로운 강좌 열려

 

상상문화학습원에서 여는 이번 강좌는 4~12주(정원 20~40명)에 걸쳐 이루어지며, 일찍 마치는 강좌에 따라 새로운 강좌를 계속 연다. 김채현 교수는 "상상문화학습원은 경향신문사 12층 사옥에 마련된 강의실 이외에 외부의 다양한 공간 및 단체와도 연계하여 강의를 개발할 예정"이라고 말하고 있다.

 

강좌분야는 인문학, 영화, 춤, 미술, 음악, 사진, 일상문화, 취미, 힙합, 뮤지컬, 만화, 막걸리 등이다. 그 가운데 '일상 문화 읽기'는 김찬호가 나와 매주 화요일 밤 7시 30분부터 9시 30분까지 6회에 걸쳐 열린다. 이와 함께 '동아시아 영화사'(김소영), '나를 찾아 떠나는 미술여행(김운성), '아주 개인적인 고전 읽기+여유(김용진) 등이 잇따라 이어진다. 다음은 상상문화학습원에서 이번에 열리는 강좌 이름과 시간, 강사들이다. 

 

'디아스포라와 문학'(매주 토 16:30~18:30 12회)-김응교, '냉혹한 현실, 따뜻한 다큐멘터리' (매주 월·목 19:30~21:30 8회)-김동원, '뮤지컬, 머리에서 무대까지'(매주 월 19:30~21:30 8회)-이재국, '영화감독 되거나, 그냥 놀거나' (매주 화 16:30~18:30 6회)-정재웅, '사진입문종합과정'(매주 화 19:30~21:30)-최항영, '21세기 한량, 창의형 인간이 되다'(매주 수 16:30~18:30 8회)-김영원,

 

'오! 마이 스토리 큐레이터'(매주 수 19:30~21:30 8회)-박대정·변인숙, '대한민국 힙합, 해부와 상상'(매주 금 16:30~18:30 6회) UMC/UW, '옻칠, 깊은 아름다움' 9월 개강(24회)-이종헌, '뮤지컬 만드는 쉐프, 이탈리아·유럽 요리+오페라'(8월 9, 12, 16, 19일 13:30~15:30 4회) 변숙희, '런치 일러스트, 커피 한잔의 여유'(매주 월 12:00~13:00 4회)-이경석,

 

'아무 종이에나 드로잉'(매주 월 13:30~15:30 4회)-이경석, '몸짓 치유, 예술로 놀다'(매주 월 18:30~21:30 6회)-이재연, '게릴라의 글쓰기, 세상에 없는 책을 꿈꾸다'(매주 화 16:30~18:30 8회)-임태훈, '4주 도전, 개인 잡지 만들기'(매주 수 16:30~18:30 4회)-변인숙, '오후의 목판화'(매주 목 16:30~18:30 12회)-홍선웅·유연복,

 

'막걸리를 읽는다'(매주 목 19:30~21:30, 8회)-이소리, '창의적인 움직임 경영' (매주 목 19:00~21:00 8회)-전미현·김재리(한국라반움직임연구소), '그림책 마마!' (매주 금 10:00~12:00 8회)-김현경(분홍고래사람들), '플라워 데코, 꽃을 가꾸는 일상'(매주 금 13:30~15:30 5회, 19:30~21:30 5회)-김희경,

 

'그림책 파파!' (매주 금 19:30~21:30 8회)-김현경(분홍고래사람들), '상상문화학습원 개원 기념 청소년 특강-말랑말랑 만화 교실'(10~14일 13:30-15:30 5회)-이동수 등이다. 이와 함께 상상문화학습원 개강기념 특강으로  '김제동의 말하기'가 13일 저녁 6시 30분부터 8시30분까지 2시간 동안 경향신문 2층 특별강의실에서 열린다. 300명 마감이며, 참가비는 2만 원이다.


태그:#민예총, #경향신문, #상상문화학습원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